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명이 '강신철'인 배우}}}에 대한 내용은 [[강유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강유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강유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명이 '강신철'인 배우: }}}[[강유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강유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강유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초대 류병현 | 제2대 백석주 | 제3대 박노영 | 제4대 이상훈 | 제5대 한철수 | |
제6대 정진태 | 제7대 나중배 | 제8대 김진영 | 제9대 김동진 | 제10대 김재창 | |
제11대 장성 | 제12대 김동신 | 제13대 정영무 | 제14대 이종옥 | 제15대 남재준 | |
제16대 신일순 | 제17대 김장수 | 제18대 이희원 | 제19대 김병관 | 제20대 이성출 | |
제21대 황의돈 | 제22대 정승조 | 제23대 권오성 | 제24대 박선우 | 제25대 김현집 | |
제26대 임호영 | 제27대 김병주 | 제28대 최병혁 | 제29대 김승겸 | 제30대 안병석 | |
제31대 강신철 | 제32대 김성민 | }}}}}}}}} |
| |||
<colbgcolor=#10007c><colcolor=#fff> 출생 | 1968년 5월 4일 ([age(1968-05-04)]세) | ||
서울특별시 | |||
재임기간 | 제3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2023년 10월 31일 ~ 2025년 9월 3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0007c><colcolor=#fff> 학력 | 경성고등학교 (16회 / 졸업)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군사학 / 석사)[1] | |
가족 | 배우자 이혜경, 슬하 1남 1녀 | ||
종교 | 개신교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90년 ~ 2025년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46기)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주요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합동군사대학교 육군대학장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국방부 군사보좌관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과장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한미연합군사령부 정책과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장 제7보병사단 작전참모 제7보병사단 제8보병연대 2대대장 | }}}}}}}}} |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 최종 계급은 대장으로 제3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2. 생애
1968년 5월 4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성고등학교(16회)를 졸업하고 1986년 육군사관학교(46기)에 입교하여 1990년 3월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2006년 2월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에서 군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경력
- 대위 1993년 진급
- 제3보병사단 중대장
- 제20기계화보병사단 제62기계화보병여단 제111기계화보병대대 2중대장
- 제20기계화보병사단 작전참모처 근무
- 소령 2000년 1차 진급
- 중령 2006년 9월 1차 진급
- 대령 2011년 11월 1차 진급
- 준장 2016년 10월 1차 진급
- 소장 2019년 5월 2차 진급
- 중장 2021년 12월 1차 진급
- 국가안보실 안보·국방전략비서관 (문재인 정부 / 2021.12. ~ 2022.5)[11]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2022.5. ~ 2022.6.)[12]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13] (2022.6. ~ 2023.10.)[14]
- 대장 2023년 10월 1차 진급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23.10. ~ 2025.9.)[15]
3.1.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23년 10월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대장 인사에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발탁되었다. 육군사관학교 46기 동기 박안수 중장은 육군참모총장, 1기수 후배 손식 중장은 지상작전사령관, 육군3사관학교 출신 고창준 중장은 제2작전사령관으로 발탁되었다.[16]여러모로 이례적이었던 해당 인사[17]에서 대장 진급 1순위 보직인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출신으로 그나마 정석적인 인사였지만, 본인도 이준 전 국방부 장관 이후 30년만에 나온 군단장 미역임 대장 진급자라는 이례의 기록을 남겼다.[18]
연합사 부사령관 취임 이후 여러 곳에서 활동하였다. 방미 방일
2024년 12.3 비상계엄 당시 육군사관학교 46기 동기 박안수 육군총장이 계엄사령관을 맡은 반면, 본인은 작전 지휘체계와 무관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어서인지 계엄 관여 정황은 딱히 없다. 오히려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의 계엄 전 휴대전화 메모에서 언급된 교체 대상 대장 4명 중 1인이다. 나머지는 김명수 합동참모의장,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 양용모 해군참모총장. #
2025년 이재명 정부로의 정권 교체 후 합동참모의장 후보군 중 1인으로 꼽히고 있다. 본래는 관례상 대한민국 공군 차례[19]라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유력시되었으나 2025년 들어 공군에 각종 사건사고[20]가 많아 유력 후보에서 멀어졌고, 양용모 해군참모총장과 경합 중이라는 분석이다.[21] #1 #2 #3
다만 8월 28일 SBS 단독보도에 이어 MBC에서도 현역 대장 전원의 물갈이[22]가 이뤄질 전망이라는 보도가 나온 만큼 전역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SBS (영상) MBC
2025년 9월 1일 김성민 제5군단장이 후임으로 임명되어 9월 3일부로 이임하였고, 36년간의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하였다. # (제이비어 브런슨 연합사령관의 계정.)
4. 여담
- 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 당시 성적 우수자로 교수요원 후보로 선발되었으나 소대장 보직을 마치고 제55경비대대로 발탁되어 대학원에 가지 않고 야전 군인이 되었다.[23] 이후로도 육군대학 정규과정을 수석으로 수료하였고, 여러 논문과 책을 출판하였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82e59><tablebgcolor=#082e5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방비서관 (1998~2003, 2008~2017)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임충빈 | 제2대 하정열 | 초대 이홍기 | 제2대 김병기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3대 윤영범 | 초대 연제욱 | 제2대 장혁 | 제3대 임종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방개혁비서관 (2017~2021) 안보·국방전략비서관 (2021~2022)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김도균 | 제2대 김현종 | 제3대 안준석 | 제4대 강건작 | 제5대 강신철 | |||||
국방비서관 (2022~현재) |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이재명 정부 | ||||||||
초대 임기훈 | 제2대 최병옥 | 초대 곽태신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조종설 | 2대 이창효 | 3대 이진성 | 4대 최진규 | 직무대리 권영호 | |
5대 강신철 | 직무대리 심진선 | 6대 이두희 | 직무대리 정덕성 | 7대 김규하 | |
8대 김호복 | |||||
※ 초대~현재: 중장 (직무대리는 소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1] 학위논문: 마키아벨리의 『피렌체 군사조직안』과 참여정부의 『국방개혁 2020안』 비교분석(2006.2.)[2] # 당시 2등이 최인수 소장, 3등이 고태남 소장, 4등이 강기원 준장. 모두 육사 46기 동기이다.[3] 후임 양태봉[4] 후임 김봉수[5] 한민구 장관 군사보좌관[6] 전임 조창래, 후임 정해일[7] 전임 황병태. 제1야전군사령부가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폐합되기 전 마지막 작전처장이다.[8] 전임 김태성, 후임 박후성[9] 전임 정상화, 후임 김규하[10] 김현종, 강건작 장군과 마찬가지로 비서관 재직 중 중장으로 진급하였다.[11] 전임 강건작, 후임 임기훈[12] 전임 권영호, 후임 심진선[13] 재직 중 북한 무인기 영공 침투 사건 관련 2차례 브리핑을 한 바 있다. #1 #2[14] 전임 전동진, 후임 강호필[15] 전임 안병석, 후임 김성민[16] 2023년 후반기 군 인사에서 같이 발탁된 대장들 중 유일하게 문재인 정부에서 중장 진급을 한 인물이다. 합동참모의장이 된 김명수 제독은 1년 선임이지만 윤석열 정부 첫 군 인사에서 중장이 되었다.[17] 합동참모의장은 53년만에 중장 계급이던 김명수 해군작전사령관이 발탁, 육군참모총장은 한직에 있던 박안수 국군의 날 행사단장이 발탁, 지상작전사령관은 소장에서 중장이 된 지 1년도 안 된 손식 특전사령관이 발탁되었다.[18] 중장 진급 후 청와대 비서관에 유임되었고,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대기하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되면서 군단장을 맡을 기회가 없었다. 최근엔 입대자원 감소로 인한 부대 통폐합으로 지휘관 자리가 많이 줄어 아예 진급 초반부터 참모가 되는 경우가 많아지긴 했다. 군단급을 놓고 보면 2022년 제6군단, 2023년 제8군단이 해체했다. 이승오 중장도 진급하자마자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되어 군단장 보직을 스킵했다.[19] 합동참모의장은 과거엔 대한민국 육군 출신이 독점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육해공 대장들이 번갈아 보직되고, 육군도 비육사 출신들이 자주 보직되는 등 균형성을 잡는 직위로 기능하고 있다. 2013년 이후 합동참모의장들의 출신은 최윤희(해군)-이순진(육군 3사)-정경두(공군)-박한기(육군 학군)-원인철(공군)-김승겸(육군 육사)-김명수(해군)으로 다양하다. 가장 최근엔 육, 해군이 합참의장을 맡았으니 자연스럽게 공군에게 차례가 돌아올 타이밍이었다.[20] 초대형 사고였던 3월의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외에도 4월 KA-1 공중통제공격기의 기관총·연료탱크 낙하 사고, 6월 알래스카 KF-16 유도로 이륙 사고, 7월 일본 방공식별구역 침범 사건 등이 있었다.[21] 12.3 비상계엄을 육사 출신들이 주도했는데 재차 합참의장에 육사 출신을 발탁하는 게 내란 종식의 기치와 배치되는 결정이라는 의견이 당정에 있다는 점이 부담 요소인데, 그나마 육사 출신이란 점 외에는 계엄 관여 등의 개인적 흠결이 딱히 없고 경력상 합참의장 최적임자라는 평이 있어 경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해군에서 2연속으로 의장을 배출하는 것도 형평성 문제가 있고.[22] 참고로 SBS, MBC 보도에서 "현역 대장 7명 전원 전역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말은 틀린 정보이다. 직전 윤석열 정부의 2023년 10월 군 인사에서 김명수 해군작전사령관이 합동참모의장으로 지명되어 53년 만에 중장이 합동참모의장으로 직행하면서 대장 7명 전원 교체가 일어난 바 있다. 따라서 '합동참모의장은 대장 2차 보직'이라는 관례는 이미 깨진 상태였다.[23] 참고로 현 육군사관학교 교수부장 정태영 준장이 육군사관학교 46기 동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