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 left" | 1945년 남북분단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행정구역 단계별로 구분 및 폐지 날짜 순서대로 나열 북: 폐지 후 이북 5도에 명목상 존속 (단, 옹진군은 인천광역시 소속으로, 황해도 소속과 별개 취급) / 95: 1995년 도농통합으로 인한 폐지 / 승: 광역자치단체 승격으로 인한 폐지 볼드체: 광역자치단체 / 이탤릭체 : 기초자치단체 하위 행정구역 | |||
| 경기 | 황해도북 벽성군북 · 장연군북 · 서울시승 · 개성시북 · 개풍군북 · 연백군북 · 북포천군 · 장단군북 · 부천군 · 인천시승 · 시흥군 · 고양군 · 미금시95 · 남양주군95 · 송탄시95 · 평택군95 반월면 · 일산구 · 태안읍 · 동탄면 · 오포읍 | |||
| 강원 | 강원도 평강군북 · 김화군북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
| 충북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원군 · 구 청주시 | |||
| 충남 | 대전시승 · 대덕군 · 대천시95 · 공주군95 · 보령군95 · 서산군95 · 아산군95 · 온양시95 · 천안군95 · 연기군승 | |||
| 전북 | 전라북도 김제군95 · 옥구군95 · 정읍군95 · 정주시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
| 전남 | 광주시승 · 광산군 · 송정시 · 광양군95 · 나주군95 · 동광양시95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
| 경북 | 울릉도 · 대구시승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문경군95 · 선산군95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95 · 영풍군95 · 점촌시95 내동면 · 월곡면 · 풍서면 | |||
| 경남 | 부산시승 · 동래군 · 거제군95 · 김해군95 · 밀양군95 · 울산군95 · 장승포시95 · 진양군95 · 충무시95 · 창원군95 · 통영군95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울산시승 · 마산시 · 진해시 · 구 창원시 원량면 · 웅상읍 · 울주구 · 장유면 | |||
| 제주 | 제주도(濟州道) 제주도(濟州島) · 남제주군 · 북제주군 | |||
| 대한제국~일제강점기에 폐지된 행정구역 | }}}}}}}}} | |||
1. 개요
| |
| 명주군 시절 사용된 군기(郡旗)[1] |
溟州郡
1895년부터 1955년 8월 31일까지는 강릉군, 1955년부터 1995년까지는 명주군이라는 이름으로 존속했던 대한민국 강원도의 행정구역.
2. 역사
1895년 23부제 실시로 강릉군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됐다.1906년 9월 24일에 도암면(현 평창군 대관령면), 임계면이 정선군으로, 대화면[2], 봉평면, 진부면이 평창군으로, 내일리면과 내삼리면이 인제군으로 각각 편입되어 군역이 2,962.74㎢[3]에서 1,078.28㎢로 ⅓ 정도로 축소되었다.
1945년에 양양군의 38선 이남 지역인 현남면 전역과 현북면, 서면의 각 일부를 편입하고 편입해 온 서면 일부를 신서면으로 개칭했다.
1955년 9월 1일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이 강릉시로 승격되면서 강릉군의 잔여 지역은 명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도농분리제를 시행했기 때문에 당시에는 군의 중심부였던 읍이 시로 승격되는 경우 승격될 시나 기존의 군의 이름을 변경했는데, 후자의 경우 원래 이름에 원(原), 성(城) 등을 붙이거나[4] 역사적인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5] 명주는 강릉의 옛 이름으로 역사성을 고려하여 개명한 경우였다.
강릉시 승격 이후인 1962년에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에 따라 현남면을 양양군에 돌려주었다.
1978년 6월에 한국은행 강릉지점 자리에 있던 군청을 강릉시 교동으로 신축/이전했으며,[6] 1980년에는 군 남부의 중심지였던 묵호읍이 삼척군 북평읍과 함께 동해시로 승격되면서 군세가 줄어들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함께 강릉시와 통합하여 도농통합 강릉시로 출범하였다.
3. 인구
| (1925년~1995) |
1925년 80,905명 |
1930년 92,507명 |
1935년 104,300명 |
1940년 128,075명 |
1944년 127,870명 |
1949년 87,947명 |
| 1955년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강릉시로 승격 분리, 강릉군 명주군으로 개칭 |
1955년 118,636명 |
1960년 145,442명 |
1966년 153,859명 |
1970년 152,794명 |
1975년 149,961명 |
| 1980년 묵호읍, 삼척군 북평읍 동해시로 승격 분리 |
1980년 86,573명 |
1985년 84,312명 |
1990년 76,361명 |
| 1995년 명주군+강릉시 → 도농복합 강릉시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댓값은 20만 명 |
4. 행정구역
5. 관련 문서
[1] 1965년 2월 26일에 제정되어 30년 동안 사용되었다.[2] 2차대전 직전 방림면/대화면 분면[3] 강릉시 1,040.04㎢ + 동해시 부곡동 5.08㎢ + 동해시 동호동 2.87㎢ + 동해시 발한동 1.15㎢ + 동해시 묵호동 3.35㎢ + 동해시 망상동 25.79㎢ + 평창군 방림면 120.85㎢ + 평창군 대화면 166.6㎢ + 평창군 봉평면 217.41㎢ + 평창군 용평면 135.43㎢ + 평창군 진부면 331.06㎢ + 평창군 대관령면 221.63㎢ + 정선군 임계면 243.53㎢ + 홍천군 내면 447.95㎢[4] 예) 청주군 → 청원군, 춘천군 → 춘성군[5] 예) 충주군 → 중원군[6] 이때 지어진 군청 건물은 지금도 남아있다. 2000년대 들어서 리모델링이 이뤄졌고, 2009년부터 모루도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