|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관내 시내 | 대명운수 | 대원버스공공 | 성남시내버스공공 | 경기고속공공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CL | |||||
관외 시내 | 남성버스 | 동성교통CL | |||
마을 | 광성운수 | 대일교통 | 미금마을버스 | 분당마을버스 | |
성남교통 | 성남마을버스 | 성남시민버스 | 성남여객 | ||
성남여객버스 | 신도양 | 영상교통 | 은행마을버스 | ||
진아교통 | |||||
공공 : 경기도 공공버스 운행 업체 CL : 현금 승차 제한 업체 | |||||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
성남교통 계열사 | ||||||
마을버스 업체 | ||||||
성남시 | 의왕시 | |||||
성남교통 | 성남여객 | 광성운수 | 백운여객 | 의왕운수 | 의왕교통 | |
시내버스 업체 | 의왕시 | 고양ㆍ파주시 | ||||
의왕교통 | 서울여객 |
성남교통 주식회사 城南交通 株式會社 Seongnam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2001년 8월 13일 |
업종 | 마을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심정환 |
주요 주주 | 배경석: 50% 자사주: 50% (2023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보유대수 | 49대(2023년 12월 기준) |
직원 수 | 21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억원(2022년 기준) |
매출액 | 70억 9,613만원(2022년 기준) |
영업이익 | 4억 8,000만원(2022년 기준) |
순이익 | 3억 5,745만원(2022년 기준) |
자산총액 | 114억 2,987만원(2022년 기준) |
부채총액 | 76억 1,682만원(2022년 기준) |
부채비율 | 199.76%(2022년 기준)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445 (분당동) |
1. 개요
성남시의 버스 회사이다. 계열사로 광성운수, 성남여객, 의왕운수, 의왕교통, 백운여객, 서울여객과 계열사 관계이다.본사 및 차고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445 (분당동 111, 율동공원)에 있다.
2. 역사
2.1. 서현교통 시절
- 1994년에 경기교통의 자회사인 서현교통으로 설립되었다.
- 2001년 8월 13일에 현 법인이 설립되었다.
- 2010년에 삼보운수를 인수하면서 성남여객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 2013년에 성남여객이 운행하던 76번을 양도받았다.
- 2015년 12월 17일에 광성교통을 인수하면서 광성운수로 출범하게 되었다.
2.2. 신성교통 계열사 인수와 규모 확장, 그리고 성남교통으로 변경
- 2016년 7월 1일에 신성운수를 인수하면서 서현운수로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2019년에 서울여객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월에 장안운수를 인수하면서 의왕교통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 2019년 5월 13일에 602-2A번이 폐선되었다.
- 2019년 7월 15일에 서현교통에서 성남교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8월 26일에 602-1C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602-2번이 성남여객에 매각하였고, 동시에 66번으로 변경되었다.
3. 특징
3.1. 회사 운영
- 본래 서현역을 기반으로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소규모 마을버스 업체였다. 그러나 판교신도시가 개발되고 여러 IT 산업체가 입주하면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고, 순식간에 돈방석에 앉게 된 셈. 그리고 여러 계열사를 편입하고 노선을 양도양수하면서 현재는 백현마을과 구시가지를 연결하는 76번과 판교신도시와 분당신도시를 오가는 602번 계열을 운행하는 업체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 시초는 경기교통에서 '서현교통'이라는 이름을 부여하여 자회사로 설립했다. 과거에는 600번, 601번, 602번을 운행하고 카운티만 보유한 소규모 회사였으나, 판교신도시 연계를 통해 대박을 쳐서 자본이 엄청나게 커졌다. 동시에 차량 크기를 대폭 키워 대부분의 차량을 대형버스로 교체했으며, 현재는 여러 계열사까지 인수하여 성남여객, 광성운수, 백운여객, 의왕운수, 의왕교통, 서울여객에 이르는 6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부산의 태영교통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이쪽도 마을버스 회사로 시작해서 태영버스를 비롯한 여러 버스 업체를 거느리는 대규모 운송 회사로 변모한 공통점이 있다.
- 초창기에는 성남여객과 광성운수만 인수하는 등 성남시 내부의 사세만 확장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신성교통이 자금난을 겪자 신성교통 오너는 산하 업체의 양도양수를 검토하게 되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인수를 원하는 성남교통 오너와 연결되어 신성운수, 신성교통을 연이어 양도양수하면서 각각 서울여객과 서울운수로 출범시키게 된다. 일각에서는 성남교통이 대부업체도 가지고 있어서 먼저 대부를 한 후 부채탕감 방식의 인수가 이뤄졌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고 서로의 필요가 잘 맞아떨어져서 거래가 이뤄진 정상적인 양도양수계약이 맞다. 성남교통은 2016년 6월에 신성운수를 인수하였는데, 서울여객이라는 법인을 신설한 후 차량과 영업권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양도양수하였다.[2] 또한 서울 신성교통의 노선과 운송면허, 차량들을 신설 계열사인 서울운수로 전부 넘기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남아있던 신성 계열인 제일여객, 신성교통, 한일운수는 기존 오너(우정록 일가)가 가져갔다. 결국은 2사(서울운수, 신성운수)가 성남교통 아래에서 다시 만났지만, 서울운수는 다시 매각하면서 신수교통으로 독립하였다.[3] 이후 2018년에 의왕시의 의왕교통까지 인수하면서 성남, 의왕, 고양, 파주 총 네 곳의 면허를 보유하게 되었다.
- 진아교통과 같이 노선번호가 세 자리인 둘 뿐인 마을버스 업체다. 성남교통은 76번을 제외하면 모두 600번대에서 파생되었으며, 진아교통은 109번과 115번에서 파생되면서 100번대 번호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 안내방송은 버스티브이를 사용했으나, 코로나-19 전후로 이동의즐거움으로 바뀌었다.
3.2. 차량 운영
- 본래 카운티만 보유하고 있던 영세 업체였으나, 점점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형버스로 교체하였다. 에어로타운으로 차급을 올렸으나, 계속 수요가 증가하면서 글로벌900과 그린시티, BS090 등을 혼용하여 출고하게 된다. 그러나 판교테크노밸리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출퇴근 버스를 운행하게 되고, 중형버스로는 도저히 감당을 할 수 없게 되자 대형버스를 출고하기에 이른다. 차종은 NEW BS106 NGV[4]와 NSAC F/L 디젤을 주로 출고하였으며, 이후 강동교통 취소분인 NSAC F/L CNG 개선형도 두 대 출고하였다.[5]
- 현재 중형버스는 76번에서만 고정으로 운행중이며, 602-2B번에서도 소수 운행중이다. 대부분 디젤버스로 운행중인 것이 특징인데, 일부 차량은 계열사인 백운여객과 의왕운수가 전기버스를 출고하면서 매각한 것을 중고로 유입하여 운행중이다. 현재 중형버스 대다수는 디젤버스이며, 천연가스버스는 5대 정도 남아있다.[6] 시트는 2017년 이후로 그린시티와 NSAC 모두 로우백 시트를 적용한다.
- 전기버스는 2023년에 하이퍼스1611N을 7대 출고하여 602-1A번에 우선적으로 투입하였다. 그리고 2024년 초에 사송공영차고지에 전기 충전소가 완공됨에 따라 하이퍼스1611P를 15대 출고하여 602번과 602-1B번, 602-2B번에도 투입했다. 한동안 서울여객을 비롯한 다른 계열사도 하이거를 도입하였으나, 2025년 8월에는 경기도 최초로 아폴로 1100 개선형 전기버스를 7대 출고했다. 현재 76번을 제외한 전 노선이 대형 전기버스로 교체되었다.
- 천연가스버스 충전은 사송공영차고지에서 하며, 전기버스 충전은 사송동과 율동공원에서 나누어서 한다.
- 성남여객과 차량 교환이 종종 있는 편이다. 그래서 일부 차량은 "교통", "여객" 표기를 떼고 다니는 차량도 있다. 또한 성남여객 소속 예비차 한 대[7]이 성남교통과 성남여객의 공용 예비차 역할을 겸하고 있다. 해당 차량 역시 "교통", "여객" 표기를 떼어 쉽게 노선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정해두었다.
4.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76 | 백현마을8단지 | (→ 백현동행정복지센터 →/← 신백현중학교 ←) - 백현마을4단지상가 - 백현마을1단지 - 판교역동편 - 봇들마을 - 송현초교 - 선경아파트 - 분당차병원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모란고개 | 태평역.새소망병원 | 3~12 |
602 ♿ | 분당동 | 현대시범아파트 - 서현역 - 이매촌한신 - 백현마을2단지 - 판교역동편 - 봇들마을9단지 - 삼평고교 | 사송동 | 8~20 |
602-1A ♿ | 율동공원 | 장안타운 - 효자촌 - 서현역 - 백현마을 - 백현동행정복지센터 - 판교역 - H스퀘어 - 이노밸리 → 우주공원 → NS홈쇼핑 → 이노밸리 | 실리콘파크 삼성중공업 | 15~40 |
602-1B ♿ | 판교역 | H스퀘어 - 이노밸리 → 우주공원 → NS홈쇼핑 → 이노밸리 | 2~3[W] | |
602-2B ♿ | (← 판교역동편 ←) - 동안교 - H스퀘어 - 이노밸리 → NHN → 이노밸리 | 판교세븐벤처밸리 | 4~5[W] |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차량
6.1. 현대자동차
6.2. 우진산전
6.3. 하이거
7. 과거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7.2. 자일대우버스
7.3. 기아
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50.00% | 이사 | |
50.00% |
[1] 동시에 고양시의 서현운수도 당시 서울운수의 영향을 받아 서울여객으로 개칭하였다.[2] 해당 회사도 당연히 성남교통 계열이다.[3] 신성교통 관련건들 중에 과거 계열사였던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 현 선진운수) 소속 노선 일부와 제일여객(현 한남버스) 전 노선들도 한남여객운수 아래에서 다시 모였다.[4] 기본형 옵션인 중문 이후 1-1-2-5 배열이었다.[5] 참고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광성운수나 다른 계열사와 달리, 경원여객 계열사처럼 도시형 배열(1-1-1-5)로 출고하였다. 출퇴근 시간에 최대한 많이 욱여넣기(...) 위해서라고.[6] 성남여객 소속 차량 3대는 모두 CNG 차량이며, 자체 출고한 차량 2대도 CNG 차량이다.[7] 개선형 그린시티이며, 2020년식 가스차다. 전기버스 출고 당시 유일하게 대차되지 않은 차량[W] 주말 미운행 노선.[W] [10] 본 회사 주 면허[11] 마을버스 회사가 함께 사용한다.[12] 성남시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13] 강동교통 취소분 차량이다.[14] 계열사인 의왕 백운여객 08번 개통으로 인해 기존 14년식 그린시티 디젤을 보내고 공백분으로 신차를 뽑았다. 2025년 8월까지 전기버스로 모두 대차되며 전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