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3:00:35

폴 프레드릭 더글라스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준성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후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호주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폴 프레드릭 더글라스
Paul Fredrick Douglass
파일:폴 프레드릭 더글라스.jpg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출생 1904년 11월 7일
미국 뉴욕 주 코린스
사망 1988년 8월 7일
미국 워싱턴 D.C.
약력 아메리칸 대학교 총장
종교 개신교(감리회)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1. 개요

미국의 정치학과 교수. 195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 생애

1904년 11월 7일 뉴욕에서 태어났다. 코네티컷에 위치한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아르티움 바칼루라투스(Artium Baccalaureatus) 학위를 수여받았고, 대학을 졸업한 뒤 오하이오 주로 가서 1931년 신시내티 대학교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획득했다. 이후 그는 2년간 베를린 대학교에 재학하며 경제학, 법학과를 공부했고, 1930년대 후반에는 버몬트 주립대 정치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더글라스는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신시내티 포스트 신문사의 기자와 교육 편집자를 맡았고, 1933년 버몬트주 폴트니에 위치한 감리회 교회에서 목사로 부임했다.또한 그는 1943년까지 하원 교육위원회 위원을 겸임했다. 이후 그는 교육위원회를 사임한 뒤 아메리칸 대학교 총장으로 지명되었다. 그는 대학 총장으로서 학교의 예배당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일요일 예배 시간에 학생들에게 설교하는 임무를 맡았다.

더글라스는 태평양 전쟁 시기에 대학생들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노력했고, 난민 구제 프로그램에 적극 가담했으며, 유엘이 창설되는 것을 지원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독립운동에도 힘을 보탰다. 1942년 2월 27일부터 3월 1일까지 라파예트 호텔에서 개최된 재미한족전체대표회의에 참석하여 한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지지하는 연설을 했고, 2월 28일 자신이 총장으로 있는 아메리칸 대학교 공관에 한인 자유대회 참석자들을 초청해 다과를 베풀고 행사를 격려했다.

1943년 2월 9일, 더글라스는 기독교계 한인 친우들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에서 기독교가 살아남고 발전하기 위해 지금 즉시 한국이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 자유를 획득해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미국 여론의 지지를 얻는 방안으로 기독교인 친우들이 앞장서서 미국 상원 의원들과 하원 의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그해 4월 8일 주미외교위원부, 한미협회, 기독교인 친한회 공동 주최로 미국 대통령 부인과 미국의 여러 주요 관리들이 초청받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제24주년 기념식을 아메리칸 대학교 구내에 개최하고 경축했다.

1943년 5월, 더글라스는 전세계 기독교 교우에게 공개 편지를 보내 미국 상하원에 제출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미국의 승인을 위한 결의안>에 지지를 요청했으며, 한국을 위한 탄원서 배포와 제출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또한 1944년 8월 25일에 기독교친한회 회장의 명의로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에게 편지를 보내 한미협회가 뉴욕 왈도프호텔에서 8월 29일 개최할 예정인 국치일 기념행사에 대통령의 한국인에 대한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보내 낭독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 후 1951년에 아메리칸 대학교 총장 재선에 도전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대신 이승만 대통령의 자문을 3년간 맡았다. 더글러스는 이승만 대통령의 추천에 따라 롤린스 컬리지 실용정치센터장에 부임했으며, 그곳에서 15년 동안 머물며 캠퍼스 하위문화와 학업 성취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여러 권의 정치학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1971년 은퇴를 선언한 더글라스는 몇 권의 책을 더 집필하고 워싱턴 D.C.의 우체국 연맹 법률 고문을 맡았으며, 1973년 롤린스 컬리지로부터 정치, 저널리즘, 교육 분야에서 뛰어난 경력을 쌓은 공로를 인정해 롤린스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1988년 8월 7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50년 폴 프레드릭 더글라스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