輯 모을 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車,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미배정 | 2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あつ-める, やわ-らぐ | ||||||
辑 | |||||||
표준 중국어 | j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輯은 '모을 집'이라는 한자로, '모으다', '모이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F2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JRSJ(十十口尸十)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車(수레 거/차)와 음을 나타내는 咠(소곤거릴 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는 획수가 적고 같은 음독과 훈독을 가진 集(모을 집)을 상용한자로 대신 쓰고 있다.
여담으로, 集의 경우는 단순히 '모으다'라는 뜻에서 그치지만 輯의 경우는 모아서 무언가를 만드는 의미가 더해져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 가례집람(家禮輯覽)
- 가례집요(家禮輯要)
- 강목집요(綱目輯要)
- 군범집책(君範輯策)
- 농상집요(農桑輯要)
-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 동사집략(東史輯略)
- 동야휘집(東野彙輯)
- 동진어모집요(東津禦侮輯要)
- 명신지장집략(名臣誌狀輯略)
- 모훈집요(謨訓輯要)
- 무계만집(武溪謾輯)
- 민보집설(民堡輯說)
- 방언집석(方言輯釋)
- 상훈집편(常訓輯編)
- 성학집요(聖學輯要)
- 수교집록(受敎輯錄)
- 수교집요(受敎輯要)
- 수양총서유집(修養叢書類輯)
- 역과유집(譯科類輯)
- 역사집략(歷史輯略)
- 예의유집(禮疑類輯)
- 예학집요(睿學輯要)
- 육례의집(六禮疑輯)
- 의기집설(儀器輯說)
- 이례연집(二禮演輯)
- 이문속집집람(吏文續集輯覽)
- 이문집람(吏文輯覽)
- 잠상집요(蠶桑輯要)
- 조야일집(朝野逸輯)
- 조야집요(朝野輯要)
- 청야만집(靑野謾輯)
- 초학자훈증집(初學字訓証輯)
- 통감집람(通鑑輯覽)
- 풍암집화(楓巖輯話)
- 황명통기집요(皇明通紀輯要)
- 후사유집(候謝類輯)
- 훈몽집요(訓蒙輯要)
4. 유의자
- 㪉/敆(모을 갑/협)
- 夠/勼(모을 구)
- 九/乣(모을 규)
- 𢺈[⿰扌䜌](모을 란)
- 募(모을/뽑을 모)
- 踾(모을 복)
- 裒/抙(모을 부)
- 社(모일 사)
- 蒐(모을 수)
- 揑(모을 열)
- 蕹(모을 옹)
- 綜(모을 종)
- 揍(모을 주)
- 寯(모을 준)
- 搸(모을 진)
- 集/緝(모을 집)
- 纂/躦/欑/儹(모을 찬)
- 賶(모을 창)
- 撮(모을/사진찍을 촬)
- 揫/揂(모을 추)
- 蓄(모을 축)
- 萃(모을 췌)
- 聚/𥣙[⿰禾聚](모을 취)
- 䝰/𠊷(모을 치)
- 合(합할 합)
- 翕(모을 흡)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𡎎(사위 서)[1]
- 揖(읍할 읍)
- 緝(거둘 즙/집)
- 楫(노 즙)
- 湒(비올 즙/집)
- 㣬(가는모양 집/첩)
- 𢜱[⿰忄咠](걱정스러울 집)
- 䁒(깜박일 집)
- 𥠋[⿰禾咠](벼가빽빽할 집)
- 䐕(비계 집)
- 𧤏[⿰角咠](뿔단단할 집)
- 偮(사람많을 집)
- 𠶻[⿰口咠](소곤거릴 집)[2]
- 鍓(쇠붙이조각 집)
- 䩰(쇠코뚜레끈 집/현)
- 諿(화할 집)
- 𱙝[⿰女咠]
- 𭋷[⿰咠咠]
- 𭦱[⿰日咠]
- 𭵓[⿰火咠]
- 𥚶[⿰示咠]
- 𧎎[⿰虫咠]
- 𫃇[⿰米咠]
- 𩹫[⿰魚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