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00:08:07

적을 소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すく-ない, すこ-し,
しばら-く, まれ, わか-い
표준 중국어
shǎo, sh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

1. 개요

少는 '적을 소'라는 한자로, '적다', '젊다', '줄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적다
중국어 표준어 shǎo
광동어 siu2
감어 seu3
객가어 séu
진어 sau2
민북어 siǎu
민동어 ciēu / siēu
민남어 chió
오어 sau (T2)
상어 sau3
일본어 음독 ショウ
훈독 すく-ない, すこ-し,
しばら-く, まれ, わか-い
베트남어 thiếu

유니코드에는 U+5C11에 배정되어 있다.

갑골문상에서는 작은 점 네 개로 나타나있다.

기본적인 뜻은 '(양이) 적다'(few)이며, '(크기가) 작다'(small)의 뜻을 가진 (작을 소)와는 서로 의미와 발음이 구별된다.'[1] 또한 '젊다'(young)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 다음자(多音字)로 '적다'의 의미일 때는 상성으로, '젊다'의 의미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少의 반대는 (많을 다) 또는 (늙을 로)이고 의 반대는 (큰 대)이다.

자매품으로 (적을 절)이 있다. 少의 아랫부분인 丿을 방향을 바꿔 乀로 바꾼 것. 광동어에서 아주 적게(...) 사용되며 '적다', '작다'라는 뜻이나 '꽃매미'라는 뜻을 지니고 있고, 전자는 zit³으로 발음되고 후자는 zit¹이라고 발음된다. 안 쓰이는 글자면서 의외로 강희자전에도 296쪽 19번째에 수록되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적을 과)
  • (어릴 눈)
  • (반야 야, 같을 약) - '어리다', '젊다'는 뜻도 있다. 일본어에서 若(わか)い가 젊다는 뜻이다.
  • (어릴 영, 어린아이 영)
  • (어릴 유)
  • (젊을 좌)
  • (어릴 치)
  • (드물 한)
  • (드물 희)

5. 상대자

  • (많을 과)
  • (늙을 기)
  • (많을 다)
  • (늙을 로)
  • (많을 신)
  • (길 장) - '길다' 외에 '나이가 많다'는 뜻도 있다. 연장자(年長者), 장유유서(長幼有序) 따위가 그 예이다.
  • (늙은이 질)


[1] 중국어로는 少가 shăo고 小가 xiăo이다.[해석] 소년(少年)은 늙기 쉬우나 학문(學問)을 이루기는 어렵다.[해석2]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젊은 날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