尐 적을 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
일본어 훈독 | - - | ||||||
- | |||||||
표준 중국어 | xiǎo, jié, j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尐은 '적을 절'이라는 한자로, '적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C10에 배당되었다.광동어에서 아주 적게(...) 사용되며 '적다', '작다'라는 뜻이나 '꽃매미'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 寡(적을 과)
- 嫩(어릴 눈)
- 若(반야 야, 같을 약) - '어리다', '젊다'는 뜻도 있다. 일본어에서 若(わか)い가 젊다는 뜻이다.
- 嬰(어릴 영, 어린아이 영)
- 幼(어릴 유)
- 㛗(젊을 좌)
- 稚(어릴 치)
- 罕(드물 한)
- 稀(드물 희)
5. 상대자
- 夥(많을 과)
- 耆(늙을 기)
- 多(많을 다)
- 老(늙을 로)
- 䯂(많을 신)
- 長(길 장) - '길다' 외에 '나이가 많다'는 뜻도 있다. 연장자(年長者), 장유유서(長幼有序) 따위가 그 예이다.
- 臷(늙은이 질)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少(적을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