編 엮을 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糸,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5획 |
고등학교 | |||
編[1] | |||
일본어 음독 | ヘン | ||
일본어 훈독 | あ-む, とじいと | ||
编 | |||
표준 중국어 | biān | ||
1. 개요
編은 '엮을 편'이라는 한자로, '엮다', '얽다', '편성(編成)하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엮다 |
음 | 편 | |
중국어 | 표준어 | biān |
광동어 | pin1 | |
객가어 | phiên | |
민동어 | piĕng | |
민남어 | pian, phian[文] / pīⁿ[白] | |
오어 | pi (T1) | |
일본어 | 음독 | ヘン |
훈독 | あ-む, とじいと | |
베트남어 | biên |
유니코드에는 U+7DE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竹尸月(VFHSB) 또는 女火戈尸月(VFISB)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糸(가는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扁(작을 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개편(改編)
- 예편(豫編)
- 재편(再編)
- 편곡(編曲)
- 편년체(編年體)
- 편대(編隊)
- 편물(編物)
- 편성(編成)
- 편수(編修)
- 편입(編入)
- 편저(編著)
- 편제(編制)
- 편집(編輯)
- 편찬(編纂)
- 편철(編綴)
- 아미구루미(編みぐるみ)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綴(엮을 철)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斒(얼룩얼룩할 반)
- 稨(강낭콩 변)
- 㻞(문채가 있는 모양 빈)
- 媥(가벼울 편)
- 楄(각목 편)
- 艑(거룻배 편)
- 諞(교묘히말할 편)
- 鍽(금 편)
- 徧(두루 편)
- 犏(들소 편)
- 碥(디딤돌 편)
- 䭏(떡 편)
- 蝙(박쥐 편)
- 鯿(방어 편)
- 煸(볶을 편)
- 蹁(비틀거릴 편)
- 騙(속일 편)
- 猵(수달 편)
- 䡢(수레 편)
- 糄(쌀 변)
- 褊(옷좁을 편)
- 偏(치우칠 편)
- 揙(칠 편)
- 惼(편협할 편)
- 牑(평상 널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