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1:16:07

광주예술의전당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잠실 돔구장(예정) · 인천문학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올림픽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마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석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광림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무신사 개러지 · 꿈의숲아트센터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스페이스브릭 · 신한카드 SOL 페이 스퀘어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오방가르드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HD아트센터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광주예술의전당
光州藝術殿堂 | Gwangju Arts Center
파일:광주예술의전당 로고.svg
<colbgcolor=#08088A><colcolor=#ffffff> 종류 공연장
개관일 1993년 7월 1일
규모 총 88,422m²
운영기관 광주광역시청
전당장 윤영문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 (운암2동)
대표번호 062–607–1010
링크 파일:광주예술의전당 심볼.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시설3. 교통
3.1. 자가용3.2. 시내버스
4. 주변5. 여담

1. 개요

파일:광주예술의전당.png
광주예술의전당 전경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공립종합공연장. 구 명칭은 '광주문화예술회관'이지만 2023년 시설 개선 후 재개장하면서 '광주예술의전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광주시립예술단[1]의 거점 공연장이며 1,772석의 대극장은 광주광역시에서 유일하게 교향악단 공연 및 오페라 공연이 가능한 곳이다. [2]

2. 시설

파일:광주 예술의전당.jpg

3. 교통

3.1. 자가용

서광주IC 이용.

3.2. 시내버스

광주예술의전당후문[3] (광주 4443)
광주예술의전당/문화예술회관[4] (광주 4441/4442)

4. 주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외공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외공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외공원#|]][[중외공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2층 1열 ~ 2열은 난간으로 인한 시야 방해가 매우 심한편이다. 만약 2층에서 오케스트라 공연을 본다고 하면 1층이나 최소 2층 4열 이상으로 잡는 걸 추천한다. 오케스트라가 무대에서 얼마나 깊숙히 배치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2층 1열의 경우 난간에 의한 시야 방해로 오케스트라 맨 뒷열에 배치된 타악기와 퍼커션 라인만 보일 정도로 시야 방해가 심하다. 지휘자는 당연히 보이지 않는다. 2층 4열부터 앉는 것을 추천한 이유는 3열에 앉을 경우 1, 2열에 앉은 관객이 공연 내내 허리를 숙이는 행위[6]를 매우 잦게 하기 때문에 비추천한다.[7]
  • 무대가 매우 깊은 편이다. 뮤지컬 공연 관람 시 사이드 블럭에 앉을 경우 배우들이 무대 깊은 곳 좌, 우측에 위치하며 연기하는 장면에서 빈 무대에 노랫 소리만 나오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8] 예컨데, 뮤지컬 <레베카> 공연에서 사이드 블럭에 앉을 경우 1막 마지막 부분 넘버인 '오늘은 나의 세상'에서 깜깜한 빈무대에 노랫 소리만 나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9] 해당 넘버는 '나''클라리스'가 2층으로 구성된 세트의 2층 드레스룸에서 연기하는 장면인데 배우들의 위치가 무대 깊은 곳의 우측에 위치하다보니 무대 우측 기둥에 가려져 배우들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뮤지컬 <레베카> 공연 뿐만 아니라 관극하고자 하는 공연에서 배우들이 상술한 위치에서 연기하는 장면이 있다면 참고하여 사이드 블럭에 앉지 말고 취켓팅을 열심히 해서 중블에 앉도록 하자.

[1] 광주시립교향악단, 광주시립창극단, 광주시립발레단,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광주시립합창단,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광주시립극단, 광주시립오페라단이 소속되어 있다.[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연시설은 개방형이라 교향악단 공연이 어렵다.[3] 국립박물관 방향[4] 매월16번, 문흥18번, 봉선27번, 수완49번, 송암72번, 용전84번, 첨단95번은 운암사거리 방향으로 갈 시, 운암시장 정류장에서 하차.[5] 광주예술의 전당 안에 소재[6] 일명 수구리[7] 1, 2열에 앉은 관객들도 난간에 오케스트라가 가려져 자꾸 허리를 앞으로 숙인다.[8] 심지어 해당 좌석들은 시야 제한석에 대한 할인도 없고 VIP석 또는 R석 금액을 그대로 받는다! 어이가 없다.[9] 뮤지컬 <레베카> 10주년 앙코르 공연 당시에는 해당 좌석들에 대한 시야 제한 안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