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12:27:37

한전아트센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공연장'''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잠실 돔구장(예정) · 인천문학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경기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파라다이스시티 컬처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티켓링크 라이브 아레나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마산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금정실내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한남대학교 성지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마포아트센터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인천문화예술회관 · 아트센터 인천 · 수성아트피아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대전예술의전당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세종예술의전당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성남아트센터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청주예술의전당 · 경주예술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 경기아트센터
1,000석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가빈아트홀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광림아트센터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세티 라이브홀 · 스카이아트홀 · 스페이스브릭 · 신한카드 SOL 페이 스퀘어 · 연남스페이스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오방가르드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제비다방 · 푸르지오 아트홀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 제임스레코드 · HD아트센터 · KT&G 상상마당 춘천· 춘천문화예술회관 · 속초문화예술회관 · 플러스씨어터 · 브릭스씨어터 ·예그린씨어터 · · 대학로 자유극장 · 한전아트센터 · NOL 서경스퀘어 ·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코튼홀
★: 전문 공연장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한전아트센터
파일:sdffsd43.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이름 한전아트센터
우편번호 06732
위치 서울 서초구 효령로72길 60
전화번호 02-2105-8133
개관일 2001년 4월
규모 999석
링크 #

1. 개요2. 특징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공연장.

2. 특징

파일:fdsf4.webp
한전아트센터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72길 60 서초동에 위치한 공연·전시 복합 문화공간이다. 2001년 4월에 개관하였으며, 한국전력공사가 설립하고 운영하는 문화예술 시설로, 전시관과 공연장이 함께 들어선 형태의 복합 예술센터이다.

한전아트센터는 “빛과 에너지, 그리고 문화가 만나는 공간”이라는 슬로건 아래 전력산업의 공공기관이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건립되었다. 현재는 서울 서초구의 대표적인 대형 공연장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뮤지컬, 연극, 클래식, 오페라,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정기적으로 열린다.

한전아트센터는 2001년 4월에 공식 개관하였다. 1990년대 후반, 한국전력공사는 자사의 본사가 위치한 양재동 지역을 문화 중심지로 조성하기 위해 전문 예술 공연장을 계획했고, 그 결과로 한전아트센터가 건립되었다. 초기에는 기업 홍보성 행사나 클래식 콘서트 위주로 운영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대관 시스템을 도입해 외부 예술단체나 뮤지컬 제작사에도 개방되었다. 이를 통해 한전아트센터는 ‘기업 부속 공연장’의 이미지를 벗고, 대학로와 예술의전당 사이에 위치한 중규모 공공 공연장으로서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했다.

3. 여담

이후 한전아트센터는 각종 뮤지컬, 창작공연, 오케스트라 연주회, 발레 공연, 기업 시상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서초동 문화벨트의 주요 공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한전아트센터는 일반 소극장보다 규모가 크지만,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보다는 작아 중대형 공연장 규모로 분류된다.

음향과 조명, 무대 전환 시스템이 모두 최신 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클래식 콘서트나 오케스트라 공연 시 음향 밸런스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연장답게 깨끗한 시설, 안정적인 운영, 합리적인 대관료 등으로 공연 관계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관객 후기에서도 ‘좌석이 편하고 시야가 좋다’‘조용하고 품격 있는 분위기’라는 평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