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5 02:26:57

피선거권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
{{{#fff,#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조항 <colbgcolor=#fafafa,#1c1d1f>[ruby(총강, ruby=제1장)](1~9조) · [ruby(국민의 권리와 의무, ruby=제2장)] (10~39조) · [ruby(국회, ruby=제3장)] (40~65조) · [ruby(정부, ruby=제4장)] (66~100조) · [ruby(법원, ruby=제5장)] (101~110조) · [ruby(헌법재판소, ruby=제6장)] (111~113조) · [ruby(선거관리, ruby=제7장)] (114~116조) · [ruby(지방자치, ruby=제8장)] (117~118조) · [ruby(경제, ruby=제9장)] (119~127조) · [ruby(헌법개정, ruby=제10장)] (128~130조)
역사 홍범 14조 · 대한국 국제 · 임시헌장 · 제헌 헌법
개헌 1차(발췌) · 2차(사사오입) · 3차 · 4차 · 5차 · 6차(3선) · 7차(유신) · 8차 · 9차 · 10차
헌법 원리 민주주의원리 (공화주의 · 국민주권주의 · 다원주의 · 다수결원리 ·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 방어적 민주주의 · 대의제 · 정당제도 · 선거제도) · 법치주의원리 (명확성 원칙 · 법률유보 · 의회유보 · 포괄위임금지원칙 · 신뢰보호의 원칙 · 비례의 원칙) · 사회국가원리
기본권론 대분류 인간의 존엄과 가치 · 행복추구권 · 평등권 · 자유권적 기본권 · 참정권 · 청구권적 기본권 · 사회권적 기본권 / 기본권의 제한 · 의무
자유권적 기본권 생명권판례 · 신체의 자유 (적법절차원칙 · 죄형법정주의 · 이중처벌금지 · 영장주의 · 체포구속적부심사 · 진술거부권 · 무죄추정원칙 · 연좌제금지) · 양심의 자유 · 종교의 자유 · 표현의 자유 (언론·출판의 자유 · 집회·결사의 자유 · 학문과 예술의 자유) ·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판례) · 주거의 자유 · 통신의 자유 · 거주·이전의 자유 · 직업의 자유 · 재산권 (공용침해)
참정권 선거권 · 공무담임권 (피선거권) · 국민투표권
청구권적 기본권 재판청구권 · 국가배상청구권 · 형사보상청구권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 청원권
사회권적 기본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 교육의 권리 · 근로의 권리 · 근로3권 (단결권 · 단체교섭권 · 단체행동권) · 환경권 ·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
의무 국방의 의무 · 납세의 의무 · 교육의 의무 · 근로의 의무 · 환경보전의 의무 · 재산권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
통치구조론 기본원리 권력분립원칙 · 대의제 · 대통령제 · 헌법기관 ()
국회 조직 (단원제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정기회 · 임시회 · 상임위원회법률 · 특별위원회법률 · 소위원회법률 · 전원위원회법률 · 교섭단체법률) · 의사원칙 (의사공개의 원칙 · 다수결의 원칙 · 회기계속의 원칙 · 일사부재의 원칙법률) · 권한 (입법권 (입법과정) · 재정 (예산 · 준예산 · 계속비 · 예비비 · 추가경정예산 · 조세법률주의) · 국정통제 (국정조사 · 국정감사 · 탄핵소추 · 해임건의권 · 국회출석요구권 · 외교행위동의권 · 긴급명령 등 승인권 · 계엄해제요구권) · 헌법기관구성권 (인사청문회법률) · 자율권 (규칙자율권 · 자격심사 · 징계)) · 국회의원 (자유위임 · 의안제출권 · 의안심의·표결권 · 불체포특권 · 면책특권 · 겸직금지의무 · 청렴의무)
정부 대통령 (불소추특권 · 외교권 · 국민투표부의권 · 헌법개정제안권 · 헌법기관구성권 · 사면권 (사면 (특별사면) · 감형 · 복권) · 영전수여권 · 국가긴급권 (긴급명령 · 긴급재정·경제명령 및 처분 · 계엄) · 공무원임면권 · 행정입법권 · 법률안제출권 · 법률안거부권 · 국군통수권) ·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행정각부통할권 · 국무위원임명제청권 · 국무위원해임건의권 · 행정입법권) · 국무위원 · 국무회의 · 행정각부 (행정입법권) · 감사원 (감사원장 · 감사위원) · 자문기관 (국가원로자문회의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국민경제자문회의)
법원 조직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고등법원법률 · 지방법원법률 · 법관 · 군사법원) · 권한 (재판권 · 위헌법률심판제청권 · 명령규칙처분심사권 · 규칙제정권) · 국민참여재판법률 · 재판공개원칙 · 행정심판
헌법재판소 조직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 헌법재판 (위헌법률심판 · 탄핵심판 · 정당해산심판 · 권한쟁의심판 · 헌법소원심판) · 규칙제정권
선거관리 조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각급 선거관리위원회) · 규칙제정권 · 선거공영제
기타 위헌 (심사기준) · 지방자치 (지방자치단체 · 지방의회 · 조례) · 경제민주화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조항 제1조 · 제2조 · 제84조
공법행정법형사법민사법현행 법률
[[틀:행정기본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e1fd; font-size: .9em;"
}}}}}}}}}}}}

1. 개요2. 대한민국 공직선거의 피선거권
2.1. 대통령의 피선거권2.2. 국회의원의 피선거권2.3. 지방의회의원 등의 피선거권2.4. 피선거권이 없는 자
3. 위탁선거의 피선거권

1. 개요

피선거권()이란, 선거에서 당선인이 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본 문서는 대한민국의 공직선거 등의 피선거권에 관한 사항 등을 정리한 문서이다.

선거권이 없는 사람은 피선거권도 없지만, 선거권이 있더라도 일정한 경우에는 피선거권이 없다.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사퇴하는 것이 피선거권의 반납인 줄로 잘못 아는 사람이 있는데, 국적이탈 등으로 피선거권을 상실하는 경우를 논외로 하면 아래에서 보다시피 피선거권은 애초에 임의로 포기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며, 법률상 당연히 발생하거나 상실될 뿐이다.

2. 대한민국 공직선거의 피선거권

대한민국헌법 제25조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공무담임권을 가진다.
후보자등록후에 후보자의 피선거권이 없는 것이 발견된 때에는 그 후보자의 등록은 무효로 한다(공직선거법 제52조 제1항 제1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후술하듯이, 피선거권 유무는 선거일을 기준으로 하는데, 선거일에 피선거권이 없는 자는 당선인이 될 수 없으며(공직선거법 제192조 제1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당선인이 이에 위반하여 당선된 것이 발견된 때에는 그 당선을 무효로 한다(공직선거법 제192조 제3항 제1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이는 선거범죄로 인한 당선무효와 취지는 비슷하지만 별개의 제도이다.

당선인이 임기개시전에 피선거권이 없게 된 때에는 당선의 효력이 상실된다(공직선거법 제192조 제2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의원, 교육감은 피선거권을 상실하면 그 직도 상실한다(국회법 제136조 제2항, 지방자치법 제90조 제2호, 제112조 제2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4조의3 제2호)

2.1. 대통령의 피선거권

대한민국헌법 제67조
④대통령으로 선거될 수 있는 자는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고 선거일 현재 40세에 달하여야 한다.[1]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의 국민은 대통령의 피선거권이 있다(공직선거법 제16조 제1항 전문). 이 경우 공무로 외국에 파견된 기간과 국내에 주소를 두고 일정기간 외국에 체류한 기간은 국내거주기간으로 본다(같은 항 후문).[2]

2.2. 국회의원의 피선거권

선거일 현재 18세 이상의 국민은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다(공직선거법 제16조 제2항, 제17조).

구 국회의원선거법(1948. 12. 23. 법률 제17호) 이래 제한연령을 25세로 규정해 오다가[3] 2022년 1월 18일부로 위와 같이 개정되었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김영삼이 만 25세로 당선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 기록이다.

2.3. 지방의회의원 등의 피선거권

선거일 현재 계속하여 60일 이상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주민으로서 18세 이상의 국민은 그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피선거권이 있다(공직선거법 제16조 제3항 전문).

국회의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한연령이 25세였다가 위와 같이 낮춰졌다.

한편,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소 소재지가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있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주민등록이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있게 된 때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며(같은 조 제4항), 이 경우 60일의 기간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설치·폐지·분할·합병 또는 구역변경에 의하여 중단되지 아니한다(같은 조 제3항 후문).

다만, 공무로 외국에 파견되어 선거일전 60일후에 귀국한 자는 선거인명부작성일부터 계속하여 선거일까지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 된다(같은 항 전문).

교육감의 경우에도 피선거권 요건은 마찬가지이나, 정당 미가입 요건, 경력 요건 등 후보자 등록을 위한 추가 요건이 있다(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4조 제1항).

2.4. 피선거권이 없는 자

선거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피선거권이 없다(공직선거법 제19조).
  • 선거권이 없는 자 - 만 18세 미만인 사람들[4]을 포함한 선거권이 부여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실효되지 아니한 자[5]
  •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피선거권이 정지되거나 상실된 자.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자격정지 선고를 받아 그 정지기간 중에 있는 경우에는 공법상의 피선거권이 정지된다.
    • 피치료감호자는 그 치료감호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될 때까지 공법상의 피선거권이 정지된다(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제47조 제2호).
  • 국회법 제166조(국회 회의 방해죄)의 죄를 범한 자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 5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5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 형의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10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 징역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또는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면제된 후 10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 ☆공직선거법 제230조 제6항의 죄를 범한 자(즉, 정당의 후보자추천 관련 금품수수금지를 위반한 자)로서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10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해당 조항에는 없지만 외국인은 당연히 없다.

특기할 것은, ☆의 경우에는 형이 실효되었더라도 위 기간 중에는 피선거권이 없다는 것이다(공직선거법 제19조 제4호, 제5호).

국가공무원/결격사유, 지방공무원/결격사유는 적용되지 않는다.[6]

3. 위탁선거의 피선거권

위탁선거에서 피선거권(입후보자격 등 그 명칭에 관계없이 임원 등이 될 수 있는 자격을 말한다)에 관하여는 해당 법령이나 정관등에 따른다(공공단체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제12조).

위탁선거에서도 후보자등록 후에 후보자의 피선거권이 없는 것이 발견된 때에는 관할위원회가 그 후보자의 등록을 무효로 한다(같은 법 제19조 제1항 제1호).

[1] 참고로, 제5차 개정헌법 때부터 현행 헌법 제67조 제4항처럼 규정하여 오고 있다.[2] 참고로, 공직선거법 제16조 제1항의 규정은 제5공화국 헌법 때까지는 아예 헌법에 규정되어 있었다.[3] 다만, 양원제를 시행할 당시 참의원의 기준연령은 30세였다(구 국회의원선거법(법률 제551호) 제10조 제2항).[4] 선거권이 있지만 만 18세 생일을 하루 앞둔 자 포함.[5] 타국에서는 정치범이 옥중 출마를 선언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이 제약으로 인해 불가능하다. 다만, 확정 판결 전 구속 재판 중이라면 가능하다.[6] 대표적으로 김태우 전 강서구청장이 형 선고로 직위를 상실했다가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후 본인 때문에 치러지는 재보궐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사례가 있다. 지방공무원 결격사유를 적용한다면 "금고 이상 실형 면제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자"가 되어 출마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