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4:31:22

김종오

파일:Ssap_nogada.jpg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eneral_white.png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초대

이형근
제2대

정일권
제3대

유재흥
제4대

백선엽
제5대

최영희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6-8대

김종오
제9대

장창국
제10대

임충식
<nopad> 박정희 정부
제11대

문형태
제12대

심흥선
제13대

한신
제14대

노재현
제15대

김종환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6대

류병현
제17대

윤성민
제18대

김윤호
제19대

이기백
제20대

정진권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오자복
제22대

최세창
제23대

정호근
제24대

이필섭
제25대

이양호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26대

김동진
제27대

윤용남
제28대

김진호
제29대

조영길
제30대

이남신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31대

김종환
제32대

이상희
제33대

김관진
제34대

김태영
제35대

이상의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36대

한민구
제37대

정승조
제38대

최윤희
제39대

이순진
제40대

정경두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1대

박한기
제42대

원인철
제43대

김승겸
제44대

김명수
합동참모회의의장(초대) ▸ 연합참모본부총장(초대~6대) ▸ 연합참모회의의장(7대) ▸ 합동참모의장(~현임) }}}}}}}}}
김종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522D, #D2691E 20%, #D2691E 80%, #A0522D);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d4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81818; margin:-6px -1px -11px"
군사혁명위원회 위원장
장도영
✯✯✯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박정희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김종오
✯✯✯
박임항
✯✯✯
김신
✯✯✯
이성호
✯✯✯
김성은
✯✯✯
정내혁
✯✯
이주일
✯✯
한신
✯✯
유양수
✯✯
한웅진
최주종
김용순
채명신
김진위
김윤근
장경순
송찬호
문재준
❁❁❁
박치옥
❁❁❁
박기석
❁❁❁
손창규
❁❁❁
유원식
❁❁❁
정세웅
❁❁❁
오치성
❁❁❁
박창암
❁❁❁
길재호
❁❁
옥창호
❁❁
박원빈
❁❁
이석제
❁❁
군사혁명위원회 고문
김홍일
✯✯✯
김동하
}}}}}}}}}}}}}}} ||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제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제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제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제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제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제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제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제10대
백선엽
제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제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제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제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제15대
김종오
제16대
민기식
제17대
김용배
제18대
김계원
제19대
서종철
제20대
노재현
제21대
이세호
제22대
정승화
제23대
이희성
제24대
황영시
제25대
정호용
제26대
박희도
제27대
이종구
제28대
이진삼
제29대
김진영
제30대
김동진
제31대
윤용남
제32대
도일규
제33대
김동신
제34대
길형보
제35대
김판규
제36대
남재준
제37대
김장수
제38대
박흥렬
제39대
임충빈
제40대
한민구
제41대
황의돈
제42대
김상기
제43대
조정환
제44대
권오성
제45대
김요환
제46대
장준규
제47대
김용우
제48대
서욱
제49대
남영신
제50대
박정환
제51대
박안수
}}}}}}
※ 초대~제8대: 육군총참모장 / 제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백선엽
2대
송요찬
3대
유재흥
4대
김종오
5대
이한림
6대
박임항
7대
민기식
8대
장창국
9대
김계원
10대
서종철
11대
한신
12대
최세인
13대
이소동
14대
정승화
15대
김학원
16대
윤성민
17대
김윤호
18대
소준열
19대
정진권
20대
안필준
21대
정호근
22대
이진삼
23대
이문석
24대
조남풍
25대
이준
26대
오영우
27대
이재관
28대
김석재
29대
김판규
30대
김종환
31대
정수성
32대
김병관
33대
김태영
34대
김근태
35대
정승조
36대
박정이
37대
박성규
38대
신현돈
39대
장준규
40대
김영식
41대
박종진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51A5, #1851A5 20%, #1851A5 80%, #1851A5);"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초대

장도영
2대

박임항
3대

최경록
4대

김종오
5대

함병선
6대

송석하
7대

최창언
8대

박중윤
9대

김익렬
10대

최대명
11대

박현식
12대

문중섭
13대

이동화
14대

박현식
15대

임지순
16대

조문환
17대

천주원
18대

배정도
19대

김기택
20대

최문규
21대

전종배
22대

나병선
23대

정만길
24대

정인균
25대

김태섭
26대

장석린
27대

한광덕
28대

이유수
29대

이호승
30대

김희상
31대

서종표
32대

황규식
33대

권영기
34대

이상태
35대

정동한
36대

방효복
37대

박창명
38대

임관빈
39대

이성호
40대

심용식
41대

박삼득
42대

위승호
43대

김해석
44대

김성진
45대

이석구
46대

김성일
47대

김종철
48대

정해일
49대

김홍석
50대

임기훈
}}}}}}
※ 초대 ~ 46대, 50대 : 중장 (47대 ~ 49대 : 소장)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2A5034><tablebgcolor=#2A5034>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A5034><tablebgcolor=#2A503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응준
2대
윤병현
3대
장도영
4대
유재흥
5대
장도영
6대
김종오
7대
최경록
8대
김형일
9대
장창국
10대
김용배
11대
김계원
12대
임충식
13대
문형태
14대
김상복
15대
한신
16대
심흥선
17대
서종철
18대
노재현
19대
이민우
20대
이희성
21대
윤성민
22대
황영시
23대
차규헌
24대
정호용
25대
소준열
26대
이기백
27대
김홍한
28대
박희도
29대
오자복
30대
최세창
31대
정동호
32대
박명철
33대
권병식
34대
이진삼
35대
신말업
36대
이문석
37대
김연각
38대
김진선
39대
김형선
40대
이재관
41대
길형보
42대
박영익
43대
강신육
44대
선영제
45대
신일순
46대
홍갑식
47대
박흥렬
48대
방효복
49대
한민구
50대
임관빈
51대
조정환
52대
김요환
53대
황인무
54대
김유근
55대
박찬주
56대
정연봉
57대
구홍모
58대
최병혁
59대
김승겸
60대
박주경
61대
황대일
62대
안병석
63대
여운태
64대
고현석
※ 초대~현재 :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088>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최영희
2대
김종오
3대
이성가
4대
오덕준
5대
김용배
6대
박임항
7대
김계원
8대
임충식
9대
김동빈
10대
류근창
11대
장춘권
12대
이민우
13대
이병형
14대
류병현
15대
이건영
16대
윤흥정
17대
최영구
18대
권영각
19대
오자복
20대
정동호
21대
장준익
22대
정만길
23대
김동진
24대
윤용남
25대
오영우
26대
김석원
27대
정영진
28대
김종환
29대
이상희
30대
권안도
31대
김종천
32대
이성출
33대
한기호
34대
조정환
35대
심용식
36대
김현집
37대
김영식
38대
임호영
39대
제갈용준
40대
최병혁
41대
안준석
42대
김현종
43대
이규준
44대
김성민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김홍일
2대
김백일
3대
백선엽
4대
이형근
5대
김종오
6대
전부일
7대
김익렬
8대
장창국
9대
양국진
10대
김용배
11대
최석
12대
박임항
13대
임부택
14대
김익렬
15대
문형태
16대
이상철
17대
김상복
18대
심흥선
19대
전부일
20대
김재명
21대
최우근
22대
박희동
23대
양봉직
24대
이희성
25대
황영시
26대
김윤호
27대
이기백
28대
백운택
29대
박희도
30대
최세창
31대
류승국
32대
문영일
33대
이필섭
34대
이병태
35대
김상준
36대
조성태
37대
김척
38대
박영익
39대
강신육
40대
정중민
41대
오현구
42대
김선홍
43대
임충빈
44대
장광일
45대
황중선
46대
권오성
47대
최종일
48대
모종화
49대
엄기학
50대
김용우
51대
서욱
52대
안영호
53대
황대일
54대
안병석
55대
이두희
56대
강호필
57대
주성운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원용덕
3대
정일권
4대
송호성
5대
김백일
6대
최덕신
7대
김홍일
8대
이준식
9대
안춘생
10대
김종오
11대
박병권
12대
장창국
13대
백남권
14대
이한림
15대
강영훈
16대
김용배
17대
박중윤
18대
정래혁
19대
이세호
20대
김희덕
21대
심흥선
22대
최세인
23대
최우근
24대
정승화
25대
백석주
26대
차규헌
27대
김복동
28대
최연식
29대
황인수
30대
지일환
31대
최문규
32대
장준익
33대
민병돈
34대
이필섭
35대
임인조
36대
김정헌
37대
장성
38대
김정남
39대
장창규
40대
한승의
41대
오남영
42대
박준근
43대
김충배
44대
김선홍
45대
임충빈
46대
김현석
47대
정승조
48대
이봉원
49대
박종선
50대
박남수
51대
고성균
52대
양종수
53대
최병로
54대
김완태
55대
정진경
56대
김정수
57대
강창구
58대
전성대
59대
권영호
60대
정형균
61대
소형기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colbgcolor=#1d2088><colcolor=#fff>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
파일:제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d2088>
대한민국 육군
제9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장도영
제2대
김종오
제3대
오덕준
제4대
김종갑
제5대
이성가
제6대
최석
제7대
박병권
제8대
김종오
제9대
김점곤
제10대
이한림
제11대
백인엽
제12대
강태민
제13대
심흥선
제14대
이희권
제15대
박영준
제16대
한웅진
제17대
신원식
제18대
이소동
제19대
박현식
제20대
류창훈
제21대
정규환
제22대
조천성
제23대
김영선
제24대
신정수
제25대
이광노
제26대
노태우
제27대
백운택
제28대
정진태
제29대
고명승
제30대
이필섭
제31대
김재창
제32대
안병호
제33대
이규환
제34대
전관
제35대
변호인
제36대
임종천
제37대
이상태
제38대
신현배
제39대
이영계
제40대
정인구
제41대
이종철
제42대
김춘수
제43대
한동주
제44대
정태희
제45대
김용우
제46대
강천수
제47대
황대일
제48대
안병석
제49대
김동호
제50대
김진철
제51대
정광웅
제52대
박진원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대한민국 제6-8대 합동참모의장
김종오
金鍾五 | Kim Jong-oh
파일:General_Kim_Jong-oh.jpg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출생 1921년 5월 22일
충청북도 청주군 부용면 외천리
(現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부용외천리)
사망 1966년 3월 30일 (향년 44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
본관 김해 김씨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65년
재임기간 제6대 연합참모본부총장
1960년 10월 8일 ~ 1961년 6월 6일
제7대 연합참모회의의장
1961년 6월 6일 ~ 1963년 5월 31일
제15대 육군참모총장[1]
1961년 6월 6일 ~ 1963년 5월 31일
제8대 합동참모의장
1963년 6월 1일 ~ 1965년 4월 1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1a24><colcolor=#ffffff> 자녀 4남 1녀
학력 부강초등학교 (17회 / 졸업)
주오대학 (법학 / 중퇴)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2기)
종교 유교 (성리학)천주교 (세례명 : 요셉)
임관 군사영어학교 (1기)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합동참모의장
주요 보직 육군 제6보병사단 사단장[2]
육군 제3보병사단 사단장
육군 제9보병사단 사단장[3]
육군사관학교 학교장
육군 제1군단 군단장
육군 제5군단 군단장
연합본부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주요 참전 춘천전투
동락리 전투
영천 전투
백마고지 전투
상훈 태극무공훈장 수훈 }}}}}}}}}
1. 개요2. 주요 경력3. 생애
3.1. 6.25 전쟁3.2. 6.25 전쟁
3.2.1. 화려한 전공(戰功)3.2.2. 연이은 시련3.2.3. 백마고지 전투
3.3. 전후
4. 평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6.25 전쟁 당시 활약한 대한민국 국군장성.

제6보병사단춘천-홍천 전투제9보병사단백마고지 전투에서의 맹활약으로 특히 유명하다. 이들 전공으로 대한민국 국군 최고의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역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중 가장 오랜 기간동안 재직하였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셉이다.

6.25 전쟁 당시 한국군 사단급 지휘관 중 최고의 활약을 보였던 명장이다.

북한군 최고의 명장인 방호산과 비견된다.[4]

2. 주요 경력

3. 생애

3.1. 6.25 전쟁

1921년 5월 22일 충청북도 청주군 부용면 외천리에서 태어나 유년시절 부용면 부강리에서 거주하였고 그는 일본 주오(中央) 대학에 법학부로 재학 중 일제에 의해 학병으로 징집되었다가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복무 중 8.15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독립한 조국으로 귀국한 그는 군사영어학교에 입교하여 1946년 1월 28일 졸업함과 동시에 육군 참위(당시의 계급으로, 현재의 소위에 해당)로 임관하였다. 임관 후 그는 전북 이리에서 중대장 김백일 부위(당시의 계급으로, 현재의 중위에 해당)[5]를 비롯하여 이한림, 정래혁과 함께 3연대[6] 창설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49년 1월에 1연대장, 두 달 뒤인 1949년 3월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약 3년 만에 소위로부터 대령까지 그야말로 초고속 진급한 것. 지금 관점에서는 특이하다 못해 비정상적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이는 당시 시대상을 살펴야 한다. 이러한 진급을 한 군인들은 보통 일본군이나 국부군, 또는 만주군에서 장교로서 복무한 경력이 있었다. 따라서 신생 군대의 편제 유지를 위해, 고급장교가 필요하다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광복군국부군에서 활약했던 최용덕 장군의 경우, 육군 소위로 임관한 지 6개월 만에 대위로 특진하고, 두 달 뒤에는 초대 국방부 차관으로 영전했다.[7]

1949년 5월 강태무, 표무원이 이끄는 춘천 부근 6여단 8연대의 2개 대대 병력이 김창룡이 주도한 숙군 작업에 걸리게 되자 월북했고, 그 책임으로 연대장이 바뀌어 김종오가 그 자리에 부임했는데 5월 8일 포천군 사직리에서 1개 대대가 월북한다는 거짓 투항책으로 북한군 2개 중대 병력을 유인해 섬멸하는 승리를 거두며 일약 군에서 주목을 받게 된다.

이후 6.25 전쟁 발발 불과 2주 전인 1950년 6월 10일 춘천시 - 인제군 지역의 38선 경비임무를 담당하는 제6보병사단장에 임명되었다.

3.2. 6.25 전쟁

3.2.1. 화려한 전공(戰功)

6.25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6사단을 지휘, 춘천-홍천 전투에서 사단 작전지역 내에 존재하는 천연 장애물인 소양강북한강, 홍천 큰말고개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조선인민군의 남진을 저지, 북한의 전쟁 초기 전략을 좌절시키고 동시에 국군 주력 부대들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UN군이 참전할 수 있을 시간을 버는 데 기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향후 전쟁의 양상을 반전시키는 계기가 마련되었는데, 이미 상황이 끝나 UN군이 참전할 가치를 못 느꼈다면 대한민국은 현존하지 못했을 것이 분명하니 그의 공로는 대단히 크다.

이후 남쪽으로 후퇴하면서 지연전을 계속 벌이던 와중 일어난 동락리 전투(음성무극리전투)에서 휘하 7연대[8] 2대대[9]가 단독으로 적 1개 연대를 기습, 전멸시켜 승리로 이끌었다. 참고로 이 전투는 육군이 최초로 인민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전투이다. 그 뒤 계속 남하하며 수안보, 이화령 전투 등에서 북한군의 남진을 계속 지연시켰고, 이러한 전공을 인정받아 그는 1950년 7월 15일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그 뒤 낙동강 부근에 최후의 방어선이 형성되고 이를 방어하기 위한 영천 전투가 벌어지는데, 그의 6사단은 신녕(新寧) 지구에서 북한군 8사단의 공세를 안정적으로 저지하여 우인접 영천 방면의 아군이 실시할 반격작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공헌했다. 덕분에 김일성이 직접 남조선의 사단 중 제대로 된 사단은 6사단밖에 없으니 그걸 깨부셔야 한다!는 언급을 할 정도로 피아 모두에게 유명해졌다.

이후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해 국군과 UN군이 북진을 공격적으로 하는 와중 7연대 1대대가 10월 26일에 최초로 압록강변 초산을 점령해 압록강 물을 수통에 담아 이승만 대통령에게 보내기도 하였으나[10] 이 무렵 그는 교통사고를 당해 후송당했다.

3.2.2. 연이은 시련

문제는 사단장이 부상당한 때에 중공군이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결국 6사단은 초산에서 후퇴하다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특히 7연대는 엄청난 타격을 입고 병력만 분산철수해서 전투력을 거의 완전히 상실하고 말았다. 이것이 김종오 장군의 첫 번째 대패배였는데, 일단 책임은 중공군의 개입을 가볍게 본 맥아더를 위시한 UN군 총사령부에게 있었지만, 본인 입장에서도 정말 기분 좋지 않은 일이었다.

부상에서 회복된 후에는 3사단장을 맡았지만, 곧바로 참가한 현리 전투에서 패배를 맛보았다. 패배의 책임은 그의 상관인 3군단 유재흥에게 돌아갔지만, 역시 여기서도 사단이 통째로 붕괴되고 모든 장비를 버린 채 혼란에 빠진 병력들이 무질서하게 산으로 흩어져서 후퇴하는 등의 추한 모습을 연출했고, 이는 명장으로 이름을 날린 그에게 대단히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이후 중공군의 남하로 전선이 교착됨과 동시에 휴전협상이 진행되자 휴전 후 유리한 고지를 획득하기 위해 고지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1952년 5월 김종오 장군은 중부전선의 전략적 요충지인 철원지역을 담당하는 9사단장에 임명됐다.

3.2.3. 백마고지 전투

김종오 장군은 6.25 전쟁 중 가장 치열한 격전이 일어났던 곳들 중의 하나인 백마고지 전투를 진두지휘하였다. 1952년 10월 철원 북방의 395고지(후에 백마고지로 명명됨)를 확보하고 있던 9사단은 중공군 3개 사단의 공격을 받고 12회에 걸친 뺏고 빼앗기는 처절한 사투를 벌여 10월 15일 최종적으로 중공군을 격퇴, 이 고지를 사수하였다.

그는 적시적절한 예비대 투입과 부대 교대, 강력한 포병 및 항공전력을 이용한 입체적인 화력 지원, 그리고 필승의 신념을 고취시킨 정신교육 등으로 장병들의 사기를 북돋아 줌으로써 철의 삼각지를 점령하려는 적의 전략적 목적을 좌절시키는데 성공했다.

백마고지 신화를 창조해낸 그는 이후 휴전 때까지 육군사관학교 교장으로 보직 정예 초급간부 육성에 매진하였다.

3.3. 전후

휴전 후 그는 1군단장에 임명되었고 1954년 2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이후 그는 교육총본부(현재의 교육사령부의 전신) 총장,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김종오 장군은 육군참모총장 재직시인 1962년 1월 국군 사상 다섯 번째로 대장으로 진급하였다.[11] 1965년 4월 19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머지 않은 1년 후인 1966년 3월 30일 오전 9시 25분, 신당동 자택에서 지병인 폐종양으로 사망하였다.[12] 향년 46세.

그는 임종하면서 "더 일할 나이에 조국통일도 못 해보고 눈을 감으니 한스럽고 죄송할 뿐이다. 모름지기 평생의 소원인 통일 성업을 꼭 이루어 주기를 바란다"는 유언을 남겼다.

4. 평가

6.25 전쟁 당시 한국군 명장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인물로 1983년 국방부 선정 4대 영웅으로 이름을 올렸다.#

100살까지 장수하면서[13] 자신의 전공을 알릴 기회가 많았던 백선엽 장군에 비해, 불과 40대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김종오 장군은 전공에 비해 지나칠 정도로 후세의 기억에서 덜 조명을 받는 비운의 명장인 셈.

다만 제6사단은 전쟁 초반 보도연맹 학살 사건에 연루되어 있다. 당시 6사단은 횡성에서부터 출발하며 퇴각로마다 무수한 대량학살을 벌였다. 특히 수만의 민간인들이 살해당했던 충북 지역의 피해가 가장 심각했다. 이 책임은 당시 사단장이었던 김종오 장군 역시 지고 있다.

5. 둘러보기

대한민국 계엄사령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비상계엄
경비계엄
1회

비상

김백일
2회

비상

송요찬
3회

비상

정일권
4회

경비

정일권
5회

비상

정일권
6회

경비

정일권이종찬
7회

비상

이종찬
8회

비상

이종찬백선엽
9회

경비

송요찬
10회

비상

송요찬
11회

경비

송요찬최영희
12회

비상

장도영
13회

경비

장도영김종오
14회

비상

민기식
15회

비상

노재현
16회

비상

박찬긍
17회

비상

정승화이희성
18회

비상

박안수
}}}}}}}}} ||
1983년 국방부 선정 6.25 전쟁 4대 영웅
월튼 워커 더글라스 맥아더 김홍일 김종오

전두환 前 대통령이 12.12 군사반란 이후 선배 장군들을 몰아낸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6.25 전쟁 영웅을 선정해달라고 선배 장교인 박경석(1933) 장군에게 부탁한다. 둘은 육군대학 정규과정(박경석 중령, 전두환 소령 시절)에서 같은 기수로 교육을 받은 인연이 있다.

● 박경석 장군은 혼자서 4대 영웅을 선발할 수 없다면서 제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이한림 장군, 제2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이병형 장군, 제3보병사단장을 역임한 박정인 장군을 초청하여 회의를 했는데, 만장일치로 김홍일 장군, 김종오 장군, 맥아더 장군, 워커 장군을 선정했다. 당시에는 6.25전쟁에 참여한 장군들 거의 생존했고 이들에게 여론조사를 했을 때도 역시나 만장일치로 위의 4인이 선정됐다.

● 탈북민 출신의 기자 주성하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대한민국의 생존을 결정지은 것은 백선엽이 아니라 김종오라고 평가하며 그가 지휘한 춘천 전투를 높게 평가했다. 그는 북한에서 제작된 드라마 소설 '50년 여름'[14]에서는 춘천 전투에 대해서 드물게 고전을 면치 못한 전투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김일성 일가를 띄우기 위해서는 흰색도 빨간색이라고 우기고 볼 인간들조차 춘천에서의 전투를 '고전', '패배'라고 그리고 있을 정도였으니[15] 김종오가 지휘하는 대한민국 국군과 맞섰던 춘천에서의 전투는 뭐라 쉴드를 치거나 할 수 없는 북한의 빼도박도 못할 대패였다는 소리다. 동시에 주성하는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하고도 사흘 동안 더 남하하지 않고 머무른 것도 춘천에서의 저항이 큰 원인이었으며[16] 김종오와 춘천 전투가 아니었다면 북한은 계획대로 바로 부산까지 들이닥쳤을 것이고 백선엽이 낙동강 방어선을 지휘하거나 미국의 인천 상륙 작전도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호평하고 있다.[17]




[1] 제7대 연합참모회의의장 겸임[2] 당시 계급은 대령[3] 백마고지 전투[4] 방호산 역시 북한군에서 북한군 6사단을 지휘했고, 김종오 역시 국군 6사단을 이끌었으며, 북한군 6사단과 국군 6사단은 각 북한과 남한에서 전시에 가장 큰 활약을 보인 부대였으며, 심지어 둘이 해당 부대를 이끌때, 해당 부대의 학살 혐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사하다.[5] 인력풀이 매우 적던 건군 초기였기 때문에, 중위 중대장 - 대위 대대장은 물론 대령 사단장도 흔했다.[6] 현재 해당 연대는 7사단 예속이다.[7] 사실 최용덕 장군은 국부군 공군 소장 출신으로 소위로 임관하는 것은 다분히 불합리한 인사였긴 했다. 군경력이 비슷한 김홍일 장군도 특별임관 형식으로 곧장 준장에 임명되었으니.[8] 현재의 제7보병여단. 6.25전쟁 발발 이전부터 현재까지 편제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부대이다.[9] 음성무극전승대대[10] 사실 국군 사단 중 압록강변까지 도달한 부대는 이 연대를 제외하면 없기에 지금도 6사단 내에서 초산 연대로 별칭된다.[11] 첫 번째는 백선엽 대장, 두 번째는 정일권, 이형근 대장 공동(육군총참모장을 역임한 정일권 장군과 대한민국 국군 군번 1호의 주인공인 이형근 장군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워 동년 동시에 진급시킴) 네 번째는 박정희 대장이었다.[12] 현역 때도 증상이 있어 미국 월터 리드 육군병원에서 두 차례 수술 받았다. 당시 유족으로 부친(당시 68세)/모친(당시 67세)/처/4남 1녀의 자식들이 있었다.[13] 1920년에 태어나 2020년까지 살았다.[14] 1990년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총 22장으로 구성된 장편소설로 1950년 6.25 전쟁 제 1단계 작전 시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서울과 대전에서 벌어졌던 전투를 그리고 있다. # 해당 드라마 집필진은 노동당 비밀 문서까지 열람할 수 있을 만큼 '당에 대한 충성'이 보장된 사람들이다.[15] 실제로 북한은 춘천 전투 직후 2군단장 김광협을 해임하고 무정으로 교체하였으며, 2사단장 이청송은 최현, 7사단장 전우는 최충국으로 교체했다. 전쟁 시작 며칠만에 군단 지휘관을 싹 교체하는 것은 웬만해서는 보기 드문 일인데, 뒤집어 말하면 주성하의 지적마따나 김일성이 춘천 전투에서 얼마나 큰 충격을 받았는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16] 주성하는 조선인민군의 작전 계획은 6.25 전쟁 발발 초기 춘천을 하루 만에 점령하고 3일 뒤에는 수원을 점령해서 대한민국 국군의 배후를 차단한다는 것이었는데, 춘천의 김종오 예하 6사단이 조선인민군 2군단을 상대로 닷새나 막아내는 데에 성공함으로써 조선인민군의 작전 계획을 무위로 돌렸고, 결국 배후 포위망 형성에 차질이 생긴 김일성은 서울에서 사흘을 허비할 수밖에 없게 되었던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17] 또한 1952년 10월 김종오가 사단장으로서 지휘했던 백마고지 전투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그들의 '항미원조'(?) 전쟁에서 유일하게 패배했다고 인정한 전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