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소리로 31 (덕진동1가)에 있으며 부지 3만 187평, 연건평 1만 932평에 이르는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종합 공연장으로 2001년 9월 개관하였다.2. 특징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과 함께 전라북도 문화 및 공연의 메카이다. 특히 대단한 것은 이곳이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문화행사와 공연이 많이 열리는 곳이며, 도시로 치면 서울과 부산 다음가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전주시는 대표적으로 영화제를 비롯해 서울과 부산 다음으로 많고 다양한 문화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2.1. 시설
2,037석(16,959㎡, 5,129평) 규모의 모악당, 666석(8,307㎡, 2,513평) 규모의 연지홀, 206석(3,784㎡, 1,145평) 규모의 명인홀, 7000석 규모의 노천극장이 있다. 또한 총 면적 630평의 전시장, 6개 국어의 동시통역이 가능한 국제회의장도 있다. 부대시설로는 1,334평 규모의 놀이마당, 200석 규모의 연회실, 30개 연습실 등이 있으며, 편의시설로는 어린이놀이방, 물품보관소, 카페테리아, 장애인시설 등이 있다.2.2. 모악당
2.3. 세계서예비엔날레관(공사중)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부지 내에 지상 3층 규모로 2025년 5월 14일 착공,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총사업비 328억 원이 투입된다. 2019년 '서예진흥법'을 계기로 기획, 2020년부터 전북도 역점사업이 됐고, 전북이 서예로 일가견이 있어서[1] 1997년부터 14회 세계서예비엔날레를 개최해[2] 수집한 작품이 2,126점에 이르나 상설전시공간이 없어 상당수 수장고에 있어서 서예 문화 활성·보급에 한계라고 지적된데다, 서예인·단체는 한국 서예 문화가 진흥·발전하려면 거점 공간이 필요하다고 계속 요구했다. 전시실 4개소, 서예 체험실, 산업·창업지원실, 수장고, 카페 등 시설을 갖춘 문화복합시설로 조성되며, '전통 한지가 쌓인 형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도록 설계돼 자연친화적인 배치·전통미를 강조했다.※3. 문화행사
매년 가을에 이 곳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전주세계소리축제가 개최된다.4. 공연
특별전 명칭 | 날짜 | 장소 | 주최 | 설명 | 비고 |
히사이시 조 영화음악 콘서트 2023_전주 앙코르 | 2023.07.08(토) | 모악당 |
5. 교통
자가용 운전자가 오기에는 큰 무리는 없겠지만, 시내버스를 타고 오기에는 165번과 1000번[3]이 전부여서 다소 힘든 면이 있다. 문화행사나 공연을 다 보고 올려면 사람도 많고, 언제 오는지도 몰라서 택시를 타는 게 나을 수도 있다.6. 사건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성희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식 강제 퇴장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성희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식 강제 퇴장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4년 1월 18일 오전, 이곳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식을 하던 도중 일어난 사건이다.
7. 여담
- 특이점으로는 전당 인근에 전주동물원이 위치해있다.
- 더군다나 매년 봄, 전주동물원 야간개장때는 이 근처에 오는 것을 추천하고 싶지 않다. 엄청난 시내버스 탑승대기줄에 놀라게 될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