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지명 한자 약칭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대륙 | |||
| 亞 | 歐 | 美 · 米 | 阿 · 非 | |
| 아시아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5><tablewidth=100%><bgcolor=#ddd,#383b40><tablebgcolor=#FFF,#222> 국가 || 
}}}}}} ||| 韓 · 南 | 朝 · 北 | 華 · 臺 · 台 | 中 · 漢 唐(내수용) | 日 和(내수용)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奧 | 伊 | 和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緬 | 星 | 巴 | 柬 | 沙 | 
| 미얀마 | 싱가포르 | 파키스탄 | 캄보디아 | 사우디아라비아 | 
| 捷 | 以 | 老 | 勃牙利 | 中阿共 | 
| 체코 | 이스라엘 | 라오스 | 불가리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 과거의 국가 |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鮮[1] | 
| 가야 | 고구려 · 고려 | 백제 | 신라 | 조선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 | 프로이센 | 왜국 | 류큐 왕국/열도 | 
| 지역 및 도시 |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folding [ 각주 ] | ||||
[1] 일제강점기 조선에 한하여 朝가 아닌 鮮을 약칭으로 사용함
| 獨홀로 독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犬,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6획 | 
| 중학교 | |||
| 独 | |||
| 일본어 음독 | ドク, トク | ||
| 일본어 훈독 | ひと-り | ||
| 独 | |||
| 표준 중국어 | dú | ||
1. 개요
獨은 \'홀로 독'이라는 한자로, '홀로', '혼자', '외롭다' 등을 뜻한다. 국가로써는 '독일(獨逸)'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36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大竹田中戈(KHWLI)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蜀(나라이름 촉)이 합쳐진 형성자다.
3. 용례
3.1. 단어
- 고독(孤獨)
- 단독(單獨)
- 독거(獨居)
- 독단(獨斷)
- 독대(獨對)
- 독립(獨立)
-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 독립국(獨立國)
- 독립문(獨立門)
- 독립변수(獨立變數)
- 독립선언(獨立宣言)
- 독립성(獨立性)
- 독립시행(獨立試行)
- 독립신문(獨立新聞)
- 독립운동(獨立運動)
- 독립적(獨立的)
- 독립협회(獨立協會)
- 자주독립(自主獨立)
- 독무(獨舞)
- 독무대(獨舞臺)
- 독방 (獨房)
- 독백(獨白)
- 독보적(獨步的)
- 독사진(獨寫眞)
- 독생자(獨生者)
- 독선(獨善)
- 독선생(獨先生)
- 독소전쟁(獨蘇戰爭)
- 독식(獨食)
- 독신(獨身)
- 독실(獨室)
- 독자(獨子/獨自)
- 독작(獨酌)
- 독재(獨裁)
- 독점(獨占)
- 독주(獨奏/獨走)
- 독차지(獨차지)
- 독창(獨創/獨唱)
- 독특(獨特)
- 독학(獨學)
- 신독(愼獨)
- 스도쿠(数独)
- 유독(唯獨/惟獨/幽獨)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김독자(金獨子)
- 도쿠간류 마사무네(獨眼流 政宗)
- 도쿠타 마리코(獨田 マリコ)
- 독고가라(獨孤伽羅)
- 독고성(獨孤聲)
- 독고영재(獨孤永宰)
- 오로치 돗포(愚地 独歩)
- 칸논자카 돗포(観音坂 独歩)
- 쿠니키다 돗포(国木田 独歩)
- 천두슈(陈独秀)
- 허독수(許獨秀)
3.4. 지명
- 독일(獨逸) -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쓰인다. 네덜란드어 Duits가 일본으로 들어오면서 ドイツ가 되었고, 이를 한자로 적은 獨逸이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독일'로 읽히게 되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가타카나 ドイツ로 표기한다. 약칭은 '独'.[1]
- 동독(東獨)
- 서독(西獨)
- 독도(獨島)
3.4.1. 지하철역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蠲(덜/정결할 견)
- 䮷(걸어가는모양 독)
- 𥖠(돌고무래 독)
- 𤛯(송아지 독)[2]
- 𩞾(죽 독)
- 𪍹(찐떡 독)
- 㒔(추한모양 독)
- 𦏕(키여섯척만큼의양 독)
- 𨊒(홀로 독)
- 韣(활집 독)
- 噣(부리 주, 쫄 탁, 별이름 독, 새이름 촉)
- 擉(작살 착)
- 㯮(나무이름 촉)
- 觸(닿을 촉)
- 襡(두루마기 촉, 간직할 독)
- 𦆂(띠 촉)
- 𥋛(볼 촉)
- 蠋(뽕나무벌레 촉)
- 斶(사람이름 촉)
- 𪇆(산까마귀 촉)
- 㻿(옥이름 촉)
- 臅(이리가슴비계 촉)
- 躅(자취 촉/탁)
- 燭(촛불 촉)
- 髑(해골 촉)
- 䪅(활전대 촉/독)
- 𣂌(맞걸릴 축)
- 𩑂(귀먹을 탁)
- 𢢗(불안할 탁)
- 鐲(징 탁)
- 濁(흐릴 탁)
- 𩼟(촉)
- 𪦨
- 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