授 줄 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준4급 | ||||||
- | |||||||
일본어 음독 | ジュ | ||||||
일본어 훈독 | さず-ける, さず-かる | ||||||
- | |||||||
표준 중국어 | shò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授는 '줄 수'라는 한자로, '주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주다 |
음 | 수 | |
중국어 | 표준어 | shòu |
광동어 | sau6 | |
객가어 | su | |
민동어 | sêu | |
민남어 | siū | |
오어 | zeu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ュ |
훈독 | さず-ける, さず-かる | |
베트남어 | thụ |
유니코드에는 U+638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BBE(手月月水)로 입력한다.
受(받을 수)에서 의미상 파생된 글자로,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受(받을 수)가 합쳐진 형성자로 '주다'라는 뜻을 나타냈다. 광운상 '받다'라는 뜻의 受는 상성이지만, '주다'라는 뜻의 授는 거성이다.
현재 중국어(만다린)에서는 受의 성조가 濁上變去[1]으로 인해 거성으로 바뀌어 '주다'와 '받다'의 단어가 발음과 성조까지 완전히 똑같은 동음이의어가 되었지만, 저 두 글자는 현재 중국어에서는 단어의 형태소로서만 쓰여 의미 분별을 위한 발음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현재 만다린에서 '주다'는 給(gěi)를 쓰고, '받다'는 收到(shōudào)를 쓴다.
3. 용례
3.1. 단어
- 교수(敎授)
- 겸교수(兼敎授)
- 교수관(敎授官)
- 교수단(敎授團)
- 교수사(敎授師)
- 교수식(敎授式)
- 교수안(敎授案)
- 교수양식(敎授樣式)
- 교수학(敎授學)
- 교수회(敎授會)
- 교외교수(校外敎授)
- 부교수(副敎授)
- 분단교수(分團敎授)
- 석좌교수(碩座敎授)
- 일제교수(一齊敎授)
- 조교수(助敎授)
- 학교수(學敎授)
- 수관(授官)
- 수수(授受)
- 수업(授業)
- 과외수업(課外授業)
- 교외수업(校外授業)
- 단축수업(短縮授業)
- 복식수업(複式授業)
- 보충수업(補充授業)
- 수업료(授業料)
- 수업 시간(授業 時間)
- 수업일수(授業日數)
- 실습수업(實習授業)
- 야외수업(野外授業)
- 연구수업(硏究授業)
- 이부수업(二部授業)
- 임간수업(林間授業)
- 수여(授與)
- 수유(授乳)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𦧦[⿰舌受](말씀 사)[2]
- 䛵(말전할 수)
- 涭(물모양 수)
- 𣄁[⿰方受](받을 수)[3]
- 㥅(사람이름 수)
- 綬(인끈 수)
- 㖟(입으로전수할 수)
- 𤟗[⿰犭受](원숭이 원)[4]
- 𢔏[⿰彳受](뒤 후)[5]
- 𪝈[⿰亻受]
- 𪨾[⿰山受]
- 𰉻[⿰土受]
- 𠺥[⿰召受]
- 𤊐[⿰火受]
- 𭧃[⿰早受]
- 𰠇[⿰初受]
- 𧚯[⿰衤受]
- 𧌅[⿰虫受]
- 𦈽[⿰缶受]
- 𮇨[⿰米受]
- 𬗾[⿰素受]
- 𰹘[⿰車受]
- 𨨒[⿰金受]
- 𩸣[⿰魚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