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운동 시설을 시설 형태라는 관점에서 분류하면 단독 운동 시설과 종합적인 운동 시설로 나뉘는데 후자, 즉 몇 가지 운동 종목에 맞는 운동 시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을 종합 운동장이라고 부른다. - 체육학대사전)
여러 가지 운동 경기 종목의 경기장 시설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조성한 체육 시설 단지를 종합 운동장 혹은 종합 경기장이라고 부른다. 20세기에는 '공설 운동장(公設運動場)'을 주로 사용했다.
국내에서는 종합 운동장이 체육 시설 단지의 의미뿐만 아니라 축구와 육상 경기 등을 모두 치를 수 있는 주경기장(메인 스타디움)의 의미로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용어의 명확성이 다소 떨어진다. 상당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체육 단지와 주경기장 모두 'OO(지역명)종합운동장'이라고 칭한다. 2010년대 들어 'OO(지역명)스포츠파크'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주경기장에 대해 종합 운동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곳도 증가하면서 용어 혼란을 가중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종합 운동장이 체육 단지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주경기장을 의미하는지 상황에 따라 파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주경기장과 같이 단일 경기장에 여러 용도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를 나무위키에서 찾으려면 다목적 경기장 문서를 별도로 참고하는 것이 좋다.
서구권에서는 종합 운동장을 뜻하는 단어는 스포츠 콤플렉스(Sports Complex)라고 지칭하고 해당 단지를 구성하는 체육 시설 중 하나인 주경기장(메인 스타디움)은 그냥 스타디움(stadium)[1]이라고 부르고 있다.
2. 대한민국의 종합 운동장
「체육시설의설치·이용에관한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에 의해 대한민국의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는 국제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규격의 체육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기초자치단체(특별시, 광역시 산하의 기초자치단체 제외) 역시 인구 수에 따라 정해진 적정규격의 종합 체육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일정 기준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에는 아래 목록에 없더라도 전국체육대회나 기타 종합 체육 대회를 개최 가능한 종합 운동장이 하나 이상은 있다.2.1. 서울특별시
- 목동종합운동장
- 반포종합운동장
- 서울종합운동장(잠실종합운동장):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을 개최한 곳으로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에서 차지하는 상징성이 매우 크다. 보통 서울에서 종합 운동장이라고 하면 여길 뜻한다.
- 올림픽공원: 서울종합운동장과 함께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을 치른 곳으로, 이름은 공원이지만 따지고 보면 대형 실내체육관, 테니스 경기장, 사이클 경기장, 수영장 등이 있기에 종합운동장의 형태도 띄고 있다.
- 효창운동장: 동대문운동장이 사라진 상황에서 현존하는 서울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종합운동장이다. 육상 트랙이 있기는 하지만 정규 규격은 아니다.
동대문운동장: 서울종합운동장 이전 시대 대한민국 스포츠의 중심. 2007년 철거됐다.
2.2. 부산광역시
- 구덕운동장[2]: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된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운동장.
- 사직종합운동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사직 야구장,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수영장 등
2.3. 대구광역시
2.4. 인천광역시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숭의종합경기장: 문학경기장이 생기기 전까지 인천의 스포츠 메카였다. 주경기장과 숭의야구장, 인천도원체육관, 시립도원수영장이 함께 있었으나 현재는 체육관과 수영장만 남았다. 주경기장과 야구장은 2008년 철거됐고 그 자리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이 세워졌다.
2.5. 광주광역시
2.6. 대전광역시
2.7. 울산광역시
2.8.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시민운동장
- 조치원체육공원
2.9. 경기도
- 가평종합운동장
- 고양종합운동장
- 광명종합운동장
- 광주공설운동장
- 남양주종합운동장
- 동두천종합운동장
- 물맑은양평종합운동장
- 부천종합운동장
- 성남종합운동장
- 소사벌레포츠타운
- 수원종합운동장
- 안산와~스타디움[7]
- 안성종합운동장
- 안양종합운동장
- 여주종합운동장
- 연천종합운동장
- 오산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8]
- 의정부종합운동장
- 이천종합운동장
- 정왕스타디움
- 탄천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포천종합운동장
- 하남종합운동장
- 화성종합경기타운
김포종합운동장[9]용인종합운동장[10]
2.10. 강원특별자치도
- 강릉종합운동장
- 고성종합운동장
- 동해웰빙레포츠타운
- 삼척종합운동장
- 속초종합운동장
- 양구종합운동장
- 양양종합운동장
- 영월공설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인제종합운동장[11]
- 정선종합경기장
- 철원종합운동장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 태백종합경기장
- 평창종합운동장
- 화천공설운동장
- 횡성종합운동장
- 홍천종합운동장
2.11. 충청북도
2.12. 충청남도
- 계룡종합운동장
- 공주시민운동장
- 금산종합운동장
- 논산시민운동장
- 당진종합운동장
- 보령종합경기장
- 부여종합운동장
- 서산종합운동장[13]
- 서천종합운동장
- 이순신종합운동장
- 천안종합운동장
- 청양공설운동장
- 태안종합운동장
- 홍주종합운동장
- 예산종합운동장
2.13. 전북특별자치도
2.14. 전라남도
- 강진종합운동장
- 광양공설운동장
- 구례공설운동장
- 나주종합스포츠파크
- 대불종합체육공원[15]
- 도초종합운동장[16]
- 목포종합경기장
- 무안종합스포츠파크
- 박지성공설운동장[17]
- 보성공설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신안공설운동장
- 여수망마경기장[18]
- 영광스포티움
- 영암종합운동장
- 옐로우시티스타디움[19]
- 완도공설운동장
- 우슬체육공원[20]
- 장성공설운동장
- 장흥공설운동장
- 진남종합운동장[21]
- 진도공설운동장
- 함평공설운동장
- 화순공설운동장
목포유달경기장[22]
2.15. 경상북도
- 경산생활체육공원
- 경주시민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김천종합스포츠타운
- 문경시민운동장
- 봉화공설운동장
- 상주시민운동장
- 성주공설운동장
- 안강종합운동장
- 안동시민운동장
- 영덕군민운동장
- 영양공설운동장
- 영주시민운동장
- 영천시민운동장
- 예천스타디움
- 울릉공설운동장
- 울진종합운동장
- 의성종합운동장
- 청도공설운동장
- 청송군민운동장
- 칠곡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2.16. 경상남도
- 거제스포츠파크
- 거제종합운동장
- 고성군종합운동장
- 김해운동장
- 김해종합운동장[23]
- 밀양종합운동장
- 사천종합운동장
- 삼천포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옥포종합운동장
- 진영종합운동장
- 진주공설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진해공설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통영공설운동장
마산종합운동장[24]
2.17. 제주특별자치도
- 강창학종합경기장
- 남원생활체육관운동장
- 제주종합경기장
- 한림종합운동장
3. 여담
3.1. 애물단지?
종합운동장이 축구 관람에 부적합하다고 축구전용구장을 짓고 이주한 프로 축구팀이 늘거나 무리하게 종합운동장을 지은 경우 등 여러 이유로 지자체들이 종합운동장의 활용처를 못찾고 유지보수하는 돈만 들어 큰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광주대구인천 서울같은 큰 도시는 공연 등 수요가 많아 덜하지만 일반 대도시는 서울에 밀려 수요를 받아먹지 못하니 더 부담이 된다.[1] 좀 더 명확하게는 main stadium인데 그냥 줄여서 stadium이라 부르는 것이다.[2] 현재 주경기장을 제외한 다른 시설들은 철거. 여기에 이쪽은 집회•문화시설로 분류가 되어있어서 법적으로는 운동장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3] 500석 규모의 소형 경기장.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히딩크호가 이 곳에서 훈련하기도 했다.[4] 인조잔디가 깔린 종합경기장이지만 하키 경기장을 거쳐 테니스 경기장으로 용도가 바뀌었다.[5] 현재는 야구 전용 경기장이다.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참고.[6] 2022년 철거 후 2025년 한화의 새 야구장인 베이스볼 드림파크로 재건축[7] ~가 포인트. ~가 없으면 안 된다.[8] 2022년 보조구장 완공[9] 2021년 재개발로 철거[10] 주경기장 철거로 실내 시설만 남았다. 백군기 용인시장이 주경기장을 철거하고 해당 부지에 용인센트럴파크 조성을 계획중이지만, 지역 정치권과 시의회, 처인구민이 버스터미널 증축을 요구하며 반대 중이다. 이후엔 구청 건설이 확정.[11] 2026년 완공 예정[12] 2021년 철거[13] 서산축구경기장은 서산시에 없다.[14] 군산시 사정동 소재[15] 영암군 삼호읍 소재[16] 신안군 도초면 소재[17] 고흥군 고흥읍 소재[18] 망마체육공원[19] 장성군 장성읍 소재[20] 우슬경기장, 우슬체육관, 우슬동백체육관, 우슬펜싱체육관, 우슬국민체육센터, 우슬트레이닝센터, 우슬실내육상경기장, 우슬탁구장, 우슬배드민턴장, 우슬소프트테니스장, 만수정궁도장 등 위치, 해남군 해남읍 소재[21] 여수시 오림동 소재, 진남체육공원[22] 2021년 철거[23] 2024년 전국체전 유치를 위해서 신축되었다.[24] 현재 주경기장은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창원 NC 파크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