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백선엽 | 2대 송요찬 | 3대 유재흥 | 4대 김종오 | 5대 이한림 | |
6대 박임항 | 7대 민기식 | 8대 장창국 | 9대 김계원 | 10대 서종철 | |
11대 한신 | 12대 최세인 | 13대 이소동 | 14대 정승화 | 15대 김학원 | |
16대 윤성민 | 17대 김윤호 | 18대 소준열 | 19대 정진권 | 20대 안필준 | |
21대 정호근 | 22대 이진삼 | 23대 이문석 | 24대 조남풍 | 25대 이준 | |
26대 오영우 | 27대 이재관 | 28대 김석재 | 29대 김판규 | 30대 김종환 | |
31대 정수성 | 32대 김병관 | 33대 김태영 | 34대 김근태 | 35대 정승조 | |
36대 박정이 | 37대 박성규 | 38대 신현돈 | 39대 장준규 | 40대 김영식 | |
41대 박종진 |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소준열 관련 틀 | ||||||||||||||||||||||||||||||||||||||||||||||||||||||||||||||||||||||||||||||||||||||||||||||||||||||||||||||||||||||||||||||||||||||||||||||||||||||||||||||||||||||||||||||||||||||||||||||||||||||||||||||||||||||||||||||||||||||||||||||||||||||||||||||||||
|
<colbgcolor=#006633><colcolor=#ffffff> | |
| |
출생 | 1931년 9월 18일 |
전라남도 구례군 | |
사망 | 2004년 1월 28일 (향년 72세)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1묘역 21호 |
학력 | 전북대학교 (법학 / 학사) 미국 육군보병학교 (OBC / 수료) 서울대학교 (행정학 / 석사과정 수료) |
경력 | 한국토지개발공사 이사장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 |
군 경력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10기)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50년 ~ 1983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제1야전군사령관 |
주요 보직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교육관리과장 파월 수도사단 참모장 제28보병사단장 육군종합행정학교장 전투병과교육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 육군참모차장 |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 고위 관료. 1931년 전남 구례 출생. 본관은 진주 소씨이다.2. 생애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10기로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6.25 전쟁 당시 최전방에서 소대장, 중대장으로 참전했고 종전 직후인 1954년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육군보병학교 OBC[1]을 수료했다.1965년 전북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함과 동시에 연대장에 임명되었고 1967년에는 대한민국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교육관리 과장, 1968년에는 맹호부대(수도기계화보병사단) 참모장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1975년 보병사단장, 1977년 육군본부 작전참모부 차장을 거쳐 1978년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를 수료하고 1979년에는 육군종합행정학교장에 임명됐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투병과 교육사령관으로 진압에 관여했다.
1981년 육군참모차장과 1982년 제1군사령관 등을 역임한 뒤 1983년 육군 대장으로 예편했다. 군 복무 중 월남금성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보국훈장 통일장·국선장·천수장·삼일장 등을 받았다.
1984년부터 1989년까지 한국토지개발공사(현 한국토지공사) 이사장으로 재직한 후 1988년부터 1994년까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2004년 1월 28일에 향년 72세로 사망했으며 유족으로는 부인 형정순과의 사이에서 낳은 2남 2녀가 있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압 책임자였기 때문에 1988년 청문회에 불려가기도 했다.[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