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희성(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6377a><tablealign=center><tablebgcolor=#06377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앙정보부장 (1961~1981)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김종필 | 제2대 김용순 | 제3대 김재춘 | 제4대 김형욱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5대 김계원 | 제6대 이후락 | 제7대 신직수 | 제8대 김재규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9대(서리) 이희성 | 제10대(서리) 전두환 | 제11대 유학성 | ||
국가안전기획부장 (1981~1999)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1대 유학성 | 제12대 노신영 | 제13대 장세동 | 제14대 안무혁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5대 배명인 | 제16대 박세직 | 제17대 서동권 | 제18대 이상연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19대 이현우 | 제20대 김덕 | 제21대 권영해 | 제22대 이종찬 | |
국가정보원장 (1999~현재)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2대 이종찬 | 제23대 천용택 | 제24대 임동원 | 제25대 신건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26대 고영구 | 제27대 김승규 | 제28대 김만복 | 제29대 김성호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30대 원세훈 | 제31대 남재준 | 제32대 이병기 | 제33대 이병호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34대 서훈 | 제35대 박지원 | 제36대 김규현 | 제37대 조태용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6377a><colcolor=#ffffff> 출생 | 1924년 12월 29일 | ||
경상남도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363번지[1] | |||
사망 | 2022년 6월 6일 (향년 97세) | ||
서울특별시 | |||
본관 | 합천 이씨[2] | ||
재임기간 | 제9대 중앙정보부장 | ||
1979년 10월 30일 ~ 1979년 12월 12일 | |||
제23대 육군참모총장 | |||
1979년 12월 13일 ~ 1981년 12월 15일 | |||
제29대 교통부장관 | |||
1982년 5월 21일 ~ 1983년 10월 1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6377a><colcolor=#ffffff> 학력 | 육군대학 (졸업) 국방대학원 (행정학 / 석사) | |
경력 | 제9대 중앙정보부장 대한방직협회 회장 제29대 교통부 장관 국토통일원 고문 | ||
군사 경력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8기)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49년 ~ 1981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육군참모총장 | ||
주요 보직 | 육군 제38보병사단장 육군 제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관료.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사령관으로 군 핵심 지휘계통에 있었던 인물이다.
2. 생애
1924년 12월 29일 경상남도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363번지에서 아버지 이훈용(李壎鏞, 1888.1.24. ~ 1947.6.14.)[3]과 어머니 반남 박씨(1893.3.18. ~ 1951.7.6.)[4]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육군사관학교 8기 출신이다.[5] 38사단장, 수도사단장, 1군단장, 육군참모차장을 역임했다. 육군참모차장 재임 중 10.26 사태로 중앙정보부장 자리가 공석이 되자 현역 육군 중장의 계급으로 중앙정보부장 서리에 임명되어 육군참모차장 직에서 물러났다.
2달 후 12.12 군사반란으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이등병으로 강등되어 강제예편되자, 정승화의 뒤를 이어 1979년 12월 13일에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며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다.[6]
이듬해인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사령관으로서 공식적인 지휘계통에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김영삼 정부의 5.18 재판 당시 본인은 아무런 책임이 없으며 모든 것은 전두환이 주도했다고 주장했으나, 재판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하나회의 후원자인 유학성, 황영시와 함께 사실상 전두환과 공모한 것으로 판단하여 징역 7년을 선고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거리이나 이후 언론 인터뷰를 통해 5.18 민주항쟁 진압과정에서 자신의 죄를 부정하고, 나아가 전두환의 결백을 주장했다. ##"지휘체계상 계엄사령관인 자신을 제치고 전두환이 발포명령을 내렸다면 상관인 자신이 가만히 있었겠느냐"는 논리이다. 2017년 4월 30일 그것이 알고싶다 인터뷰에서 "적이 총 쏘니까 총들고 그냥 쐈지" 라는 언급을 하며 자신의 주장을 고수하였다.
1981년 12월 육군 대장으로 예편한 이후에는 전두환-노태우 정권 아래서 방직협회장, 교통부장관, 주택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 이사장을 지낸 바 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신군부 5인 중 한 명이었으나 지난 2022년 6월 6일 노환으로 사망하여 8일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서 새벽 발인 후 경남 고성 선영에 묻혔다.
3. 기타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하고 5.18 광주 학살을 벌인 신군부 핵심 5인(전두환(당시 보안사령관), 노태우(당시 수도경비사령관), 이희성(당시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황영시(당시 육군참모차장), 정호용(당시 특수전사령관))의 일원으로 손꼽히며, 가장 장수한 인물이다(향년 97세).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004c97> 신병현 → 김준성 → 서석준 → 신병현 → 김만제 → 정인용 | |||
국토통일원장관 | 이범석 → 손재식 → 이세기 → 박동진 → 허문도 | |||
외무부장관 | 노신영 → 이범석 → 이원경 → 최광수 | |||
내무부장관 | 서정화 → 노태우 → 주영복 → 정석모 → 김종호 → 정호용 → 고건 → 정관용 → 이상희 | |||
재무부장관 | 이승윤 → 나웅배 → 강경식 → 김만제 → 정인용 → 사공일 | |||
법무부장관 | 오탁근 → 이종원 → 정치근 → 배명인 → 김석휘 → 김성기 → 정해창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윤성민 → 이기백 → 정호용 | |||
문교부장관 | 이규호 → 권이혁 → 손제석 → 서명원 | |||
체육부장관 | 노태우 → 이원경 → 이영호 → 박세직 → 이세기 → 조상호 | |||
농림수산부장관 | 정종택 → 고건 → 박종문 → 황인성 → 김주호 | |||
상공부장관 | 서석준 → 김동휘 → 금진호 → 나웅배 | |||
동력자원부장관 | 박봉환 → 이선기 → 서상철 → 최동규 → 최창락 | |||
건설부장관 | 김주남 → 김종호 → 김성배 → 이규효 → 최동섭 | |||
보건사회부장관 | 천명기 → 김정례 → 이해원 | |||
노동부장관 | 권중동 → 정한주 → 조철권 → 이헌기 | |||
교통부장관 | 고건 → 윤자중 → 이희성 → 손수익 → 차규헌 | |||
체신부장관 | 김기철 → 최광수 → 최순달 → 김성진 → 이자헌 → 이대순 → 오명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광표 → 이진희 → 이원홍 → 이웅희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박찬긍 → 박세직 → 정관용 → 장기오 | |||
과학기술처장관 | 이정오 → 김성진 → 전학제 → 이태섭 → 박긍식 | |||
정무제1장관 | 최광수 → 정종택 → 오세응 → 이태섭 → 정재철 → 조기상 → 이종률 | |||
정무제2장관 | 노태우 | |||
정무제3장관 | 김기수 | }}} }}}}}}}}} |
[1] 전두환 사형판결문[2] 전서공파(典書公派) 33세 희○(熺○) 항렬.(족보)[3] 자는 성유(性攸).[4] 박계수(朴繼壽)의 딸이다.[5] 동기중에는 김종필, 안병하 치안감도 있었다. 5.16 군사정변에도 동참했다. 진종채, 김형욱도 동기이며 김종필과 김형욱은 준장으로 예편했지만 진종채와 이희성은 2군사령관과 육참총장까지 진급했다.[6] MBC 드라마 제5공화국을 보면 최광수 대통령비서실장이 이희성 육군참모총장을 찾아가 전두환을 견제해 달라고 하지만 이희성 육군참모총장은 상당히 불편해 한다. 그의 말이 인상적이다. "내가 일전에 전 장군이 중장으로 진급할 때 반대했는데 최 대통령께서는 진급을 시켜줬어요. 그런데 이번에도 내가 반대했는데 최 대통령께서 또 그러시면 나와 전 장군만 원수지간이 되는게 아닙니까?" 정작 최광수도 전두환 정권때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