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1 08:32:39

마곡대교


파일:하천 심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하류(서해)▲
일산대교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김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행주대교
[[교량#s-3.4|
아치트러스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7호선.svg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30호선.svg
방화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AREX_icon.svg
마곡대교
가양대교[[교량#s-3.7.1|
사장교
]]
월드컵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산대교
[[교량#s-3.5|
아치교
]]
양화대교
파일:Seoulmetro2_icon.svg
당산철교
[[교량#s-3.5|
아치교
]]
서강대교
마포대교원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1_icon.svg
한강철교
[[교량#s-3.5|
아치교
]]
한강대교
[[교량#s-3.5|
아치교
]]
파일:Seoulmetro4_icon.svg
동작대교
반포대교
잠수교
한남대교[[교량#s-3.4|
트러스교
]]
파일:Seoulmetro3_icon.svg
동호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성수대교
영동대교[[교량|
복층교
]]
파일:Seoulmetro7_icon.svg
청담대교
잠실대교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철교
[[교량#s-3.7.1|
사장교
]]
올림픽대교
천호대교광진교[[교량#s-3.5|
아치교
]]
구리암사대교
[[교량#s-3.7.1|
사장교
]]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9호선.svg
고덕토평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강동대교
착공 예정

수석대교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60호선.svg
미사대교
팔당대교
건설 중

제2팔당대교
팔당댐 관리교
▲상류(북한강,남한강)▲
강변도로의 교량은 제외}}}}}}}}}
마곡대교
麻谷大橋 | Magokdaegyo (Bridge)
하류 방면
방화대교
[[교량#s-3.4|
트러스교
]]
한강의 교량
상류 방면
가양대교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마곡나루
공항철도 서울 방면
디지털
미디어시티
다른 문자 표기
간체자 麻谷大桥
가타카나
(신자체)
[ruby(麻谷, ruby=マゴク)]大橋
위치
북단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남단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총연장 선로
2,930m 10.7m 복선
구조형식
상부 강상판 상자형교
(Steel Box Girder)
하부 단순 워런 트러스교
(Warren Truss Bridge)
개통
2010. 12. 29.
시공
현대건설
관리
공항철도 공항철도(주)

1. 개요2. 특징3. 역사4. 기타

1. 개요

파일:attachment/IMG_0509.jpg
마곡대교의 모습
마곡대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잇는 철교이다. 한강의 교량 중에서도 가장 긴 2.9km의 다리이다. 구간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549-5' 번지 인근부터 서울식물원 호수공원 인근까지이다. 강변 쪽은 강상판 상자형, 중간 부분은 하부 부분이 단순 워런 트러스로 만들어진 철교이다. 한강철교(A선, B선)에서 볼 수 있는 상부 트러스 구조물을 하부에 넣은 것과 비슷한 형태이다. 다리 하나에 선로가 2개 부설된 복선철도교이고, 콘크리트도상을 사용하는 도상교량이다.

철교로 건설되어 있지만 공식 명칭에서 '철교'가 아닌 '대교'를 사용한다. 실제 도로를 지날 때 안내하는 표지판에 마곡대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인천국제공항철도 열차를 타고 지나가다 보면 철로 표지판에 마곡대교(시점, 종점)라고 써 있다. 네이버 지도에도 마곡대교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한강 이남의 자전거길을 가다 보면, 바닥에는 흰색 글씨로 마곡철교라고 써 있다.

2. 특징

철교라는 점을 제외하면 붕괴한 옛 성수대교와 여러모로 유사점이 많은 다리이다. 하늘색 계통의 트러스 색상도 거의 일치하고 교량 구조 디자인도 상당히 유사하여, 1994년 붕괴한 옛 성수대교를 떠올리게 하지만 튼튼하며, 당산철교 신교(구교는 철거)와 같은 1등급 철교 인증을 받았다. 그리고 서쪽에 인접한 방화대교성수대교의 서쪽에 인접한 동호대교와 유사한 교량 디자인을 보이는 등 의외로 비슷한 점이 많다.

3. 역사

2010년 12월 29일 인천공항철도 2단계 구간과 함께 개통되었다.

4. 기타

  • 후반부에 등장하는데 이름과 공항철도가 지나간다는 것만 같고 실제 촬영 장소는 경춘선 가평철교였다.
  • 올림픽대로 강일IC 방향으로 갈 때 마곡대교 다리 옆부분에 Seoul Welcomes You라는 문구가 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통해 서울로 진입하려 할 때 올림픽대로를 이용할 경우 첫 번째로 만나는 서울시내 한강교량이 이 다리이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서울입니다. 서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정도의 의미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