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한산성로의 둘러보기 틀 | ||||||||||||||||||||||||||||||||||||||||||||||||||||||||||||||||||||||||||||||||||||||||||
| ||||||||||||||||||||||||||||||||||||||||||||||||||||||||||||||||||||||||||||||||||||||||||
| 남한산성로 南漢山城路 | Namhansanseong-ro | |||
| ← 성남 방면 수정로 | 342번 지방도 | 양동 방면 → 회안대로 | |
| 기점 |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 |||
| 종점 | |||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광지원리 남한산성입구삼거리 | |||
| 연장 | |||
| 12 km | |||
| 관리 | |||
| 성남시청(산성동 ↔ 남한산성) 경기도청(남한산성 ↔ 광지원리) | |||
| 주요 경유지 | |||
| 산성동 ↔ 남한산성 ↔ 광지원리 | |||
1. 개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서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광지원리 남한산성입구삼거리까지 잇는 일반 도로. 전 구간이 342번 지방도에 속한다.2. 특징
성남 본시가지가 중부면 성남출장소(광주대단지)일 당시 중부면 읍내와 성남을 이어주던 유일한 도로였다. 즉 성남에 사는 사람이 중부면사무소 등 읍내 관청에 볼일이 있으면 남한산성을 올라갔다 내려와야 했다는 것. 지금은 광주~성남간 왕래 시 경충대로를 경유하므로 남한산성을 통해 교류하지 않는다.길이 워낙 좁고 비탈진 길인데다 차가 많이 몰리면 답이 없는 길이 되고 남한산성이 서울 근교의 대표적인 단풍 명소로 인기를 끄는데다 남한산성행궁 주변에 식당가가 넓게 펼쳐진 이유로 가을 단풍철 등 행락철이 되면 이곳을 찾는 수많은 차들로 상당한 정체를 빚는다. 남한산성로 서쪽 끝에서 조금만 올라오면 "정체시 이 지점부터 남한산성행궁 로터리까지 1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