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a3cd39> 1기 |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 | [[일산신도시|경기 성남시 일산신도시 ]] | [[중동신도시|경기 고양시 중동신도시 ]] | [[평촌신도시|경기 부천시 평촌신도시 ]] | [[산본신도시|경기 안양시 산본신도시 ]] 경기 군포시 |
| 2기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 ]] | [[판교신도시|경기 수원시·용인시 판교신도시 ]] | [[운정신도시|경기 성남시 운정신도시 ]] | [[양주신도시|경기 파주시 양주신도시 ]] | [[한강신도시|경기 양주시 한강신도시 ]] | [[위례신도시|경기 김포시 위례신도시 ]] | [[아산신도시|서울 송파구·경기 하남시·성남시 아산신도시 ]] | [[동탄1신도시|충남 아산시·천안시 동탄1신도시 ]] | [[동탄2신도시|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 | [[검단신도시|경기 화성시 검단신도시 ]] | [[도안신도시|인천 서구 도안신도시 ]] | [[고덕국제신도시|대전 서구·유성구 고덕국제신도시 ]] 경기 평택시 | |
| 3기 | [[왕숙신도시| 왕숙신도시 ]] | [[교산신도시|경기 남양주시 교산신도시 ]] | [[계양신도시|경기 하남시 계양신도시 ]] | [[창릉신도시|인천 계양구 창릉신도시 ]] | [[대장신도시|경기 고양시 대장신도시 ]] 경기 부천시 |
| 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관장 신도시만 기재. 참고: 국토교통부 신도시 정책자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 義王軍浦安山 公共住宅地區 Uiwang Gunpo Ansan Public Housing Zones | }}} | |
| <nopad> | |||
| 조감도 | |||
| <colbgcolor=#a3cd39><colcolor=#fff> 지역 | 경기도 의왕시, 군포시, 안산시 일원 | ||
| 사업 면적 | 5,968,266㎡ | ||
| 계획 인구 | 99,643명 | ||
| 사업기간 | 2023년 ~ 2031년 | ||
| 세대 수 | 41,518세대 | ||
| 사업시행자 | 경기도,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 ||
| <nopad> | |||
| |
| 토지이용계획도 |
1. 개요
경기도 의왕시[1], 군포시[2], 안산시[3]에 걸쳐 지어지는 공공주택지구다. 수용 호수는 41,518세대로 예정되어 있고, 면적은 여의도의 2배 면적인 5,968,266㎡ 규모이다.이 지역은 그동안 녹지로 남아있다가 일부[4]가 택지지구로 조금씩 개발되고 있었다. 이후 수도권 지역 부동산 공급압력이 커지면서 2021년 8월 30일 국토교통부가 2.4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추가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발표했다.
신도시의 동쪽과 서쪽이 구봉산 능선으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다.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는 경기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주택도시공사(GH), 안산도시공사 등 여러 기관이 협력하여 ‘공공주택지구 공동사업시행 기본협약’을 체결하고 공공 추진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중 공공주택지구계획 승인을 목표로 하며, LH는 2025년 말까지 지구계획을 확정하고 승인할 계획이다. 이후 2028년 상반기에는 본격적인 조성공사에 착공하고, 2030년부터 주택을 공급하며, 2031년 하반기에는 조성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Compact & NetWork City’라는 개발방향을 목표로 일자리·주거·여가생활이 함께 어우러지는 직(Work)-주(Live)-락(Amenity)을 구현할 수 있는 공공주택지구로 개발된다.
2. 주거
2.1. 아파트
| <rowcolor=#fff>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시공사 |
| A1 | 통합공공임대 | 1,021세대 | 미정 | 미정 |
| A2 | 통합공공임대 | 1,198세대 | 미정 | 미정 |
| A3 | 통합공공임대 | 1,295세대 | 미정 | 미정 |
| A4 | 공공분양 | 1,321세대 | 미정 | 미정 |
| A5 | 통합공공임대 | 1,016세대 | 미정 | 미정 |
| A6 | 공공분양(나눔) | 604세대 | 미정 | 미정 |
| A8 | 공공분양 | 1,332세대 | 미정 | 미정 |
| A9 | 통합공공임대 | 1,668세대 | 미정 | 미정 |
| A10 | 공공임대(선택) | 529세대 | 미정 | 미정 |
| A11 | 공공임대(선택) | 593세대 | 미정 | 미정 |
| A12 | 공공분양(나눔) | 991세대 | 미정 | 미정 |
| A13 | 통합공공임대 | 457세대 | 미정 | 미정 |
| A14 | 공공분양(일반) | 1,080세대 | 미정 | 미정 |
| A15 | 통합공공임대 | 588세대 | 미정 | 미정 |
| A16 | 통합공공임대 | 901세대 | 미정 | 미정 |
| A17 | 통합공공임대 | 741세대 | 미정 | 미정 |
| A18 | 통합공공임대 | 851세대 | 미정 | 미정 |
| B1 | 공공분양(일반) | 76세대 | 미정 | 미정 |
| B2 | 민간임대 | 379세대 | 미정 | 미정 |
| B3 | 통합공공임대 | 722세대 | 미정 | 미정 |
| B4 | 민간분양 | 1,098세대 | 미정 | 미정 |
| B5 | 민간분양 | 1,002세대 | 미정 | 미정 |
| B6 | 민간임대 | 423세대 | 미정 | 미정 |
| B7 | 민간분양 | 730세대 | 미정 | 미정 |
| B8 | 민간분양 | 441세대 | 미정 | 미정 |
| B9 | 공공분양(일반) | 784세대 | 미정 | 미정 |
| B10 | 민간임대 | 396세대 | 미정 | 미정 |
| B11 | 민간분양 | 538세대 | 미정 | 미정 |
| B12 | 민간분양 | 797세대 | 미정 | 미정 |
| C1 | 민간분양 | 434세대 | 미정 | 미정 |
| S1 | 공공임대(선택) | 1,021세대 | 미정 | 미정 |
| S2 | 통합공공임대·민간분양 | 110세대·704세대 | 미정 | 미정 |
| S3 | 통합공공임대·민간분양 | 128세대·814세대 | 미정 | 미정 |
| S5 | 공공분양(나눔) | 606세대 | 미정 | 미정 |
| S6 | 공공임대(선택) | 1,187세대 | 미정 | 미정 |
| S6-1 | 공공임대(선택) | 702세대 | 미정 | 미정 |
| S6-2 | 공공임대(선택) | 480세대 | 미정 | 미정 |
| S7 | 공공분양(나눔) | 608세대 | 미정 | 미정 |
2.2. 주상복합
| <rowcolor=#fff>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시공사 |
| M1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2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3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4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5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6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7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8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9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10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11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M12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3. 교육
- 초등학교
- 의왕군포안산 제1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2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3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4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5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6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7초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8초등학교가칭
- 중학교
- 의왕군포안산 제1중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2중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3중학교가칭
- 고등학교
- 의왕군포안산 제1고등학교가칭
- 의왕군포안산 제2고등학교가칭
4. 교통
4.1. 철도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왕역과 수도권 전철 4호선 반월역이 지구 양 끝에 자리잡고 있다. 발표된 신도시들 중에서는 철도 사정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 1호선과 4호선 모두 도심으로 연결해준다. 다만 강남이나 여의도로 직통하는 노선은 여전히 없다.[5][6]그리고 4호선 반월역 ~ 1호선 의왕역을 연계할 신교통수단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학영 국회의원(군포시)이 위례과천선 노선을 4호선(안산선)역사와 환승하는 방안으로 공약을 내 건 바 있어서 위례과천선의 연장선이 될 가능성도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의왕시에서 기존 추진하던 과천청사역 - 청계역 - 백운호수 - 의왕역 - 송정지구 라인을 따라 반월역까지 가는 노선을 생각해봄직 하다. 만약 위례과천선을 의왕군포안산신도시까지 연장하게 된다면 강남구로 가는 노선은 해결되지만 강남 상업지구는 못간다. 현재 해당 신교통수단은 아래 나오듯 위례과천선 연장과 군포시가 신분당선 광교 방면 지선 연장을 추진하는 등 2가지 안이 있다.
GTX-C 노선은 2023년 7월 19일 민투심을 통과하였으며, 의왕역이 추가정차역으로 확정되었다. 이로서 강남권 직통 노선을 확보하였다. GTX-C로 의왕역에서 삼성역과 양재역까지 20분내 진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의왕·과천 지역구 국회의원인 이소영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에 대한 국정감사 자리에서 코레일 한문희 사장과 의왕역 KTX 정차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바 있으며, 결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KTX가 의왕역에 정차하게 될 경우 1호선 승강장 북쪽에 붙어있는 저상 승강장에서 취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군포시가 신분당선 광교역 방면 지선을 의왕역을 거쳐 의왕군포안산신도시, 반월역까지 연장(14.54km, 7개역 신설)하는 사업을 민자로 추진하고 있으며, 2024년 1월 18일에 쌍용건설, 동명기술공단과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업비는 1조 6천억원으로 추산되며, 해당 비용은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비와 민자를 통해 마련할 예정이다. '군포시철도망 구축 및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에 따르면 B/C 값은 0.98로 나타났다. 군포시는 이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등에 반영하도록 국토교통부 등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7]
경기도가 2024년 3월 19일 경기도 철도기본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위례과천선(위과선)의 의왕역과 반월역 연장이 반영되었다. [8]
4.2. 도로
주변에 영동고속도로 군포IC,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군포IC, 동안산·당수IC, 봉담과천로 서수원IC 등이 있어 5~10분내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영동고속도로의 진입이 가능하다.추가 도로로서 경기 서남부 권역단위 초대형 광역교통망 구축을 계획중이다. [9]
다만 국도는 42번, 47번 외에는 타지로 나가는 노선이 없어, 광역도로망이 신설될 가능성이 크다.[10]
4.3. 버스
의왕·군포·안산 공공주택지구는 현재 지구 지정만 되어 있는 상태로, 공공주택지구계획 승인 및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관련 기관과 협의 중에 있다. 버스 및 BRT는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국토부와 LH에서 검토 중이다. 현재 지구 내 대부분이 논밭인 관계로 군포시 송정지구와 부곡지구, 의왕시 초평동, 안산시 반월역 부근을 경유하는 버스를 제외하면 사실상 대중교통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안산, 군포, 의왕을 걸쳐 개발되는 신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세 지역을 한 번에 이어주는 신규 노선이 신설될 것으로 보인다.5. 기타
- 의왕시, 군포시, 안산시의 경계가 만나는 곳이 신도시 근처에 위치해 있다. 정확히는 평택파주간고속도로 구봉산 터널 부근.
- 구역 내에 서서울변전소가 위치해 있다. 군포 송정지구 입주 당시에도 이것 때문에 걱정하는 사람이 많았던 것 같은데, 향후 어떻게 될지는 두고 봐야할 듯하다.
[1] 초평동, 월암동, 삼동[2] 도마교동, 부곡동, 대야미동[3] 상록구 건건동, 사사동[4] 군포 송정지구, 부곡지구, 의왕 초평지구 등[5] 영등포 권역은 1호선이 커버한다.[6] 다만 4호선이 강남의 서쪽 경계를 경유하기는 하며, 후술할 GTX-C가 개통한다면 강남권 직통 노선이 확보되게 된다.[7] 「군포시, 신분당선 연장 추진…수원광교역~안산반월역 잇는다」, 연합뉴스, 2024-01-18[8] 「의왕시 지하철시대 성큼... 위례과천선 의왕연장 ‘경기도 철도기본계획’ 반영」, 중부일보, 2024-03-20[9] https://gits.gg.go.kr/web/board/3386.do?mode=view&idx=195671299[10] 현재도 군포 송정지구에서 47번국도 상행선을 출근시간대 이용 시 군포보건소 사거리까지 통과하는데 2시간 가까이 소요된다. 둘 사이의 거리는 고작 2km 남짓이다. 즉, 시속 1km 정도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