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8:40:42

박정희체육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공연장'''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잠실 돔구장(예정) · 인천문학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파라다이스시티 컬처파크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경기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티켓링크 라이브 아레나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마산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금정실내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한남대학교 성지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마포아트센터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성남아트센터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석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가빈아트홀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광림아트센터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세티 라이브홀 · 스카이아트홀 · 스페이스브릭 · 신한카드 SOL 페이 스퀘어 · 연남스페이스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오방가르드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제비다방 · 푸르지오 아트홀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제임스레코드 · HD아트센터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파일:external/www.gumi.go.kr/park_ground.gif 파일:external/www.gitnews.net/1413884581ADD_thumb580.jpg
<colbgcolor=#21439c><colcolor=#ffffff> 박정희체육관
개장 <colbgcolor=#ffffff> 2001년 2월 15일
위치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375-19 (광평동)
좌석 규모 6,277석
홈 구단 대구 동양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1] (2001~2004)
구미 한국도로공사 EX-하이패스 제니스 (2005~2010)
구미 LG화재-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KB손해보험 스타즈 (2005~2017)
GS칼텍스 KIXX[2] (2012~2013)
운영 주체 구미시
<nopad>

1. 개요2. 역사3. 교통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2001년에 개장한 경상북도 구미시의 실내 체육관. 광평동 구미시민운동장 내에 있으며 경부고속도로상에서 나란히 보인다. 2002년에 체육관명을 구미 출신의 전 대한민국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의 이름을 따서 박정희체육관으로 개칭하였다.

새마을운동으로 대표되는 박정희 정부의 대한민국 경제 발전 공로를 비롯하여 박정희 전 대통령의 업적을 기념하는 의미의 작명으로서 대한민국에서 김대중컨벤션센터와 더불어 대통령의 업적을 기려 공공시설에 대통령의 이름을 붙인 드문 사례에 해당한다.

2. 역사

V-리그 원년부터 LG화재/LIG손해보험/KB손해보험의 홈 코트로 사용되었으며, 부진한 성적 속에서도 구미시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었다.

여자 배구단은 오래 머물지 못했다. V-리그 원년부터 6시즌 동안 도로공사 배구단이 사용했고[3], 장충체육관 리모델링 공사기간 동안에는 GS칼텍스가 1시즌(2012~2013 시즌)[4] 임시로 사용했다.

이 체육관에서 V-리그 챔프전 우승이 나온 적이 있다. 2012-13 시즌 챔프전에서 IBK기업은행이 임시로 구미를 홈으로 쓰던 GS를 꺾고 유일무이한 구미 우승팀이 되었다. 반면 구미를 홈팀으로 쓰던 팀들은 이곳에서의 챔프전 우승 기록이 없다. 그나마 가까운게 바로 12-13시즌 GS칼텍스의 준우승.[5]

여담으로, KB의 처참한 천안 원정 성적[6]의 요인이 이 경기장의 이름 때문이라는 소수 의견이 배갤에서 떠도는 구장이기도 하다.

2017년 KB스타즈 남자 배구단이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더 이상 프로 스포츠는 열리지 않는다.

2023년 프로배구 컵대회 우선협상 대상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시 당국 역시 유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 이변이 없으면 그대로 개최될 예정으로, 이 경우 6년 만에 구미에서 배구 경기가 열리게 된다. 2023년 5월 25일 최종 확정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프로배구 컵대회/2023년 문서에 있다.

8월 10일에 태풍 카눈의 여파로 박정희체육관의 천장에서 물이 새자, 관계자들은 비닐로 긴급히 보수했다.

3. 교통

시내버스 정류장 거리로는 시민운동장 정류장보다는 금오고등학교입구 정류장이 좀더 가깝다. 2024년 말 대경선 사곡역이 2km 거리에 개업 하였다. 거리상 제일 가깝지만 정시성이 좋을 뿐 버스 환승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교통수단은 구미시민운동장 참조.

구미역에서 버스를 이용할 경우 340번 또는 360번을 이용하면 된다.

4. 여담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가 대구에서 연고지를 삼고 있던 시절, 2~3경기 정도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른 적이 있다.
  • KCC 이지스전주시를 떠나 연고지 이전을 하면 유력한 곳이란 이야기가 있었지만 결국 부산광역시로 이전했다.[7]
  • 2017년을 끝으로 KB손해보험이 구미를 떠났는데, 2024-25 시즌 도중 의정부실내체육관이 안전 문제로 폐쇄되면서 임시 홈구장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 때 KB 프런트가 몇 년 전 자신들이 버리고 떠난 구미에 대체 홈구장으로 박정희체육관 사용에 대해 문의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8][9]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5B38,#835b38> 파일:박정희 투명.svg박정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35B38,#835b38> 일생 일생(진위 논란) · 평가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틀:박정희 가문
역대 선거 제5대 대통령 선거 · 제6대 대통령 선거 · 제7대 대통령 선거 · 제8대 대통령 선거 · 제9대 대통령 선거
사건 사고 5.16 군사정변 · 황태성 사건 · 1.21 사태 · 3선 개헌 · 7.4 남북 공동 성명 · 10월 유신 · 저격 미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10.26 사건
작사 / 작곡 새마을노래 · 나의 조국 · 금오산아 잘 있거라
관련 단체 박정희 정부 (평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군사혁명위원회) · 민주공화당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중앙정보부 · 경제기획원 · 정수장학회 · 육영재단 · 5.16 민족상재단
관련 시설 박정희로 · 박정희체육관 ·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박정희도서관) ·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 박정희 광장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금오공업고등학교 · 영남대학교
기타 여담 · 어록 · 별명 · 사상 · 박정희주의 · 박정희계 · 박정희 대통령 서독 공식 방문 · 고속도로의 노래 · 박대통령컵 · 박조건축 · 서울어린이대공원 · 독도 밀약 · 프레이저 보고서 · 김호남 · 이현란 · 박사모 · 내 일생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대중매체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영웅시대 · 야인시대 · 그때 그 사람들 · 뮤지컬 박정희 · 남산의 부장들 · 박정희: 경제대국을 꿈꾼 남자 · 그리고 목련이 필때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박정희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박정희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과거 홈구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color: #181818"
<rowcolor=#ffffff> 구단 홈구장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청주체육관W
(청주 시절)
잠실실내체육관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사직실내체육관→W
(부산 시절)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 수원 KT 소닉붐 염주종합체육관V
진남체육관
군산월명체육관2→
(광주-여수 시절)
금정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W→
(부산 시절)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인천도원체육관W
부천체육관W
인천삼산월드체육관V
(인천 시절)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 올림픽공원 제2체육관
의정부체육관V
대림대학교 체육관
(SBS 시절 임시 사용)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충무체육관V
(대전 시절)
전주실내체육관
군산월명체육관2
(전주 시절)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수원 시절)
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svg 대구체육관
박정희체육관2
(대구 시절)
고양체육관
(고양 시절)
V 표시는 현재 V-리그에서 사용, W 표시는 현재 WKBL에서 사용, 2 표시는 과거 제2 홈구장, →표시는 타 KBL 팀이 사용
◀ 사용 중인 구장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V리그 로고.svg파일:V리그 로고 화이트.svgV-리그
과거 홈구장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2c292a; 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구단 홈구장
<rowcolor=#ffffff> 남자부
파일: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엠블럼.svg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인천도원체육관W
파일: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로고.svg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박정희체육관
(구미 시절)
경민대학교 기념관
(임시 사용)
파일: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엠블럼.svg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아산이순신체육관
(아산 시절)
파일: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엠블럼.svg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마산체육관
(마산 시절)
파일:부산 OK저축은행 읏맨 엠블럼.svg 부산 OK저축은행 읏맨 상록수체육관
(안산 시절)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상무 배구단
(현재 미참여)
마산체육관
성남실내체육관
<rowcolor=#ffffff> 여자부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로고.svg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유관순체육관S
(천안 시절)
인천도원체육관W
계양체육관S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svg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마산체육관
(마산 시절)
파일: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로고.svg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박정희체육관
성남실내체육관
(구미-성남 시절)
파일:GS칼텍스 서울 KIXX 엠블럼.svg GS칼텍스 서울 KIXX 인천도원체육관W
(인천 시절)
박정희체육관
이충문화체육센터
(임시 사용)
W 표시는 현재 WKBL에서 사용, S표시는 현재 남자부 팀이 단독 사용
남자부 홈구장 여자부 홈구장
}}}}}}}}} ||

[1] 제2 홈구장[2] 장충체육관 공사로 인한 임시연고지[3] 이후 성남시로 갔지만 거기서도 5시즌만 머물다가 한국도로공사의 본사 이전으로 인해 김천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경상북도 컴백은 .[4] GS칼텍스가 지방권에 홈구장을 둔 유일한 시즌이다.[5] 이후 GS는 10년 뒤 2023년에 컵대회 우승을 이곳에서 달성하게 된다.[6] 전신인 LIG 시절에 프로화 이후 26연패라는 불명예가 있다. 시간차 타어강 덕에 현대캐피탈이 맛이 간 14-15시즌이 아니었다면 그 시즌 2승도 없었을지도?[7] 당시 KCC 이지스의 연고지 이전에 있어서 가장 유력한 지역으로 광주광역시가 많이 예상 및 언급되었고, 광주로 이전하게 되면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이 되었다. 결국 마찬가지로 KCC 이지스의 광주 이전 또한 성사되지 않았다.[8] 배구팬들의 반응은 매우 좋지 않다. 연고이전을 하면서 '구미보다 더 오래된 체육관을 가진 의정부로 가놓고 정작 노후화로 이런 불리한 일이 일어날 때 구미한테 물어보는 거는 무슨 생각이냐'는 반응이다. 설령 이 상황에서 구미로 왔다고 해도 다시 연고복귀하는 것이 아닌 이상 임시로 오는 것도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연고이전 당시에 구미시가 많은 배신감을 느끼면서 주거래 은행을 바꿨고, 열성적으로 응원해준 구미 팬들의 응원도 무시하고 성적을 핑계로 수도권으로 이전한 것이다.[9] 임시 홈구장은 경민대학교 기념관으로 확정되었다. 당시 KB가 문의한 시점에는 구미도 체육관 공사로 인해 사용이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 아무튼 안방을 잃게 되면서 수 개월간 지방으로 떠날 뻔했던 KB는 의정부 잔류에 성공했고, '경민불패'라는 좋은 징크스로 반등에 성공하며 3년 만에 PS진출+정규리그 준우승을 확정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