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1:57:56

선로공유


1. 개요2. 장점
2.1. 공사 구간 감소2.2. 개념환승
3. 단점
3.1. 선로 용량 문제3.2. 승객의 혼동 유발
4. 사례
4.1. 대한민국4.2. 일본4.3. 미국
5. 선로 공유 예정 구간6. 직접 선로를 공유하지는 않더라도 연속 환승이 되는 경우

1. 개요

파일:한대앞역 4호선 수인선 교행.jpg
선로 공유가 발생하는 한대앞역의 사례
4호선 열차수인분당선 열차교행하는 모습이다.[1]

한 선로에 여러 노선의 열차가 운행하는 것을 뜻한다. 직결운행이랑 비슷하지만 약간 다르다. 복합열차도 넓게 보면 선로공유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일반적으로 타 노선과의 선로공유 구간의 경우 해당 구간에 속한 역들이 모두 제자리 평면 환승이 가능해진다.[2] 또한 일반적으로 안내방송에서 환승 안내는 양 끝 구간에서만 하고 중간역에서는 생략한다.

2. 장점

2.1. 공사 구간 감소

선로를 새로 설치해야 할 곳이 줄어드므로 자연히 공사 기간 및 공사비도 줄어든다. 실제로 분당선수인선이 직결하여 수인분당선 개통 당시 안산선과 선로 공유를 하니 수원역부터 오이도역이 개통되었으나, 실제 공사는 수원역부터 한대앞역까지 한 것이다.

2.2. 개념환승

여러 노선이 공용 구간으로 사용하니 같은 승강장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즉, 열차에서 내린 바로 그 자리에서 다른 노선의 열차를 기다리면 된다.

3. 단점

3.1. 선로 용량 문제

선로 공유를 하는 여러 사례에 나오듯이 복선 구간에 많은 열차가 지나며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경우 경원선, 중앙선 구간에 KTX, ITX 청춘, 무궁화호, 경춘선, 분당선 등과 공유하는 구간이 있어 선로 포화로 지연 등의 문제가 생겼고 용산선, 경의선, 서해선까지 영향을 받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경우 수인선 구간에는 아직 고속열차, 일반열차가 다니지 않는데도 4호선이 많이 다녀서 그나마 인천역~오이도역 구간은 배차간격이 짧아도 고색역~오이도역 구간 인천행 배차간격이 약 30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또한 나중에 수도권 전철 경강선이 연장돼 연수~월곶 구간을 공유하게 되며 인천발 KTX가 개통하면 그대로 복선을 사용할 경우 배차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고, 안산선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둘 다 각각 다른 노선과 직결되는 노선이기 때문에 과천선, 수도권 지하철 4호선, 분당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대곡행도 대곡~일산역 구간의 선로용량 문제로 불가피하게 생겨난 것이다.

3.2. 승객의 혼동 유발

한 승강장에 두 가지 이상의 노선이 들어오다 보니 승객 입장에서는 다른 노선의 열차를 잘못 타 엉뚱한 방향으로 갈 수 있다. 예시를 들면, 일산~대곡[3] 구간에서 용문 방향이 목적지이나 능곡역을 출발한 후 갑자기 지하로 들어가더니 김포공항 방향으로 빠지는 경우가 있다. 배차간격 등에 따라 다시 돌아오기 곤란할 수도 있으므로 선로공유 구간에서는 열차의 행선지나 승차 위치, 노선 색상 등을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기관사 역시 대개 공용구간이 끝날 무렵이 되면 현재 열차가 무슨 노선인지를 방송함으로써 승객이 혼동하는 일을 최소화한다.

4. 사례

4.1. 대한민국

4.2. 일본

4.3. 미국

5. 선로 공유 예정 구간

6. 직접 선로를 공유하지는 않더라도 연속 환승이 되는 경우

직접 선로를 공유하지는 않아도 노선도 상으로는 마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노선들의 공용구간처럼 보이는 구간이 존재하며, 특히 수도권 전철에서는 이러한 구간 역시 공용구간으로 간주하여 안내한다. 예를 들면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의 경우 엄밀히 말하면 선로 공용 구간은 대곡~일산 구간이지만, 코레일 측 노선 안내도에는 공용 구간을 능곡~일산 구간으로 나타내는 식이다.


[1] 사진에 나온 4호선 차량은 운행이 중단된 차량이다.[2] 물론 일부 구간은 승강장을 따로 사용하기도 한다.[3] 승강장은 분리되나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이 서로 같은 방향이 나란히 놓인 상태라 혼동할 가능성도 높다.[4] 망우역에서도 두 노선 환승이 가능하지만 실질적인 선로공유는 상봉역까지이다. 청량리역, 상봉역, 망우역은 승강장을 따로 사용하고 있다.[5] 수도권 전철 노선 최초의 선로공유 구간이다.[6] 한대앞역은 승강장을 따로 사용하고 있다.[7] 서울역 지선[8] 능곡역부터 일산역까지 경의·중앙선과 환승이 가능하지만 대곡역부터 선로를 공유하는 이유는 대곡역부터 능곡역까지는 선로가 복복선으로 되어있어 승강장을 따로 사용하기 때문이다.[9] 선로는 같이 공유하나 수서역은 두단식승강장, 동탄역은 스크린도어로 인해 두 역의 승강장은 따로 사용한다.[10] 도봉산역은 지하로 따로 건설 될 예정이다.[11] 9호선은 급행열차로 운행할 예정이고, 김포공항역은 승강장을 따로 사용할 예정이다.[12]서부권 광역급행철도 (6량)[13] 기존 서부권 철도가 GTX-D로 전환되면서, 전체 개통시 강남 방면으로 향한다 발표된지라 그 전까지만 시한부 운행 예정이다.[14] 인천공항 T2에서 이어지는 구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