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10:38:47

대궐 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チ, ケツ
일본어 훈독
か-ける, のぞ-く, もん
표준 중국어
quē, qu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闕은 '대궐 궐'이라는 한자로, '대궐(大闕)'을 뜻한다.

'궐위(闕位)', '궐석(闕席)', '보궐(補闕)' 등의 단어에서도 쓰이는 글자로 '흠', '비다', '빠지다' 등의 뜻도 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대궐
중국어 표준어 quē, què
광동어 kyut3
유니코드에는 U+95D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ANTUO(日弓廿山人)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문 문)과 음을 나타내는 (상기 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4. 유의자

  • (대궐 신)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집 각)
  • (사이 간)
  • (수문 갑)
  • (열 개)
  • (마을 려)
  • (들을 문)
  • (물을 문)
  • (답답할 민)
  • (위문할 민)
  • (문벌 벌)
  • (열 벽)
  • (빛날 섬, 번쩍일 섬)
  • (가로막을 알)
  • (어두울 암)
  • (볼 열, 검열할 열)
  • (마을 염)
  • (열 천)
  • (닫을 폐)
  • (한가할 한)
  • (쪽문 합)
  • (문짝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