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6px" | 가평군 | 60-10, 60-19 | 60-30 | 60-39 |
고양시 | 60 | |||
과천시 | 8, 8-1 | |||
광명시 | 77A, 77B | |||
군포시 | 100 | 100-1 | ||
김포시 | 1 | 1-1 | 3, 3-1 | |
4, 4-2 | 4-1 | 7, 7-1, 7-2 | ||
동두천시 | 90-1 ~ 90-6 | 91 ~ 91-3 | ||
부천시 | 58-A, 58-B | |||
수원시 | 123A, 123D | |||
시흥시 | 11-A ~ 11-C | 37, 37-1 | ||
양주시 | 365, 365-1 ~ 365-2 | 700, 701 | ||
연천군 | 67-1 ~ 67-3 | 70, 70-1 ~ 70-3 | 80-2 | |
81, 81-1 ~ 81-3 | ||||
파주시 | 15 | 20, 20-1 | 75, 75-1 ~ 75-3 | |
77-1 ~ 77-3 | 93, 93-1 ~ 93-14 | 313-1 | ||
포천시 | 86, 86-1 | 87-1 ~ 87-5 | 89, 89-1, 89-2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파주시 면허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광역급행 | M7111 | |||||||||||
경기급행 | G7111 | G7426 | G7625 | ||||||||||
직행좌석 | 200 | 2200 | | 7300 | |||||||||
7500 | 7700 | 7701 | 9030 | ||||||||||
9030-1 | 9710 | 9710-1 | |||||||||||
일반시내 | 3 | 9 | 10 | 11 | |||||||||
11-1 | 11-1-1 | 11-2 | 11-3 | ||||||||||
12 | 12-1 | 17 | 19 | ||||||||||
19-1 | 19-2 | 19-3 | 19-4 | ||||||||||
19-5 | 22 | 22-1 | 23 | ||||||||||
30 | 31 | 37 | 37-1 | ||||||||||
37-2 | 38 | 52 | 56 | ||||||||||
70 | 80 | 90 | 92 | ||||||||||
92-1 | 95 | 150 | 567 | ||||||||||
600 | 900 | ||||||||||||
맞춤형 | 15A | 20 | 20-1 | 75 | |||||||||
75-1 | 75-2 | 75-3 | 77-1 | ||||||||||
77-2 | 77-3 | 93 | 93-1 | ||||||||||
93-2 | 93-3 | 93-4 | 93-5 | ||||||||||
93-6 | 93-7 | 93-8 | 93-9 | ||||||||||
93-10 | 93-11 | 93-12 | 93-13 | ||||||||||
93-14 | | 313-1 | |||||||||||
파주시 마을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파주시 진입 관외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1500 | 2000 | ||||||||
일반시내 | 25 | 25-1 | 35 | 52 | |||||||
61 | 66 | 100 | 333 | ||||||||
799 | |||||||||||
맞춤형 | 365-2 | ||||||||||
마을 | 087 | ||||||||||
파주시 마을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1. 77번(맞춤형버스)
구 77-5번.
맞춤형버스 전체 노선도. (출처 :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노선 구분 : 짙은 자주색 : 77-1번 / 빨강색 : 77-2번 / 파란색 : 77-3번 / 하늘색 : 구 77-4번 / 초록색 : 구 77-5번
1.1. 노선 정보
| |||||
평일ㆍ주말에 운행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금촌터미널)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송촌동(송촌리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2:00 | 막차 | 23:00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배차간격 | 130분(1일 7회) | ||
노선 | 금촌터미널 - 파주시청 - 금촌지구 - 교하체육공원 - 오도동 - 연다산동 - 교하지구 - 신촌동 - 송촌리종점 |
| |||||
평일ㆍ주말에 운행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금촌터미널)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송촌동(송촌리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00 | 막차 | 22:40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배차간격 | 90분(1일 11회) | ||
노선 | 금촌터미널 - 파주시청 - 금촌지구 - 교하동 - 오도동 - 연다산동 - 교하지구 - 문발공단 - 신촌동 - 송촌리종점 |
| |||||
주말만 운행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은석교사거리)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통일동산전망대) | ||
종점행 | 첫차 | 08:00 | 기점행 | 첫차 | 08:00 |
막차 | 20:00 | 막차 | 20:00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배차간격 | 60분(1일 20회) | ||
노선 | 은석교사거리 - 파주출판단지 - 파주롯데아울렛 - 문발공단 - 신촌동 - 송촌동(송촌리종점) - 통일동산하수처리장 → 파주프리미엄아울렛 → 법흥유승앙브와즈 → 헤이리(경모공원) → 통일동산전망대 → 통일동산하수처리장 → 이후 역순 |
1.2. 개요
교통이 불편한 지역을 위해 경기도 도지사 공약으로 신설된 맞춤형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77-1번, 77-2번, 77-3번)1.3. 역사
- 기존 같은 계열사 마을버스였던 077번의 전신이다. 이 노선을 활용하여 맞춤형(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였다.
- 2015년 8월 13일에 시범 운행을 시작하였다. 관련 게시물 이 때는 노선번호가 77-A~E였다.
- 2015년 9월 19일에 77-D번의 기점이 맥금동에서 금촌 신성터미널로 바뀌었으며, 탄현면/대동리 순환구간이 반대로 바뀌었다. 또한 77-E번은 평일 운행에서 주말 운행으로 바뀌었으며, 기점이 탄현면사무소에서 금촌 신성터미널로 바뀌었다. 또한 금산/대동리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2016년 3월 경 노선번호가 각각 77-1~5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1일에 77-4번이 75번으로 변경되었고, 77-5번은 75-3번으로 변경되었다.
1.4. 특징
- 77-1번은 교하체육공원과 연다산동을, 77-2번은 교하/다율동과 문발공단을 경유한다.
- 77-3번은 주말에만 운행한다.
- 77-5는 주말에만 운행했다. 장릉, 맛고을을 추가로 경유하는 시간대가 있었다.
1.4.1. 시간표
출처1.4.1.1. 77-1/-2번
송촌 방면.
금촌 방면.
1.4.1.2. 77-3번
#1.4.1.3. 77-4/-5번
금촌 기준 시간표. 성동리사거리 방향은 30분 정도 더하면 된다.
1.5. 연계 철도역
- 77-1, 77-2, 77-4, 77-5
- 77-3는 연계철도역 없음.
2. 舊 77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2.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롯데프리미엄아울렛) | 종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동(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4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분 | 주말배차 | ?분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 이채쇼핑몰 - 은석교사거리 - 산남동 - 거그뫼 - 가좌마을 - 대화역 - 성저마을.후곡마을 - 국립암센터 - 마두1동주민센터 - 백신중학교.이마트 - 백석역 - 대곡역 - 행신동 - 화전역앞 - 항공대입구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2.2. 개요
파주롯데프리미엄아울렛과 일산신도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이어줬던 파주시 시내버스 노선.2.3. 역사
- 명성운수 소속 76번 구산동 지선이 전신이다. 가좌동차고지에서 노루뫼와 거그뫼까지 연장운행했다.
- 2007년 9월 7일에 76번이 신성교통으로 이관되면서 이 노선도 함께 이관되었다. 이후 구산동 지선은 폐선되었다.
- 그러다가 2009년 5월 30일에 '파주출판단지(편의점앞) - 거그뫼 - 가좌동 - 대화역 - 국립암센터 - 백석역 - 행신동 - 수색역 - 신촌전철역' 구간을 운행하는 780번 일반좌석버스로 신설되었다. 포천시 구 660번/660-1번과 더불어 글로벌 900번 좌석차량으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당시 차량의 모습 하지만, '백석동 - 연대앞' 구간은 당시나 지금이나 지나다니는 노선들이 많아 고정 수요가 많지 않았다. 게다가 경의선이 전철화 개통되면서 수요는 더더욱 줄어들었다.
- 2009년 11월 9일에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이 때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신촌전철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2년 2월 경에 기점이 파주출발단지(편의점 앞)에서 파주롯데프리미엄아울렛으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77번으로 변경되었다. 당시에는 현 고양 버스 77번이 770번(일반좌석버스)였기에 다행히 번호가 겹치지 않았다.
- 2013년 11월 13일부로 고양선인장시험장, 일산교회, 농수산물센터, 예비군훈련장을 경유하지 않고 탑골마을, 되레지, 새터말을 경유하게 되었다. 또한 가좌마을에서 대화역으로 갈 때 우회하지 않고 중앙로로 바로 가게 되었다. 곧이어 변경된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77-1번(파주롯데프리미엄아울렛 - 파주출판단지 - 거그뫼 - 가좌동 - 고양선인장시험장 - 대화역)이 신설되었다.
- 2014년 1월, 신성교통에서 신성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14년 3월 8일부로 77-1번과 함께 운행중단되었다. 관련 기사
- 2015년 9월에 따복버스 77번이 시범운행을 시작하면서 GBIS에서 삭제되었다.
2.4. 특징
2.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대화역, 백석역, 대곡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대곡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3. 舊 77-1번, 77-1A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3.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롯데프리미엄아울렛)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역)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 이채쇼핑몰 - 은석교사거리 - 산남동 - 거그뫼 - 가좌마을 - 고양선인장시험장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송산동(거그뫼)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역)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 | 주말배차 | ? | ||
운수사명 | 신성여객 | 인가대수 | ? | ||
노선 | 거그뫼 - 가좌마을 - 고양선인장시험장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3.2. 개요
신성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3.3. 역사
- 77번이 변경되면서, 기존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77-1번이 신설되었다. 당시 차량의 모습
- 2014년 1월에 노선이 신성교통에서 신성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14년 3월 8일에 77번과 함께 운행중단되었다. 관련 기사
- 이후 거그뫼 지역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임시로 '거그뫼 - 대화역' 구간만 운행했다. 이 때의 번호는 77-1A번. 운행 중인 모습
- 2015년 1월에 폐선되었다. 이후 059번이 승계하였다.
3.4. 특징
3.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대화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