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4:40:18

맏 윤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イン
일본어 훈독
じょう, まこと, まこと-に, ゆる-す
-
표준 중국어
yǔ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용례3.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맏, 진실로
중국어 표준어 yǔn
광동어 wan5
객가어 yún
민동어 ṳ̄ng
민남어 ún[1], ín[2]
오어 yn (T2)
일본어 음독 イン
훈독 じょう, まこと,
まこと-に, ゆる-す
베트남어 doãn, duẫn


'맏 윤, 진실로 윤, 허락할 윤'이라는 한자로, 맏, 아들, 진실(), 믿음, 진실로(), 참으로, 미쁘다(믿음성이 있다), 마땅하다, 합당하다(), 승낙하다(), 허락하다(), 아첨하다(), 마을이름 연 등을 뜻한다.

(사사 사)와 (어진사람 인)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상형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유니코드는 U+514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HU(戈竹山)로 입력한다.

允자는 갑골문에 등장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닌 글자이나 본래 뜻과 자형 풀이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진실로(in verity) 승낙하다(consent)는 뜻으로 쓰인다. 뜻이 좋아 이름자로도 많이 쓰인다.

"允" 한자는 중국 한자에서 유래된 글자로, 주로 "허락하다", "승인하다", "옳다", "정확하다" 등의 뜻으로 쓰입니다. 이 한자의 구조와 의미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允"은 "人" (사람)과 "言" (말)이라는 두 부수로 구성되어 있다.

人 (사람): 사람을 나타내는 부수로, 인간과 관련된 행동이나 특성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인다.

言 (말): 말, 언어와 관련된 뜻을 담고 있다. 이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는 부수이다.

"允"은 어떤 사람이나 행동이 신뢰할 수 있고, 정직하며, 올바르다는 성격적인 의미로도 쓰인다. 이러한 의미는 사람이나 관계에서 중요한 신뢰와 윤리적 기준을 강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允許 (허락하다): 어떤 일을 허락하거나 승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允當 (옳다, 적합하다):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적합하고 옳다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允義 (정의): 정의를 의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允行 (실행하다): 어떤 일을 실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允"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한자이다. 역사적으로 왕이나 지도자가 신하나 백성의 요청을 승인할 때 사용되었으며, 그 의미는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의 승인이나 허락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允命(명령을 승인하다) 같은 표현은 고대 중국의 황제나 왕이 신하의 요청을 받아들여 명령을 내릴 때 사용되었다.

"允"의 발음은 yǔn이다. 한자의 발음은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주로 이 발음을 사용한다.

"允" 한자는 고대 중국의 문서나 법령에서 자주 등장하며, 오늘날에도 법적 또는 공식적인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允許(허락하다): 어떤 일을 공식적으로 허락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의 요청을 允許하였다"라는 문장에서 사용된다.

允當(옳다, 적합하다): 어떤 일이 적합하고 옳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의 행동은 매우 允當했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允" 한자는 일반 단어보다는 인명에 많이 쓰인다. 동일하게 음이 '윤'이면서 인명에 자주 쓰이는 한자로는 胤이 있다.

2. 용례

2.1. 단어



2.2. 고사성어/숙어


2.3. 인명

윤으로 되는 인명 한자중 가장 많이 쓰이며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한자들은 자손 윤(胤), 불을 윤(潤), 윤달 윤(閏) 등이 있다.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별 태)
  • (고깔 변)
  • (어조사 의)

[1] 타이베이 등[2] 가오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