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고양 | 과천 | 광명 | 광주 | 구리 |
| 이동환 | 신계용 | 박승원 | 방세환 | 백경현 | |
| 군포 | 김포 | 남양주 | 동두천 | 부천 | |
| 하은호 | 김병수 | 주광덕 | 박형덕 | 조용익 | |
| 성남 | 수원 | 시흥 | 안산 | 안성 | |
| 신상진 | 이재준 | 임병택 | 이민근 | 김보라 | |
| 안양 | 양주 | 여주 | 오산 | 용인 | |
| 최대호 | 강수현 | 이충우 | 이권재 | 이상일 | |
| 의왕 | 의정부 | 이천 | 파주 | 평택 | |
| 김성제 | 김동근 | 김경희 | 김경일 | 정장선 | |
| 포천 | 하남 | 화성 | 가평 | 양평 | |
| 백영현 | 이현재 | 정명근 | 서태원 | 전진선 | |
| 연천 | |||||
| 김덕현 | |||||
| 선거 결과 |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
| 경기도 하남시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임수복 | 제2대 백종민 | 제3대 임석봉 | 제4대 김상호 | 제5대 김영민 |
| 제6대 박계민 | 제7·8대 손영채 | 제9대 이교범 | 제10대 김황식 | 제11·12대 이교범 | |
| 제13대 오수봉 | 제14대 김상호 | 제15대 이현재 | |||
| | }}}}}}}}} | ||||
| <colcolor=#ffffff> '''경기도 하남시장 河南市長 Mayor of Hanam City ''' |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이현재 / 제15대 (민선 8기) |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 정당 | |
| 홈페이지 | 하남시청 열린시장실 |
1. 개요2. 역대 하남시장3. 역대 선거 결과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 2017년 4월 재보궐선거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시정 구호5. 관련 문서1. 개요
하남시장은 경기도 하남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경기도 하남시 대청로 10 (신장동)에 있는 하남시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역대 하남시장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1] | 비고 |
| 관선(임명직) 경기도 하남시장 | ||||
| 초대 | 임수복 | 1989년 1월 1일 ~ 1991년 1월 9일 | 노태우 정부 | |
| 2대 | 백종민 | 1991년 1월 10일 ~ 1991년 7월 15일 | ||
| 3대 | 임석봉 | 1991년 7월 16일 ~ 1992년 9월 27일 | ||
| 4대 | 김상호 | 1992년 9월 28일 ~ 1993년 5월 24일 | [2] | |
| 5대 | 김영민 | 1993년 5월 25일 ~ 1994년 12월 31일 | 김영삼 정부 | |
| 6대 | 박계민 |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
| 민선(선출직) 경기도 하남시장 | ||||
| 7대 | 손영채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
| 8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2월 7일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3] | |
| 9대 | 이교범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
| 10대 | 김황식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
| 12대 | 이교범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
| 13대 | 2014년 7월 1일 ~ 2016년 10월 26일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4] | |
| 14대 | 오수봉 | 2017년 4월 13일 ~ 2018년 6월 30일 | | |
| 15대 | 김상호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16대 | 이현재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
3. 역대 선거 결과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7bb,#0047bb><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ffffff,#1c1d1f><color=#000000,#dddddd>
역대 하남시장 선거 결과 ||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민주당 | ||
| 손영채 | 이교범 | 김황식 | 이교범 | |||
| 2014 | 2017 재보궐 | 2018 | 2022 | 2026 | ||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 이교범[5] | 오수봉 | 김상호 | 이현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 1995년 | 1위: [[민주당(1991년)| 민주당 ]] 손영채 31.20%2위: 양인석 20.37% 3위: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구자관 19.74%4위: 김영민 16.31% |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손영채 50.41%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박덕진 37.95% | |||||
| 2002년 |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이교범 56.92%2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김시화 31.86% | |||||
| 2006년 | 1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김황식 40.78%2위: 이교범 22.24% 3위: 박우량 18.62% 4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유병직 10.80% |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민주당 ]] 이교범 49.46%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윤완채 40.11% |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이교범 52.40%2위: 김황식 44.30% | |||||
| 2017년 | 1위: 오수봉 37.80% 2위: 윤재군 28.18% 3위: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유형욱 27.51% | |||||
| 2018년 | 1위: 김상호 65.91% 2위: 구경서 34.08% | |||||
| 2022년 | 1위: 이현재 56.02% 2위: 김상호 43.97% | }}}}}}}}} | ||||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구자관(具滋寬) | 9,635 | 3위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19.74% | 낙선 | |
| 2 | 손영채(孫永彩) | 15,228 | 1위 |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31.20% | 당선 | |
| 3 | 김영민(金榮民) | 7,959 | 4위 |
| | 16.31% | 낙선 | |
| 4 | 박영길(朴英吉) | 4,354 | 5위 |
| | 8.92% | 낙선 | |
| 5 | 양인석(梁麟錫) | 9,944 | 2위 |
| | 20.37% | 낙선 | |
| 6 | 유병익(兪炳益) | 1,678 | 6위 |
| | 3.43%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75,923 | 투표율 65.54% |
| 투표 수 | 49,757 | ||
| 무효표 수 | 959 | ||
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덕진(朴德鎭) | 16,422 | 2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37.95% | 낙선 | |
| 2 | 손영채(孫永彩) | 21,812 | 1위 |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50.41% | 당선 | |
| 4 | 엄종섭(嚴鍾燮) | 2,396 | 4위 |
| | 5.53% | 낙선 | |
| 5 | 박영길(朴英吉) | 2,638 | 3위 |
| | 6.0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5,883 | 투표율 51.68% |
| 투표 수 | 44,381 | ||
| 무효표 수 | 1,113 | ||
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교범(李敎範) | 25,184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56.92% | 당선 | |
| 2 | 김시화(金是華) | 14,098 | 2위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31.86% | 낙선 | |
| 3 | 박영길(朴英吉) | 2,225 | 4위 |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5.02% | 낙선 | |
| 4 | 김용운(金龍運) | 2,735 | 3위 |
| | 6.1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90,732 | 투표율 49.40% |
| 투표 수 | 44,825 | ||
| 무효표 수 | 583 | ||
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유병직(兪炳稷) | 5,601 | 4위 |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 10.80% | 낙선 | |
| 2 | 김황식(金晃植) | 21,140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0.78% | 당선 | |
| 3 | 김시화(金是華) | 3,913 | 5위 |
| [[민주당(2005년)| 민주당 ]] | 7.54% | 낙선 | |
| 6 | 박우량(朴禹良) | 9,655 | 3위 |
| | 18.62% | 낙선 | |
| 7 | 이교범(李敎範) | 11,529 | 2위 |
| | 22.2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3,677 | 투표율 50.5% |
| 투표 수 | 52,413 | ||
| 무효표 수 | 575 | ||
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윤완채(尹完采) | 23,866 | 2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0.11% | 낙선 | |
| 2 | 이교범(李敎範) | 29,429 | 1위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49.46% | 당선 | |
| | | 사퇴[6] | |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
| 7 | 박영길(朴英吉) | 1,286 | 4위 |
| | 2.16% | 낙선 | |
| 8 | 유병훈(兪炳勳) | 4,915 | 3위 |
| | 8.26%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18,086 | 득표율 53.11% |
| 투표 수 | 62,717 | ||
| 무효표 수 | 3,221 | ||
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황식(金晃植) | 28,615 | 2위 |
| | 44.30% | 낙선 | |
| 2 | 이교범(李敎範) | 33,841 | 1위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52.40% | 당선 | |
| 4 | 이옥진(李玉辰) | 2,124 | 3위 |
| | 3.2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18,266 | 투표율 55.26% |
| 투표 수 | 65,354 | ||
| 무효표 수 | 774 | ||
3.7.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오수봉(吳守奉) | 19,841 | 1위 |
| | 37.80% | 당선 | |
| 2 | 윤재군(尹在君) | 14,794 | 2위 |
| | 28.19% | 낙선 | |
| 3 | 유형욱(兪炯旭) | 14,442 | 3위 |
|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 27.51% | 낙선 | |
| 4 | 윤완채(尹完采) | 3,408 | 4위 |
| [[바른정당| 바른정당 ]] | 6.4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74,801 | 투표율 30.11% |
| 투표 수 | 52,632 | ||
| 무효표 수 | 147 | ||
3.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상호(金相浩) | 75,119 | 1위 |
| | 65.91% | 당선 | |
| 2 | 구경서(具京書) | 38,836 | 2위 |
| | 34.08%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94,181 | 투표율 59.44% |
| 투표 수 | 115,419 | ||
| 무효표 수 | 1,464 | ||
재보궐로 당선되었던 오수봉 前 시장 같은 경우에는 임기가 1년밖에 되지 않아서 무능하다고 비난하기는 좀 미묘하다. 오수봉은 이후, 하남 버스 2-1의 기사가 되어 마을버스 기사로 근무 중이다.
3.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상호(金相浩) | 60,823 | 2위 |
| | 43.97% | 낙선 | |
| 2 | 이현재(李賢在) | 77,493 | 1위 |
| | 56.02%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266,856 | 투표율 52.36% |
| 투표 수 | 139,746 | ||
| 무효표 수 | 1,430 |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E61E2B,#E61E2B><bgcolor=#E61E2B,#E61E2B>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하남시장 개표 결과 ||
전 중소벤처기업부장관과 재선 국회의원 출신인 국민의힘 이현재 후보가 인물론에서 큰 우위를 보이며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특히 구도심 지역에서 앞섰다.|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상호 | 이현재 | ||
| 득표수 (득표율) | 60,823 (43.97%) | 77,493 (56.02%) | - 16,670 (▼12.05) | 139,746 (52.36%) |
| 천현동[A] | 36.67% | 63.32% | ▼26.65 | 45.72 |
| 신장1동 | 44.56% | 55.43% | ▼10.87 | 47.18 |
| 신장2동[B] | 42.11% | 57.88% | ▼15.78 | 51.55 |
| 덕풍1동 | 41.81% | 58.18% | ▼16.37 | 49.21 |
| 덕풍2동 | 44.07% | 55.92% | ▼11.86 | 46.24 |
| 덕풍3동[C] | 44.37% | 55.62% | ▼11.25 | 48.36 |
| 풍산동 | 43.05% | 56.94% | ▼13.90 | 46.76 |
| 미사1동[D] | 46.83% | 53.16% | ▼6.34 | 40.73 |
| 미사2동[E] | 42.44% | 57.55% | ▼15.10 | 52.74 |
| 감북동[F] | 37.32% | 62.67% | ▼25.35 | 49.47 |
| 감일동[G] | 48.26% | 51.73% | ▼3.48 | 50.72 |
| 위례동[H] | 39.08% | 60.91% | ▼21.82 | 52.74 |
| 춘궁동[I] | 30.16% | 69.83% | ▼39.66 | 52.30 |
| 초이동[J] | 38.96% | 61.03% | ▼22.07 | 45.21 |
| 후보 | 김상호 | 이현재 | 격차 | |
| 거소투표 | 40.29% | 59.70% | ▼19.40 | |
| 관외사전투표 | 48.93% | 51.06% | ▼2.13 |
4. 시정 구호
5. 관련 문서
[1] 선거 당시 당적.[2] 제14대 하남시장 김상호와 동명이인.[3] 2002년 재보궐선거 제16대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시장직 사퇴.[4]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5] 2016.10.26. 시장직 상실 (범인도피교사)[6] 한나라당 시장의 당선을 저지하기 위해, 민주당시장 후보와 단일화를 하기 위해[A] 법정동 천현동 · 하산곡동 · 상산곡동 · 배알미동 · 창우동. 팔당댐, 팔당댐 관리교가 있는 곳이자 하남공영차고지 및 하남경찰서가 있는 동네[B] 호반써밋 에듀파크의 공동주택이 있는 곳이자 하남시청, 하남소방서 및 하남유니온파크, 스타필드 하남이 있는 동네[C] 하남문화예술회관이 있는 동네[D] CGV 하남미사 및 하남종합운동장, 미사강변 스카이폴리스가 있는 동네[E] 법정동 망월동(북부) · 선동 (미사강변도시). 미사경정공원이 있는 동네[F] 법정동 감북동 · 광암동(일부)[G] 법정동 감일동 · 감이동 (감일지구)[H] 법정동 학암동 (위례신도시)[I] 법정동 춘궁동 · 교산동 · 하사창동 · 상사창동 · 항동[J] 법정동 초일동 · 초이동 · 광암동(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