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1:15:17

안산와~스타디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경기장 (2025)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파일:경남 FC 로고.svg

창원축구센터 ★
파일:창원홈.png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솔터축구장 ★■
파일:김포FC홈.png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구덕운동장
파일:부산구덕홈.png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종합운동장 ■
파일:부천홈.png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목동종합운동장
파일:목동홈.png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탄천종합운동장 ■
파일:탄천종합운동장조감도.png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월드컵경기장 ★
파일:수원삼성홈조감도.png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이순신종합운동장 ■
파일:아산홈.png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축약).svg

안산와~스타디움 ■
파일:안산홈.png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파일:인천유나구장.pn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광양축구전용구장 ★
파일:광양홈.png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천안종합운동장
파일:천안홈.png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청주종합경기장
파일:충북청주홈.png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화성종합경기타운
파일:화성FC홈.png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축구 전용 구장 가변석 사용 구장
◀ K리그1 구단별 경기장 K3리그 구단별 경기장 ▶
}}}}}}}}}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축약).svg
안산 그리너스 FC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A885> 구단 기본 문서 연고지 안산시
구단 안산 그리너스 FC
주요 인물 현재 이관우 감독 | 선수단
역대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주요 선수
시설 관련 문서 홈구장 안산와~스타디움
역사 구단 역사 역사
시즌별 일람 기록 | 역대 유니폼
현재 시즌 2025
팬덤 관련 문서 응원가 | 서포터즈 베르도르
라이벌전 파일:FC 안양 로고.svg 4호선 더비
논란 사건·사고
}}}}}}}}} ||
파일:stadium_01.jpg
안산 그리너스 FC
안산와~스타디움
Ansan Wa~Stadium
<colbgcolor=#00A885><colcolor=#00263d> 개장일 2006년
소재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260 (초지동)[1]
소유 안산시청
운영 안산도시공사
홈 구단 안산 H FC (2007~2012)
안산 무궁화 FC (2014~2016)
안산 그리너스 FC (2017~ )
경기장 형태 다목적 경기장
좌석 수 35,008석
최다 관중 30,532명
(2016년 3월 24일 vs 레바논)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명칭3. 역사4. 시설5. 연고 구단6. 교통
6.1. 버스6.2. 철도
7. 역대 공연 및 행사8. 기타9. 둘러보기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260 (초지동)에 있는 종합 운동장으로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FC가 홈으로 사용한다.

2. 명칭

이름이 특이한 경기장으로 유명하다. 안산와~ 스타디움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경기장 시민들의 화합의 목소리인 ‘와~’, ‘Welcome to Ansan’, 세계적인 도시 ‘World Ansan’, 대부도로 대표되는 ‘Wine Ansan’, 녹색 친환경 도시 ‘Wood Ansan’, 승리자 안산 ‘Winner Ansan’, 여성의 도시 ‘Women Ansan’, 우리말 ‘안산으로 오세요!’에서 비롯된 ‘와’, 영어의 감탄사격인 ‘wow(대성공, 야~, 와~, 청중을 열광시키다)’를 의미하며, ‘~’ 표시는 경기장에서의 파도타기를 의미한다.

경기장 이름이 지어진 동기가 독특한데 2007년에 안산 경기장 완공 직전에 시민들한테 이름 공모전을 한적이 있다. 근데 거기서 뽑힌게 안산종합운동장이었는데[2] 이 당시 안산시장이었던 박주원 전 안산시장이 이 결과를 보고 "다른 데와 똑같이 하려면 뭐하러 공모를 했나. 좀 참신하고 기발한 이름을 생각해보라." 라는 말과 함께 백지화했고 시간이 지나고 여자축구대회 개회식때 안산 종합운동장 개장식때 개회사를 마치고 나서 청중들의 "와~"하는 소리를 듣고 그대로 "와~ 스타디움"이라 지었다.관련 기사

정식 명칭에 ~가 들어가고 띄어쓰기가 없어서 의미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안산 와~ 스타디움'이 아니라 '안산와~스타디움'이라고 쓰여 있으니, ~ 앞뒤를 끊어 읽어서 '안산와'가 뭐지? 라는 의문이 드는 것이다. '안산와'가 '안산에 오라'라는 의미로 읽힐 수도 있는데, 의도한 것인지도 모른다. 안산시민들은 그냥 '와스타디움'이라고 부른다.

3. 역사

올림픽 예선전 같은 국제 경기 및 2007년 경기도 생활체육대축전에 이어서 2008년 제54회 경기도체전 등의 행사들을 잇달아 유치함으로써 스포츠 분야에서 그 위상을 크게 높인 안산시는 이에 고무되어 2006년 12월 총 사업비 1,128억 원을 투입하여 안산와~스타디움을 건립하였다.

첫 공식경기는 이듬 해인 2007년 U-23 국가대표 친선경기였고 그후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 K리그 올스타전, 2018 러시아 월드컵 2차 예선 중 레바논과의 경기(1:0 대한민국 승) 등을 여기서 치렀다. 또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최종예선 3차전인 시리아와의 홈경기도 이 곳에서 열렸고, 대한민국의 2:1 승리로 끝났다.

4. 시설

경기장 면적은 168,437㎡이고, 연면적은 53,691.5㎡이다. 지하 1층~지상 4층의 규모로 35,008석의 관람석이 마련되어 있다. 천연잔디축구장을 비롯한 공인 제1종 400m 8레인의 육상경기장이 조성되어 있고, 부대시설로 야간 조명 시설 및 보조경기장을 갖추고 있다. 동측에는 롯데마트가 입주하고 있었으나 2014년에 폐점했다. 북측 1층과 남측 1층에는 스포츠센터가 있다. 북측 1층에는 헬스장과 실내골프연습장이 있고, 남측 1층에는 다목적체육관과 체육단체사무실, 탁구장, 기타(사무실, 라커룸 등)가 있다.

롯데마트 와스타디움점은 영업부진을 이유로 2014년 10월 폐점했다. 최초에 대형마트 입점 자체가 철저한 시장조사 없이 이루어진 결과이기도 한데, 단원구만해도 이미 시외버스터미널에 롯데마트를 포함해 2개 대형마트 점포가 선부동에도 입점해 단원구 전역을 커버할 수 있고, 고잔신도시나 공단 쪽에도 훨씬 가까운 점포들이 이미 성행 중이기 때문이다. 롯데마트가 철수함으로 인해 매년 16억 원의 수익 중 임대료 12억 원이 사라져 내년부터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 롯데마트가 있던 자리에는 2016년 7월부터 마이어스라는 이름의 대략 6,500㎡ 규모의 초대형 뷔페가 입점했다.[3] 2023년 현재는 안산시 로컬푸드 직매장와 경기도청년푸드창업허브가 들어와 있다. #

애칭은 에버그린 필드. 서포터를 제외하고 이 애칭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몇 없다. 하지만 서포터들은 응원가에까지 이 애칭을 쓰며 에버그린 필드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5. 연고 구단

6. 교통

6.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고잔역앞(18288)
고잔신도시 / 고대안산병원 방면 ||
일반시내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단원구청.단원보건소(18223)
시민시장 방면 ||
일반시내
직행좌석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단원구청.단원보건소(18458)
안산시청 방면 ||
일반시내
직행좌석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안산문화예술의전당(18597)
고잔역 방면 ||
일반시내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c1d1f> 안산문화예술의전당(18599)
선부동 방면 ||
일반시내

6.2. 철도

고잔역(고대안산병원)
4호선
(451)
수인·분당선
(K253)
초지역
서해선
(S26)

7. 역대 공연 및 행사

<rowcolor=#FFE806> 일자 구분 이름 관객수
2025년
3월 22일 콘서트 TRAVIS SCOTT - UTOPIA CIRCUS MAXIMUS ASIA TOUR 2025, KOREA

8. 기타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직접적 피해를 받은 단원고등학교가 여기서 5분 거리에 있다. 그래서 경기장에 재해대책본부가 설치되기도 했다. 안산 경찰청 축구단에서도 피해가 해결될 만한 기간이었던 6월에 열어야할 홈경기가 계속 연기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안산와~스타디움/2(12).jpg 파일:attachment/안산와~스타디움/map(22).jpg
원래 안산와~스타디움 일대는 위 사진처럼 4만석 규모의 돔야구장과 주상 복합 시설을 짓고 화랑캠핑장 자리에 어트렉션들을 건설해서 대규모 스포츠&위락 복합단지로 개발할 예정이었다. 이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철도를 따라 안산종합버스터미널 - 중앙역 로데오 - 롯데백화점 - 안산시청 중심업무지구 - 고대안산병원 - 안산문화재단 - 와스타디움단지 - 화랑유원지로 이어지는 안산의 거대한 경제, 행정, 문화 중심축을 완성하는 제법 거대한 스케일의 사업이었다.

하지만 2007년에 사업이 착수된 돔야구장 계획은 곧바로 터진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시간만 질질 끌다가 결국 2013년에 완전히 무산되었다. 결국 단원구청은 가건물로 버티고 있는 현 위치에 자체적으로 신청사를 짓기로 했다. 원래 안산돔 입주를 목표로 했다가 무산된 넥센 히어로즈 팬들은 교통, 시설, 무엇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는 고척 스카이돔을 쓸 바에야 지금이라도 이 자리에 야구장을 지어서 이전했으면 하는 눈치. 그런데 이장석이 안산 돔 계획 결렬로 20억을 챙겼다 카더라.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를 참조.

한편, 안산시에서는 이곳에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위령비를 건립하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V-리그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가 2014-2015 시즌을 우승하자 제종길 시장이 안산상록수체육관을 대체할 7,000~8,000석 규모의 체육관을 짓기로 OK저축은행의 최윤 구단주와 구두로 약속하기도 했다.
  • 2015 K리그 올스타전이 이 곳에서 열려 24,772명의 관중이 입장하는 성과를 냈다.#
  • 이 부지는 한국 모터스포츠사에서 처음으로 안내책자와 포스터가 만들어진 경주가 열린 현장이었는데, 현재의 스타디움이 세워지기 이전인 1991년 5월 12일 운동장 및 보조경기장 부지에 특설 트랙을 만들어서 자동차 경주 대회인 91 코리아챌린지모터레이스를 열었는데 이때 안산시에서 많은 지원 및 배려를 했으나, 결승 중에 경주차가 관객석으로 뛰어들어 안전요원 및 관중 10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4] 결국 이 경기는 중지되고, 그해 10월에 영종도에서 마무리지었다.[5]돌아본 한국모터스포츠 25년사 (4) - 1990년에서 1992년까지
  • 이 경기장이 위치한 단원구에도 동이 있지만, 정작 와~스타디움하고는 거리가 있다.

9. 둘러보기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고양종합운동장 · 잠실 돔구장(예정) · 안산와~스타디움 · 인천문학경기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제천종합운동장 · 보령종합경기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SK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상주시실내체육관 · 마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석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광림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무신사 개러지 · 꿈의숲아트센터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현대예술관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10. 관련 문서


[1] 지번: 초지동 666-1.[2] 원래 이 이름이 맨 처음부터 붙여질 이름이었다.[3] 마이어스에 가면 밥 먹으려고 가기도 하지만 돌잔치를 하기도 하고 송년회 같은 거도 한다.[4] 관련 기사: 1991년 5월 13일자 동아일보 기사, 1991년 5월 14일자 한겨레 기사[5] 현재 공항이 들어선 영종도는 국내 오프로드 레이스가 자주 열리던 현장 중 한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