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시 | |||||||||||||||||||||||
고양시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
고양시청 | 과천시청 | 광명시청 | 광주시청 | |||||||||||||||||||||
구리시 | 군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
구리시청 | 군포시청 | 김포시청 | 남양주시청 | |||||||||||||||||||||
동두천시 |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
동두천시청 | 부천시청 | 성남시청 | 수원시청 |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
시흥시청 | 안산시청 | 안성시청 | 안양시청 | |||||||||||||||||||||
양주시 | 여주시 | 오산시 | 용인시 | |||||||||||||||||||||
양주시청 | 여주시청 | 오산시청 | 용인시청 | |||||||||||||||||||||
의왕시 | 의정부시 | 이천시 | 파주시 | |||||||||||||||||||||
의왕시청 | 의정부시청 | 이천시청 | 파주시청 |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
평택시청 | 포천시청 | 하남시청 | 화성시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군 | |||||||||||||||||||
가평군 | 양평군 | 연천군 | ||||||||||||||||||||||
가평군청 | 양평군청 | 연천군청 | }}}}}}}}}}}} |
안산시청 安山市廳 | Ansan City Hall | ||
| ||
<colbgcolor=#321a88><colcolor=#fff> 주소 | 단원구 화랑로 387 | |
국가 | | |
관할구역 | 경기도 안산시 | |
직원 수 | 780명 | |
예산 | 2조 0088억원(2022년) | |
시장 | 이민근 | |
부시장 | 김대순 | |
상급기관 | 경기도청 | |
홈페이지 | | |
SNS | |
1. 개요
경기도 안산시를 관할하는 시청이다.2. 역사
2.1. 역대 시장
대수 | 성명 | 기간 | 정부 및 당적 |
초대 | 전창선 | 1986.1.1 ~ 1988.2.10 | 관선 전두환 정부 |
2대 | 장의진 | 1988.2.11 ~ 1988.6.4 | |
3대 | 이상용 | 1988.6.5 ~ 1989.12.26 | 관선 노태우 정부 |
4대 | 이수영 | 1989.12.27 ~ 1992.1.2 | |
5대 | 조건호 | 1992.1.3 ~ 1993.1.10 | |
6대 | 김태수 | 1993.1.11 ~ 1994.10.5 | |
7대 | 최순식 | 1994.10.6 ~ 1995.6.30 | 관선 문민정부 |
8대 민선1기 | 송진섭 | 1995.7.1. ~ 1998.6.30 | |
9대 민선2기 | 박성규 | 1998.7.1 ~ 2002.6.30 | [[새정치국민회의| |
10대 민선3기 | 송진섭 | 2002.7.1 ~ 2006.6.30 | |
11대 민선4기 | 박주원 | 2006.7.1 ~ 2010.6.30 | |
12대 민선5기 | 김철민 | 2010.7.1 ~ 2014.6.30 | [[민주당(2008년)| |
13대 민선6기 | 제종길 | 2014.7.1 ~ 2018.6.30 | [[새정치민주연합| |
14대 민선7기 | 윤화섭 | 2018.7.1 ~ 2022.6.30 | |
15대 민선8기 | 이민근 | 2022.7.1 ~ 2026.6.30 | |
3. 조직
- 시장
- 대변인
- 시민소통관
- 부시장
- 감사관
- 세월호참사 수습지원단
- 기획경제실
- 기획예산과
- 신성장전략과
- 경제일자리과
- 청년정책과
- 노동정책과
- 혁신법무과
- 문화체육관광국
- 문화예술과
- 체육진흥과
- 관광과
- 정보콘텐츠과
- 위생정책과
- 복지국
- 복지정책과
- 노인복지과
- 장애인복지과
- 여성가족과
- 보육정책과
- 아동권리과
- 도시디자인국
- 도시계획과
- 공공개발과
- 건축디자인과
- 주택과
- 녹지과
- 공원과
- 토지정보과
- 환경교통국
- 환경정책과
- 에너지정책과
- 자원순환과
- 건설도로과
- 교통정책과
- 대중교통과
- 행정안전국
- 총무과
- 시민안전과
- 자치행정과
- 회계과
- 공정조세과
- 성실납세과
3.1. 직속기관
- 상록수보건소
- 보건정책과
- 건강증진과
- 단원보건소
- 보건정책과
- 건강증진과
- 농업기술센터
- 농업정책과
- 농업기술지원과
- 농수산물도매시장 관리과
- 대부해양본부
- 대부개발과
- 해양수산과
- 산업지원본부
- 산업진흥과
- 기업지원과
- 산단환경과
- 평생학습원
- 평생학습과
- 교육청소년과
- 중앙도서관
- 감골도서관
- 관산도서관
- 상하수도사업소
- 수도행정과
- 수도시설과
- 정수과
- 하수과
- 외국인주민지원본부
- 외국인주민정책과
- 외국인주민지원과
- 사업소
- 차량등록사업소
- 도시정보센터
3.2. 휘하 구청
4.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안산시청
* 안산 버스 9
* 안산 버스 9-1
* 화성 버스 11
* 안산 버스 22
* 시흥 버스 23
* 안산 버스 30
* 안산 버스 30-2
* 안산 버스 52
* 안산 버스 62
* 안산 버스 66
* 안산 버스 99
* 안산 버스 99-1
* 안산 버스 101
* 안산 버스 110
* 안산 버스 123
* 안산 버스 125
* 안산 버스 350
* 안산 버스 7070
* 수원 버스 9090
* 안산 버스 9
* 안산 버스 9-1
* 화성 버스 11
* 안산 버스 22
* 시흥 버스 23
* 안산 버스 30
* 안산 버스 30-2
* 안산 버스 52
* 안산 버스 62
* 안산 버스 66
* 안산 버스 99
* 안산 버스 99-1
* 안산 버스 101
* 안산 버스 110
* 안산 버스 123
* 안산 버스 125
* 안산 버스 350
* 안산 버스 7070
* 수원 버스 9090
안산시청(시외버스)
* 시외버스 700-1
* 시외버스 700-1
4.2. 전철
수도권 전철 4호선 : 중앙역, 고잔역
5. 여담
- 주변 건물과 도로 배치가 중앙 섬식 광장 시절의 광화문광장과 매우 흡사하다. 광덕대로 중앙에 길다란 녹지광장이 조성되어 있고, 안산선·수인선 이남 구간은 아예 시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안산문화광장이 조성되었다. 거기에 안산시청(본청)과 경복궁 모두 건물 배치가 정방향에서 약간 틀어져 있는 것 까지 똑같다.[1] 물론 이러한 건물 배치가 정말 경복궁을 본떠 배치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 청사 노후화 문제로 인해 매년 신축이나 이전 관련 떡밥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후 민선 8기 이민근 시장 체제에서 청사 뒤쪽의 주차장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15층 규모,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신청사를 건설하는 계획이 잡혔다. 2023년 상반기에 민원동 청사가 우선 철거되어 민원동에 있던 부서들은 제2별관을 비롯한 인근 상가 건물과 안산와~스타디움으로 옮겼다.
6.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안산시청 본청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경복궁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