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주요 선거·투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대통령 선거 | 제20대 2022년 3월 9일 | 제21대 미정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회의원 선거 |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8회 2022년 6월 1일 | 제9회 2026년 6월 3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재보궐선거 |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 2025년 2025년 4월 2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부통령 선거 | 1960년 3월 15일 | 폐지*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민투표 | 제6차 1987년 10월 27일 | 시행 불가** | |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 ||||||||
후보자들의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1963년 10월 15일 5대 대선 | → | 1967년 5월 3일 6대 대선 | → | 1971년 4월 27일 7대 대선 | }}} | ||
투표율 | 83.57%▼ 1.42%p | |||||||
선거 결과 | ||||||||
후보 | [[신민당(1967년)| 신민당 ]]윤보선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박정희 | ||||||
득표율 | ||||||||
40.93% | 51.44% | |||||||
득표수 | 4,526,541 | 5,688,666 | ||||||
대통령 당선인 | ||||||||
민주공화당 박정희 |
[clearfix]
1. 개요
취임 연설을 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 |
대통령 당선 확정을 알리는 동아일보 기사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취임식 영상 |
우리들과 그리고 귀여운 아들딸들이 좀 더 잘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여러분과 함께 땀 흘려 일하겠읍니다.
여러분의 명랑한 생활과 보다 편리한 살림을 위해 공화당은 황소처럼 힘차게 일하겠읍니다.
박정희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슬로건[1][2]
1967년 5월 3일에 있었던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이다. 이전 대선에서 맞붙었던 대통령 박정희와 야당 신민당의 윤보선이 다시 한 번 대선에서 맞붙게 되었다. 지역적으로는 경북 출신(경북 구미) 후보와 충남 출신(충남 아산) 후보의 맞대결로 현직 박정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여러분의 명랑한 생활과 보다 편리한 살림을 위해 공화당은 황소처럼 힘차게 일하겠읍니다.
박정희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슬로건[1][2]
2. 배경
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기호 | 정당 | 이름 | 비고 |
1 | 정의당 | 이세진 | ||
2 | 한국독립당 | 전진한 | ||
3 | 신민당 | 윤보선 | ||
| | | 사퇴 | |
5 | 민중당 | 김준연 | ||
6 | 민주공화당 | 박정희 | 당선 | |
7 | 통한당 | 오재영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이번 선거는 커다란 이슈 없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박정희 정권 1기에서 가장 중점사안이던 한일기본조약 체결과 베트남 전쟁 파병 문제가 모두 임기 초, 중반기에 마무리되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박정희 정부 하에서 진행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고, 그렇다고 노골적으로 강압적인 모습을 보여준 것도 아니라서, 박정희에 대한 지지도는 이전보다도 더욱 탄탄해졌다. 여기에 맞상대였던 윤보선이 구태의연한 모습을 보여준 것도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국 초박빙이었던 직전 선거와는 다르게 싱겁게 박정희 후보의 재선이 확정된다.
3.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세진(李世鎭) | 98,433 | 6위 |
[[정의당(1967년)|]] | 0.89% | 낙선 | |
2 | 전진한(錢鎭漢) | 232,179 | 5위 |
| 2.09% | 낙선 | |
3 | 윤보선(尹潽善) | 4,526,541 | 2위 |
[[신민당(1967년)|]] | 40.93% | 낙선 | |
| | 사퇴 | |
| |||
5 | 김준연(金俊淵) | 248,369 | 4위 |
[[민중당(1967년)|]] | 2.24% | 낙선 | |
<colcolor=#fff> 6 | 박정희(朴正熙) | 5,688,666 | 1위 |
[[민주공화당|]] | 51.44% | 당선 | |
7 | 오재영(吳在泳) | 264,533 | 3위 |
| 2.3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935,093 | 투표율 83.57% |
투표 수 | 11,645,215 | ||
무효표 수 | 586,494 |
3.1. 지역별 개표 결과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개표 결과[3][4] | ||||
<colbgcolor=#eeeeee,#26282c> 정당 | [[민주공화당|]] | [[신민당(1967년)|]] | ||
지역 | <colcolor=black> 박정희 | <colcolor=black> 윤보선 | ||
전국 | 5,688,666 (51.44%) | 4,526,541 (40.93%) | ||
서울특별시 | 595,513 (45.19%) | 675,716 (51.28%) | ||
부산직할시 | 338,135 (64.21%) | 164,077 (31.15%) | ||
경기도 | 525,676 (40.98%) | 674,964 (52.62%) | ||
강원도 | 429,589 (51.25%) | 349,807 (41.73%) | ||
충청북도 | 269,830 (46.57%) | 252,469 (43.57%) | ||
충청남도 | 489,516 (45.37%) | 505,076 (46.81%) | ||
전라북도 | 392,037 (42.31%) | 451,611 (48.74%) | ||
전라남도 | 652,847 (44.58%) | 682,622 (46.61%) | ||
경상북도 | <colbgcolor=#835B38> 1,083,939 (64.01%) | 447,082 (26.40%) | ||
경상남도 | 838,426 (68.61%) | 281,545 (23.03%) | ||
제주도 | 73,158 (56.54%) | 41,572 (32.12%) |
박정희 후보가 동부 지역인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직할시에 더해서 제주도에서 승리하고 윤보선 후보가 서부 지역인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서 승리하였다.
박정희는 전라도,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제5대 대통령 선거보다 높은 득표율을 받았다. 그리하여 충청북도과 강원도에서 이전과 달리 승리를 거두었고, 충청남도에서는 졌으나 보합을 이루었다. 수도권에서 패배했지만 5대 대선에서 2:1 정도의 참패를 겪은 것과 달리 약 5:4 정도로 근소하게 졌다. 5대 대선 때 박정희를 소극 지지해 줬던 전라북도과 적극 지지해 줬던 전라남도에서는 지난 대선과 달리 윤보선이 이겼으며[5], 제주도는 이전보다는 득표율이 떨어졌어도 결과적으로는 박정희가 이겼다. 두 후보가 이긴 지역의 득표율 차이는 대략 5.5:4.5로 한 지역에서 일방적으로 몰표를 준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경상도 전체에서는 타 지역보다 압도적인 박정희의 지지세가 나타났다.
3.2. 격전지역
전국 시, 군, 구 단위에서 1, 2위 후보 간 표 차가 1,000표 미만이고 득표율 차가 5% 미만[6]이었던 곳은 다음과 같이 12곳이다.- 경기도 부천군: 34표 차 윤보선 승
- 전라북도 이리시: 257표 차 박정희 승[7]
- 경기도 양주군: 269표 차 윤보선 승
- 충청북도 음성군: 301표 차 윤보선 승
- 강원도 춘성군: 310표 차 박정희 승
- 경기도 의정부시: 383표 차 윤보선 승
- 서울특별시 중구: 521표 차 윤보선 승
- 충청남도 천안시: 554표 차 윤보선 승
- 전라북도 부안군: 558표 차 박정희 승[8]
- 전라북도 군산시: 633표 차 윤보선 승
- 충청남도 보령군: 847표 차 박정희 승
- 충청북도 단양군: 982표 차 박정희 승
4. 영향
워낙 이슈도 없고 결과가 비교적 쉽게 예측되는 선거다보니, 투표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 당시 역대 대선 투표율 중 가장 낮은 83.57%를 기록했다.5. 여담
5.1. 윤보선 암살 음모
“김형욱 부장이 저를 직접 불러 놓고는 ‘이 선거가 아무래도 위험해. 백중지세야. 까닥하다간 지겠어. 박 대통령의 혁명과업 완수와 경제계획을 완수하려면 할 수 없소. 암살할 준비를 하시오’라고 명령을 했습니다. 표 대결에서 박 대통령이 패배한다면 ‘윤보선씨를 총으로 저격한다’는 암살 명령이었습니다.”
방준모 당시 중앙정보부 감찰실장 #
박정희 정부는 혹여나 대선의 결과가 5대 대선처럼 박빙일 경우, 정권을 뺏길 것을 우려했다. 그렇기에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개표 결과 윤보선 후보가 승리할 경우, 그를 저격할 것을 계획했다. 이에 따라 당시 실무진이 장총을 들고 윤보선 후보의 자택 안방이 내려다 보이는 서울 종로구 덕성여고 2층에서 비밀리에 대기했으나, 개표 결과 박정희 후보가 승리하게 되어 계획은 취소됐다고 한다.방준모 당시 중앙정보부 감찰실장 #
[1] 이렇게 포스터의 양옆 가장자리에 작게 세로로 썼다.[2] 윤보선 측은 "빈익빈이 근대화냐 썩은 정치 뿌리 뽑자!!". #[3] 현재 행정구역 기준으로, 당시 행정구역 기준이 아니다.[4] 지도에 잘못된 부분이 있다. 창원시는 윤보선이 아니라 박정희가 이겼는데, 미처 수정을 못하고 저장했다고. (제작자 본인이 밝힘.)[5] 전라도의 표심이 변동한 이유로 일각에서는 박정희가 경제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중공업 단지들을 주로 경상도에 유치시켜 소외감을 유발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6] 옹진군의 경우, 999표차로 박정희 우세였지만 득표율은 12.7%나 차이가 났기때문에 격전지라고 볼 수 없다.[7] 현 익산시. 보수정당 후보의 마지막 승리[8] 보수정당 후보의 마지막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