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하류 | 하성미개통 - 일산 - 김포 - 행주 - 방화 - 마곡(철) - 가양 - 월드컵 - 성산 - 양화 - 당산(철) - 서강 - 마포 - 원효 - 한강(철) - 노량 - 한강 - 동작 - 반포 - 한남 - 동호 - 성수 - 영동 - 청담 - 잠실 - 잠실(철) - 올림픽 - 천호 - 광진 - 구리암사 - 고덕토평미개통 - 강동 - 수석미개통 - 미사 - 팔당 - 제2팔당미개통 - 팔당댐 관리교 | ← 상류 | 북한강 |
남한강 |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청계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도림천 | }}}}}}}}} |
하류 방면 ← 올림픽대교 | 한강의 교량 | 상류 방면 광진교 → | |||
천호대교 千戶大橋 | Cheonhodaegyo(Bridge) | |||||
▲ (북단) 천호대로 (43번 국도, 50번 서울특별시도) | |||||
가양 방면 올림픽대교 ← 0.9 km | 강변북로 23 | 남양주 방면 광진교 0.3 km → | |||
개화 방면 올림픽대교 ← 1.3 km | 올림픽대로 19 | 강일 방면 광진교 0.2 km → | |||
▼ (남단) 천호대로 (43번 국도, 50번 서울특별시도) | |||||
다른 문자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千戶大桥 | |||
가타카나(신자체) | [ruby(千戶, ruby=チョンホ)]大橋 | }}}}}}}}} | |||
위치 |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 ||||
연혁 | |||||
1976년 7월 5일 (완공) | |||||
시공 | 관리 | ||||
동아건설 | 서울특별시 | ||||
길이 / 폭 | |||||
길이 1,150m, 너비 25.6m (6차선) | |||||
구조형식 | |||||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형교 (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 |||||
연속 강합성상형교 (Continuous Steel Box girder Bridge) |
1976년 7월 5일 천호대교 개통식[1] |
올려다 본 천호대교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강동구 천호동 사이를 잇는 길이 1,150m, 너비 25.6m의 6차선 다리로 양쪽에 각각 4m의 보도가 있다. 1976년 7월 5일에 완공되었다.2. 상세
천호대교는 합성형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형교(750m)와 4경간 연속 강철박스형교(400m)로 이루어져 있는 서울의 도심지와 천호지구를 연결하는 중추교량으로서 천호지구의 개발과 천호대로의 건설에 따라 노후한 광진교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것에 대비하여 1976년 7월 5일 준공되었다.천호대교의 개통으로 강동권의 교통량 증가를 완화할 수 있게 되었으나 1986년 이후에는 늘어나는 교통량을 소화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1989년 하류에 올림픽대교가 건설됨으로써 소통이 다소 완화되었다.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천호역-광나루역 구간을 천호대교 밑 하저터널로 통과한다. 천호대교 수직 방향 아래는 아니고 상류, 즉 북쪽으로 조금 굴절되어 올라가 있다. 네이버 지도를 보면 천호사거리에서 천호대교 쪽이 아니라 광진교 쪽으로 방향을 조금 틀어서 한강을 건넌다. 이 하저터널은 가물막이 공법(개착식 공법)으로 뚫었다. 여의나루 - 마포 방식으로 땅속을 파내려가서 뚫기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물을 막은다음 계속 땅을 파내려가서 일반적인 지하철 뚫는 방식으로 천호대교 밑을 파내려가서 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다시 되메우기 방식으로 하저터널을 설치했다.따라서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차량들이 강일IC로 갈 때 천호대교를 건너가기도 하나, 구리암사대교 경유시에 비하면 코스가 약간 복잡하다. 이유는 광양중고교 근처(잠실대교)같이 천호대교 남단에서 우회전한 후 굴다리로 한 번 더 가서 돌려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구리암사대교는 고속도로 진출입로와 비슷하게 생겼다. 최근에는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아용해 상일IC로 진출입하는 고속버스들도 늘어났다. 다만 올림픽대교남단IC에 U턴 연결램프가 개통해서 이쪽으로 빠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인해 버스는 빨라졌지만 일반 승용차의 경우 상습 정체가 심해졌다. 편도 3차로 중 2차로만 쓸수 있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8차선 확장안을 현재 서울시가 검토중에 있다.
43번 국도가 이 다리를 통과한다.
3. 이 다리를 지나는 버스 노선
광주시 및 하남시에서 강변역을 오가는 시내버스 노선(하남 버스 9304 등)의 운행 경로에 포함된다.
예전에는 성남 버스 70의 운행 구간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4. 사건사고
1977년 9월 2일 한 5세 어린이가 육백만불의 사나이 흉내를 내서 천호대교에서 뛰어내려 추락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987년 6월 26일 이동용 전 해병대사령관이 자신의 아들을 살해하고 수사망이 좁혀오자 천호대교에서 뛰어내려 자살했다.
1988년 4월 1일 천호대교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승객 19명이 사망하고 3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재생타이어를 전륜에 달았다가 전륜에 단 타이어가 주행 중 펑크가 발생한 것이 원인이다. 이 사고 이후로 버스에는 후륜에만 재생타이어를 사용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되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34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48>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양대교 북단 - 노을대교 교차로 - 월드컵대교 북단() - 성산대교 북단() - 양화대교 북단 - 서강대교 북단 - 마포대교 북단 - 원효로IC - 원효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 동작대교 북단 - 반포대교 북단 - 한남대교 북단() - 성수JC()1 - 성수대교 북단1 - 영동대교 북단1 - 청담대교 북단()1 - 잠실대교 북단 - 잠실철교 - 올림픽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 광진교 - 구리시계 | ||
1: 동부간선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734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48>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화IC - 정곡IC - 88JC() - 궁산IC - 가양대교 남단 - 염창IC - 염창JC - 월드컵대교 남단 - 성산대교 남단 - 양화대교 남단 - 여의하류IC - 여의JC - 여의중류IC - 여의상류IC - 동작대교 남단 - 반포대교 남단 - 한남대교 남단() - 동호대교 남단 - 성수대교 남단 - 영동대교 남단 - 청담대교 남단 - 탄천IC - 종합운동장IC - 잠실대교 - 잠실철교 - 올림픽대교 - 천호대교 - 광진교 남단 - 암사역 입구 - 토끼굴 입구 - 암사IC - 강일I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