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03:26:39

강호필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김운용
제2대
남영신
제3대
안준석
제4대
전동진
제5대
손식
제6대
강호필
제7대
주성운
※ 초대~현재: 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6대 지상작전사령관
강호필
姜鎬弼 | Kang Ho-pill
파일:회색강호필.png
<colbgcolor=#063><colcolor=#fff> 출생 1968년 ([age(1968-12-31)]~[age(1968-01-01)]세)
경상남도 김해군 진례면 고모리
(現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고모리)
재임기간 제59대 합동참모차장
2024년 4월 24일 ~ 2024년 10월 4일
제6대 지상작전사령관
2024년 10월 4일 ~ 2025년 9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63><colcolor=#fff> 가족 배우자 정미숙
학력 김해고등학교 (11회 / 졸업)
육군사관학교 (47기 / 학사)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 / 석사)
종교 불교 (법명: 벽암)[1]
군사 경력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91년 ~ 2025년
임관 육군사관학교 (47기)[2]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지상작전사령관
주요 보직 합동참모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제1군단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제1보병사단
합동참모본부 작전1처장
제8군단 참모장
제1군단 작전참모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1팀장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
제1보병사단 제12보병연대 제2대대장
}}}}}}}}}

1. 개요2. 생애3. 주요 직위
3.1. 영관급 장교 시절3.2. 소장 시절3.3. 중장 시절3.4. 합동참모차장3.5. 지상작전사령관
4. 논란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대장이며, 제6대 지상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2. 생애

1968년생. 경남 김해시 출신으로 김해고등학교(11회)를 졸업하고 1987년 육군사관학교(47기)에 입교하여 1991년 3월 1일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2009년 국방대학교에서 안보정책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3. 주요 직위

3.1. 영관급 장교 시절

1사단 12연대 2대대장(도라대대) 시절 사단장은 신현돈 소장(前 제1야전군사령관), 12연대장은 김승겸 대령(前 합참의장)이었다.[24] 당시 신현돈 사단장의 신임을 받던 김승겸 연대장이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강호필 대대장도 상당히 철저하고 유능한 맹장이었다는 평이다. 해당 글을 보면 매우 빡센 편이었다고 한다.[25]

3.2. 소장 시절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서 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발생 후 2022년 10월 14일, 9.19 군사합의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대북 경고 성명을 발표했다.
합참, 대북 경고 성명.."명백한 9.19 합의 위반..엄중 경고" | 2022.10.14. SBS

3.3. 중장 시절

제1보병사단장으로서는 두 번째로 제1군단장으로 부임했다.[26] #

북한의 무인기 도발에 대한 군의 대응이 도마에 오른 만큼 향후 대장 진급 여부가 주목되는데 2023년 2월 15일,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실로부터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당시 상황 전파와 작전 발령 지연 및 격추 실패 등에 책임을 물어 강호필 1군단장에게 서면 경고 조치가 내려졌다. #

1군단 오픈채팅방을 만들어 군단장과 병사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었다.[27] 직접 소통하는 리더십을 보여줘서 긍정적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소/중/대대장과 행보관 등의 중간에 끼인 간부들의 고충이 생길 수도 있다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

또한 1군단 복지회관인 광개토회관에서 관리관을 비롯한 간부의 갑질 의혹이 벌어질 당시 군단장이 이 사람이었으나, 군단장이 직접 잘못한 것은 없는지라 무사히 넘어갔다.

이후 동기인 손식이 직속상관인 지작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대장 진급은 다소 불투명해졌지만 후속 인사에서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으로 영전하여 현 대장 2차 진급의 가능성은 조금이나마 남아있게 되었다.[28] 참고로 이번에 옮겨간 작전본부장 자리는 손식과 같이 진급한 1기수 선배인 강신철이 전임자였다.[29] 참고로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중장 이하의 비(非) 지휘관참모 보직으로서는 최상위 요직이다. SBS의 단독보도에 따르면 합참차장을 대장으로 승격시켜 보직시킬 수 있어 대장으로 진급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생겼다. 만약 합참차장이 대장으로 보직이 된다면 윤석열 정부의 첫 방첩사령관이자 현 합참차장인 황유성과 경합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실제로는 황유성 중장이 전역하며 본인이 후임이 되었고 그와 함께 대장으로 진급했다.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를 중단할 것을 경고하는 대북 성명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는 인내했지만…" 대북 경고장 날린 합참 | 2023.11.20. 채널A

3.4. 합동참모차장

파일:강호필악수.jpg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삼정검에 수치를 수여받고 악수하는 모습
대장 진급 및 합동참모차장 임명식 | 2024.4.24. 윤석열 정부 영상 아카이브

2024년 4월 24일 대장 진급과 함께 황유성 중장의 후임 합동참모차장으로 이동하였다. 박인용 이후 16년 만에 대장 계급으로 합동참모차장에 보임되었다. # 육군 출신의 합동작전 전문가로서 해군 출신 김명수 의장을 보좌하여 합참의 작전지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이런 선택을 하였다고 보여진다.

이로써 47기 중 손식에 이어 2차로 대장 진급에 성공하였다. 동기가 대장에 오른 상태에서 작전본부장이 되어 대장 진급 가능성이 불명이었는데 대장 보직이 하나 늘어나는 극히 이례적인 상황 덕에 진급에 성공한 케이스다. 최근엔 육사 기수별로 대장이 1-2명만 나오기에 작전본부장을 해도 대장 진급을 못할 가능성이 훨씬 커보였다. 합참차장이 대장 보직이 되는 이례적 상황 덕에 겨우 진급한 것이지, 원래는 말년에 작전본부장으로 2년간 고생만 하다 그대로 집에 간 김용현 루트를 탈 뻔했다.

이전의 중장 출신 합참차장들과 달리 굳이 대장으로 보직된 케이스이기에 뒤에 조용히 물러나 있던 전임자들과는 달리 합참을 실질적으로 총괄하는 참모장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합참차장보다는 작전본부장 쪽이 합참의 참모장에 가까웠다.[30] 특히 합참차장을 일부러 대장으로 격상시킨 이유가 드론작전사령부, 대한민국 전략사령부 같은 신규 합참 직할 통제부대의 지휘소요와 더불어 합참의장 유고시 차장이 쥐게 되는 지휘권 등의 요소로 인한 것이기에 합참차장의 역할 자체도 이전보다 훨씬 확장될 것은 자명하다. 합참 작전본부의 주요 요직을 모두 역임했기에 합동작전과 합참의 실무에 통달했음은 말할 것도 없고, 합참의장을 보좌하며 합참의 일을 총괄하게 되므로 다른 어느 현역 대장보다도 차기 합참의장에 적합한 인선이 되므로 차기 합참의장으로 영전할 가능성도 꽤 높다. 미군도 참모총장과 참모차장을 모두 대장으로 두고[31] 참모차장은 총장을 보좌하며 차기 총장이 되기 위한 역량을 쌓다가 총장이 되는 식으로 장기적인 시각으로 지휘부의 역량을 닦을 수 있는 방향으로 인사를 운영한다.
파일:강호필튀르키예.jpg
튀르키예 부총사령관과 군사교류회의 시작 전 경례하는 모습

합참차장을 대장으로 올린 이유는 전략사 창설관련 합동작전 전문가로서 적임자이기 때문인걸로 생각된다. 실제로 합참차장이 중장이었을 때보다 의장을 대신하여 매스컴 등장 빈도가 높아졌다.

3.5. 지상작전사령관

2024년 9월, 손식 지상작전사령관이 급하게 국군수도병원에 입원함에 따라 지상작전사령관 대행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했으나 전혀 호전되지 않자, 2024년 10월 4일 정식으로 제6대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취임했다.

이재명 정부는 기존 대장 전원을 교체하겠다고 선언했고 정식 임기 시작 11개월 만에 전역하게 되었다. 후임자는 주성운 대장이며, 두 장군의 이전 보직인 1군단장 직도 전 - 후임자 관계였다.

4. 논란

4.1. 12.3 비상계엄 관련

  •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국방부장관이 주재한 마지막 화상회의에 참석했다는 주장에 대해 합참의 통제 하에 있는 회의라고 인식하고 참여했다고 설명했다.[32]문화일보 또한 비상계엄 선포를 사전에 알았을 것이란 의혹과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뉴스원
  • 2024년 6월 삼청동 안가 저녁식사 자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전 시국 상황을 걱정하며 "비상대권"을 언급하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여인형 당시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당시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 당시 수도방위사령관과 함께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을 꼽아 "이 4명이 대통령께 충성을 다하는 장군"이라고 소개한 것으로 나타났다.경향신문
  • 2024년 7월 윤석열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길에 하와이를 방문했을 때, 당시 대통령실 경호처장이었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강호필 당시 합동참모본부 차장에게 “한동훈은 빨갱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일반이적죄 기소 공소장에 적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강호필 전 합참 차장은 귀국한 뒤 신원식 당시 국방 장관에게 “분위기가 상당히 위험한 것 같다. 대통령이 군을 정치에 끌어들이려 하고 김용현이 위험한 발언을 하며 동조를 강요하니 나는 전역하고 싶다”고 보고했고, 신 전 장관은 김용현 전 장관에 전화해 크게 항했다고 한다. 조선일보
  • 2025년 1월 13일,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과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이 서로 겹치는 날짜에 휴가를 다녀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통령께 충성을 다하는 장군 4명" 중 한 명이면서도 계엄 수사에서 한걸음 비켜나 있는 강 사령관과 지작사의 계엄 및 북풍공작 협조 의혹 등이 규명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작사 쪽은 "강 사령관은 휴가기간에 두 사람을 만난 적 없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한겨레
  • 2025년 1월 14일, 국회 내란국조특위 1차 기관보고에 증인으로 출석하여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의 공소장에 있는 내용과, 양구군청고성군청에 계엄군이 출동한 과정, 지난해 6월 삼청동 저녁식사 자리 등에 대해 집중 추궁을 받았다.경기신문 박선원 의원의 발표자료에서 2024년 7월 12일 문상호, 박안수에 이어 합참차장 신분으로 방첩사를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JTBC
  • 2025년 2월 24일, JTBC 단독보도에 따르면 계엄에 명백히 반대했으며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에게 전역지원서를 내밀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후 계엄 관련 회의에서 배제되었다고 한다. #

메모 터지자 드러난 전말.."전역하겠다" 4스타 나타나자 | 2025.2.25. JTBC}}} ||
  • 내란 특검이 25년 9월 15일 강호필 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계엄 가담 여부 등에 대해 조사했다고 한다.15일에 소환하여 16일 새벽 2시까지 이루어진 강도높은 참고인조사였다.#1#2#3
    • 2024년 9월부터 12월까지 노상원과 20여 차례 통화하였으며, 근무연이 있어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노상원 수첩에는‘용인[33]:역행사 방지 대책 강구’라는 지작사의 역할이 적혀있었다고 한다.
    • 합참 관계자로부터 2024년 초에 강호필 사령관이 계엄 실무편람 등을 포함한 각종 계엄 비밀문서 등을 달라고 요구해 제공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 앞서 여인형내란 특검의 조사에서 강호필이 "사전에 계엄을 알고 있었던 게 맞다, 단 동참하지 않을 인물로 판단되었고 확실히 반대하였다"고 증언했다고 한다.
    •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자꾸 이상한 유튜브(극우 유튜브) 링크을 보낸다며 신원식 장관에게 하소연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체포동의요구서에 따르면, 2024년 7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외순방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비난과 함께 "군이 참여해야 하는 것 아니냐", "한동훈은 빨갱이"라고 발언하고 김용현 처장이 이에 동조하는 것에 놀라 신원식 장관에게 이를 알리며 조치를 취해줄 것과 대통령이 군을 정치에 끌어들이려 하고 처장이 위험한 발언을 하며 동조를 강요하니 전역하고 싶다는 의사를 타진했다고 한다. 그러자 신원식 장관은 "이 자식들이 아직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후배들을 불러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나. 내가 조치할 테니 넌 전역할 생각 말고 업무에 충실하라"라는 취지로 말한 후 김용현에게 화를 내며 항의했다고 한다.#

5. 여담

  • 연합합동작전의 전문가로 전동진 대장과 동일하게 합참 합동작전과장(대령)-작전1처장(준장)-작전부장(소장)-작전본부장(중장)을 모두 거쳤다. 다만 전 계급 1차 진급으로 올라간 전동진 대장[34]과는 달리 강호필 대장은 준장 2차, 소장 3차, 중장 2차, 대장 2차 등 계급마다 한두 번씩 밀리면서 올라왔다.[35]
  • 육사 출신으로는 36기 장준규 前 육군참모총장 이후로 10년 만에 나온 대장 2차 진급자이다. 과거와는 다르게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대장 보직이 감축되면서 육사 출신 대장은 37기 이후로 1차 진급만으로 끝이 났는데 합동참모차장을 대장 보직으로 승격하면서 2차 진급할 수 있었다.
  • 여인형 방첩사령관의 메모에 언급된 4명의 교체 대상 대장 중 1인이다. 나머지는 김명수 합참의장, 강신철 한미연합 부사령관, 양용모 해참총장.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01A24><tablebgcolor=#801A2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국군 소장.svg
연합참모본부장
초대

강영훈
제2대

김형일
제3대

함병선
제4대

김점곤
제5대

황엽
제6대

전부일
}}}
||<-5><bgcolor=#9fa3ac,#9fa3ac> 파일:대한민국 국군 중장.svg ||
합동참모본부장
제7대

박경원
제8대

서종철
제9대

심흥선
제10대

류근창
제11대

김재명
제12대

박원근
제13대

이병형
제14대

류병현
제15대

이재전
제16대

문홍구
제17대

김영선
제18대

신현수
제19대

강영식
제20대

이상훈
제21대

정진권
제22대

박희모
제23대

한철수
제24대

최웅
제25대

류승국
제26대

임헌표
제27대

권병식
제28대

송응섭

{{{#!wiki style="margin: -30px -1px -11px"
{{{#!wiki style="margin: -30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김홍일
2대
김백일
3대
백선엽
4대
이형근
5대
김종오
6대
전부일
7대
김익렬
8대
장창국
9대
양국진
10대
김용배
11대
최석
12대
박임항
13대
임부택
14대
김익렬
15대
문형태
16대
이상철
17대
김상복
18대
심흥선
19대
전부일
20대
김재명
21대
최우근
22대
박희동
23대
양봉직
24대
이희성
25대
황영시
26대
김윤호
27대
이기백
28대
백운택
29대
박희도
30대
최세창
31대
류승국
32대
문영일
33대
이필섭
34대
이병태
35대
김상준
36대
조성태
37대
김척
38대
박영익
39대
강신육
40대
정중민
41대
오현구
42대
김선홍
43대
임충빈
44대
장광일
45대
황중선
46대
권오성
47대
최종일
48대
모종화
49대
엄기학
50대
김용우
51대
서욱
52대
안영호
53대
황대일
54대
안병석
55대
이두희
56대
강호필
57대
주성운
58대
한기성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2D53C>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2D53C>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21D2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송호성
제2대
이응준
제3대
김석원
제4대
유승렬
제5대
백선엽
제6대
최영희
제7대
백선엽
제8대
강문봉
제9대
박임항
제10대
김동빈
제11대
임충식
제12대
박경원
제13대
류흥수
제14대
박준윤
제15대
김종순
제16대
이병형
제17대
윤태호
제18대
박영석
제19대
최석신
제20대
문흥구
제21대
박학선
제22대
김봉수
제23대
우종림
제24대
전두환
제25대
최연식
제26대
황관영
제27대
김을권
제28대
최평욱
제29대
김동진
제30대
김상준
제31대
이충석
제32대
길형보
제33대
강종필
제34대
이강언
제35대
조남진
제36대
송영근
제37대
송기석
제38대
김경덕
제39대
정승조
제40대
황중선
제41대
이성호
제42대
신현돈
제43대
서형석
제44대
하창호
제45대
장경수
제46대
이종화
제47대
박정환
제48대
김홍석
제49대
강호필
제50대
서진하
제51대
최창수
제52대
양진혁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if st1='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2='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288d263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3='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f99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4='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5='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인물 및 단체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연루
인물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지휘부[참조]
우두머리
(수괴)[2]
{{{#!wiki st4'background-color:nopad'> 중요임무
종사
[3]
{{{#!wiki st4'wikiSize size-s1'>{{{#!wiki st1'2'> 지휘부 외
국방부 내 인물 {{{#!wiki st1'wikiSize size-s1'>[4] {{{#!wiki st1'2'> 선전​·선동 혐의
피고발
[5]
{{{#!wiki st1'wikiSize size-s1'>{{{#!wiki st1'2' style='width:17%'> 관련 인물 {{{#!wiki st1'2'> 관련 단체 윤석열 정부 · 국가비상입법기구 · 국민의힘 · 자유통일당 · 내일로미래로 · 국가정보원 · 검찰청 · 대법원 · 사랑제일교회 · 극우 유튜버 · 윤석열 변호인단 · 충암파 · 용현파 · 반공청년단 · 백골단
국방부(국군방첩사령부 · 수도방위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정보사령부 · 제1군단(제2기갑여단))
경찰청(서울특별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기동본부 · 국회경비대 · 국가수사본부)
관련 둘러보기 틀 [[틀:12.3 비상계엄/지휘부|{{{#!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전개 ]
||<|2><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width=17%> 선포 및 해제 ||<bgcolor=#bc002d,#000><color=#fff>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
선포 전 정황 · 햄버거 회동 · 계엄 선포와 해제
해제 이후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해제 이후 · 1~2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1기)
2024년 12월 14일 ~ 12월 27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4%EB%85%84%2012%EC%9B%94%203%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4년 12월 3주차'>3주차 · 4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4년 12월 27일 ~ 2025년 3월 24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1%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1월 1주차'>1주차 · 2주차 · 3주차(윤석열 대통령 체포 & 윤석열 대통령 구속) · 4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 5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2%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2월 1주차'>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3%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3월 1주차'>1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 2주차 · 3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2기)
2025년 3월 24일 ~ 5월 1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3%EC%9B%94%204%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3월 4주차'>4주차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4%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4월 1주차'>1주차(윤석열 대통령 파면)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파면 이후
윤석열 대통령 파면
4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2025년 5월 2일 ~ 6월 4일
5월 ·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이재명 정부
2025년 6월 4일 ~ 현재
6월 · 7월(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 8월 · 9월 · 10월
수사 및 재판
#!wiki st5'wiki' href='/w/%EA%B5%AD%EA%B0%80%EC%88%98%EC%82%AC%EB%B3%B8%EB%B6%80' title='국가수사본부'>경찰청 국가수사본부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국방부 조사본부 · 검찰청 특별수사본부 · 국방부 검찰단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EC%88%98%EC%82%AC'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수사'>검찰·군검찰 주요 수사 내역 및 특별검사 수사 요구 · 경찰·공수처·국방부 조사본부 공동조사 및 주요 수사 내역 · 특별검사 주요 수사 내역 ·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C%9E%AC%ED%8C%90' title='12.3 비상계엄/재판'>12.3 비상계엄/재판 · 윤석열 비상계엄 재판(공소장 · 전문) 
#!wiki st5st1st1st1st1st1st1st1st1st1st1st1'wikiSize size-s1'>{{{#!wiki st1'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 관련 문서 ]
||<|7><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탄핵​ 심판 ||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탄핵
소추
가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2차)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소추 ·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소추
폐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1차)[사유1] · 김용현 국방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심우정 검찰총장 탄핵소추[사유2]
진행 중
심리 중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 심판
종료
인용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결정문)
기각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 심판
반응
영향 및 평가 반응(국내 반응) · 영향(김건희 여사 특검법 · 윤석열 특검법 · 내란 특검 · 김건희 특검 · 채상병 특검) · 평가 · 헌법 및 법령 위반 사항
집단행동
#!wiki st5'wiki' href='/w/%EC%9C%A4%EC%84%9D%EC%97%B4%20%ED%83%84%ED%95%B5%20%EC%B4%89%EA%B5%AC%20%EC%A7%91%ED%9A%8C' title='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전개) · 전국농민회총연맹 트랙터 행진[단발] · 박수영 의원 사무실 점거 농성[단발] · 윤석열 파면 촉구 문학인 공동성명 
#!wiki st5'wiki' href='/w/%EC%9C%A4%EC%84%9D%EC%97%B4%20%EB%8C%80%ED%86%B5%EB%A0%B9%20%EC%A7%80%ED%82%A4%EA%B8%B0%20%EA%B5%AD%EB%AF%BC%EB%8C%80%ED%9A%8C' title='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투블럭남)[단발] ·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사태[단발] · 전국대학생연합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의혹 및 논란 친윤계 계엄 동조 의혹 · 부정선거 음모론에 바탕한 계엄령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증거인멸 논란
관련 문서 계엄 이전 명태균 게이트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 · 나무위키 한국군 장성 문서 임시조치 요청 사건 · 2024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
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 ·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 남태령 대첩 · 코리아 디스카운트 · 대한민국 연예계 입국금지 요구 CIA 집단민원 사태 · 구미시 이승환 공연 취소 논란 · 석열산성 · 더불어민주당 내란선동죄 고발 사건 · 전한길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 논란 · 계몽령 · 2.13 헌법재판소 폭동 모의 사건 · 키세스단 ·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 힘내라 대한민국 · 새로운 대한민국 · 윤석열/합성물 ·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파면 이후 윤 어게인 · Make Korea Great Again
관련 청원 윤석열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 청원 · 윤석열 특검법 제정 촉구 청원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헌법재판소 판사탄핵에 관한 청원
그 외 특집 프로그램 · 한국-키르기스스탄 관계 · 여담 · STOP THE STEAL
관련 둘러보기 틀 [[틀: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12.3 비상계엄/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12.3 비상계엄/주요 사건|{{{#!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2020년대 대한민국 부정선거 음모론|{{{#!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참조]
{{{#!wiki st3
[2] 형법 제87조에서 정한 내란 혐의로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지휘부를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함에 따라 동조 제1호인 우두머리(수괴)에 해당하는 인물. 수사기관 영장, 출석요구서, 공소장 등 문서에 내란 우두머리 적시, 형 미확정. 2020년 형법 개정으로 '수괴'에서 '우두머리'라는 순우리말로 변경됨. 국가보안법, 군형법 등은 '수괴' 표현 유지[3] 형법 제87조에 따라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적용, 구속영장을 발부했거나 검찰에서 중요 내란중요임무종사 공범으로 지목함에 따라 제2호 내란중요임무종사로 기입.[4] 형법 제87조에 따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및 사법부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 혐의로 소환을 통보함. 해당 인물들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에 참석 및 참관 대상인 국무위원 및 정부 인사로서 내란을 방조했는지 여부가 수사 대상임.[5] 형법 제90조 2항에 근거한 내란 선전·선동 피고발인 목록.[사유1]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투표불성립으로 탄핵소추안 자동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사유2] [사유2] [사유2] [단발] 여러 번 계속 진행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그친 시위.[단발] [단발] [단발]

[1] 1군단장 재직 중 수계를 받았다. # 합참 작전본부장 보직을 하면서도 매주 국방부 영내 원광사 법회에 빠지지 않았으며 부부 모두 독실한 불자라고 한다. # 윤석열 정부 역대 육군 대장 중 유일한 불자로 추정된다.[2] 한때 육사 48기로 알려져 있었으나, 곽종근, 김권, 김규하, 김봉수, 김천석, 손대권, 손식, 양태봉, 전성대, 최창운, 표창수(이상 육사 47기)와 함께 소령, 중령 진급을 같이 하였다. 링크된 소령 진급자 명단중령 진급자 명단에 육사 48기가 없으므로 강호필은 육사 47기가 맞다.[3] 석사 학위 논문: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방안 : 유럽의 경험과 6자회담을 중심으로 (2009)[4] 출처[5] 출처[6] 당시 12연대장이 김승겸합동참모의장이었다. 이후 2022년 6월 인사에서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 영전하면서 다시 한번 직속상관으로 맞이하게 되었다.[7] 전임자 전동진, 후임자 손광제. 재임당시 직속상관이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이었으며 이후 비슷한 시기 합참으로 옮겨가서도 김용현 작전본부장 휘하에서 근무한 인연이 있다. 김용현이 작전본부장을 지낼때 합동작전과장이었다.[8] 보통 합동작전과장이 되기 전 보임되는 자리다.[9] 전임자 김홍석[10] 합참 작전본부 수석과장으로 육군 대령 보직 중 최고 요직이며 합동작전 능력을 인정받는 작전통만이 보임된다.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대장 전역),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강호필(육사 47기-대장 전역),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강현우(육사 50기-현직 중장), 안찬명(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육사 52기-현직 소장), 김홍식 (육사 53기-현직 준장), 정상진 (육사 53기-현직 준장) 등이 이 보직을 거쳤다.[11] 전임자 김홍석, 후임자 이승오[12] 합참 합동작전과장 직에서 진급 누락된 후 1군단 작전참모가 된 경우로, 안찬명 소장과 동일한 경력을 공유한다.[13] 전임자 손광제, 후임자 이영규. 당시 제1군단장은 안영호 중장이었다.[14] 전임자 박안수, 후임자 문병삼. 당시 제8군단장은 이진성 중장이었다.[15] 육군 준장 최고 요직 중 하나로 육사 출신 준장들이 주로 부임한다.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이진형(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손광제(육사 48기-현직 소장), 강호필(육사 47기-대장 전역),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김화종(육사 50기-현직 소장), 이광섭(육사 51기 현직 소장) 등이 이 보직을 거쳤다.[16] 전임자 손광제, 후임자 이승오[17] 전임자 김홍석, 후임자 서진하[18] 전군 소장 보직을 통틀어 최고의 요직 중 하나로 육사 출신 소장들이 주로 부임한다. 서욱(육사 41기-대장 전역), 조한규(육사 42기-소장 전역),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소장 전역), 곽종근(육사 47기-현직 중장), 강호필(육사 47기-대장 전역),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등이 이 보직을 거쳤다.[19] 전임자 곽종근, 후임자 이승오[20] 전임자 이두희 후임자 주성운[21] 전임자 강신철, 후임자 이승오[22] 전임자 황유성, 후임자 김봉수[23] 전임자 손식, 후임자 주성운[24] 세 사람 모두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을 역임한 작전통이었고 군에서도 능력이 뛰어났다는 공통점이 있다.[25] 강호필 장군의 대장 신고식 영상에 달린 댓글을 보면 병사들의 전역식에서 '나 때문에 힘들었지?'라고 묻자 '맞습니다'라고 병사들이 대답했더니 웃으면서 '사회에 나가면 나보다 힘든 사람 많을꺼다'라고 했다고 한다.[26] 제1보병사단장으로 제1군단장에 오른 첫 번째 장군은 황중선 장군(육사 32기)이다. 다만 이쪽은 합참 작전본부장을 맡으면서 대장 진급까지 바라보다가 천안함 사태 대응 문제로 인해 동기 박정이에게 밀려 대장 진급의 문턱에서 낙마했다.[27] 제1보병사단 사단장 당시에도 오픈채팅방을 만들어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었었다. 당시 막사 화장실에 해당 소통 창구의 포스터가 붙혀져 있었다.[28] 과거에도 동기가 대장이었으나 차후에 뒤를 이어 대장으로 진급한 남재준 전 참모총장 같은 사례가 있다. 만약 손식 장군이 참모총장으로 영전한다면 강호필 장군은 지상작전사령관이나 지휘 계통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연합사 부사령관으로 갈수도 있다. 혹 이번과 같은 예상을 깨는 인사가 계속 단행된다면 육군참모총장으로 갈 가능성도 없잖아 있다. 서욱 전 국방부 장관도 작전본부장에서 대장 진급하여 육군참모총장으로 간 예가 있다. 또한 연합사 부사령관으로 간다면 1기수 선배인 강신철을 그대로 따라가게 된다.[29] 하지만 작전본부장 직을 역임하다 전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안영호 중장도 강호필 장군과 마찬가지로 1군단장, 작전본부장 직을 역임하고 전역하였다.[30] 합참차장은 육해공군 말년 중장이 오는 자리라 본부장들과 달리 존재감이 거의 없었고, 다 떠나서 애초에 참모본부장들과 계급이 같아서 누가 누구를 지휘할 관계가 아니었다. 특히 육군 중장 중 최고 주류가 앉는 작전본부장과의 비교는 그야말로 어불성설. 육군본부의 참모장을 육군참모차장이라 부르는 이유는 참모차장(중장)이 휘하 참모부장(소장)들의 보고를 받는 관계이기 때문인데, 합참은 참모차장(중장)이 휘하 참모본부장(중장)과 계급이 같았다 보니 이리 된 것. 그런데 강호필 대장은 본인이 직전까지 합참 작전본부장을 하던 참모차장(대장)이라 당연히 작전본부장의 직속상관에 가까워진다.[31] 미합중국 해병대의 경우 사령관과 부사령관 직함을 단다.[32] 회의 참가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김용현과의 화상 회의는 사실로 보인다.[33] 지작사가 용인에 있다.[34] 전동진 대장도 강호필 대장처럼 상기 합참 4개 보직 외 제1경비단장, 지상작전사령관을 역임했다. 이는 육군 내에서도 대표적인 합동작전, 연합작전 전문가라는 뜻이다.[35] 사실 앞 계급에서 진급이 밀리면 이후로도 밀리는 건 어쩔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