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07:10:58

박선우(군인)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eneral_white.png
초대

류병현
제2대

백석주
제3대

박노영
제4대

이상훈
제5대

한철수
제6대

정진태
제7대

나중배
제8대

김진영
제9대

김동진
제10대

김재창
제11대

장성
제12대

김동신
제13대

정영무
제14대

이종옥
제15대

남재준
제16대

신일순
제17대

김장수
제18대

이희원
제19대

김병관
제20대

이성출
제21대

황의돈
제22대

정승조
제23대

권오성
제24대

박선우
제25대

김현집
제26대

임호영
제27대

김병주
제28대

최병혁
제29대

김승겸
제30대

안병석
제31대

강신철
}}}}}}}}}
박선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ed1c24>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d1c2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김백일
2대
유재흥
3대
백선엽
4대
유재흥
5대
정일권
6대
장도영
7대
함병선
8대
장창국
9대
김형일
10대
민기식
11대
박경원
12대
김익열
13대
문형태
14대
이상철
15대
김상복
16대
노재현
17대
윤태호
18대
김종환
19대
김종수
20대
이범준
21대
유학성
22대
최영식
23대
장성열
24대
김응렬
25대
장기오
26대
민경배
27대
신말업
28대
천용택
29대
장성
30대
김길부
31대
유재열
32대
조영길
33대
박노숙
34대
황규식
35대
김기성
36대
김관진
37대
정동한
38대
김현석
39대
정승조
40대
오정석
41대
박선우
42대
양종수
43대
고현수
44대
김운용
45대
최영철
46대
김혁수
47대
박정환
48대
정철재
49대
장광선
50대
박후성
※ 초대~2대: 소장 · 3대~현재: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박선우
朴宣宇 | Park Sunwoo
파일:324df6676df.png
출생 1957년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2013년 9월 27일 ~ 2015년 9월 17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가족 처 이강희, 슬하 2녀
학력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 50회)
군사 경력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9년 ~ 2015년
임관 육군사관학교 (35기)
최종 계급 대장(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주요 보직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제2군단장
합동참모본부 군사기획부장
제37보병사단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계획과장
}}}}}}}}}||

1. 개요2. 생애3. 군사 경력
3.1. 주요 직위3.2. 합참의장 진출 좌절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군인. 육군 대장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2. 생애

1957년 전라남도 광주[1]에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등학교(50회)[2]를 졸업했고 1975년육군사관학교 35기로 입학[3]1979년소위임관했다.

3. 군사 경력

3.1. 주요 직위

3.2. 합참의장 진출 좌절

육사 동기 신현돈 대장이 1군사령관 재직 중 차후 무혐의로 밝혀지긴 했으나 휴게소 음주 추태 사건으로 자진 전역하며 육사 35기 중 유일한 현역 대장으로 남았다. 그래서 2차 직위 진출은 확실시되었으나, 육사 34기에서 육군참모총장을 연달아 배출했기 때문에[9], 박선우 대장은 육군총장보다는 최윤희 의장의 후임 합참의장 진출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파격 군 인사로, 정석적인 후보인 박 대장을 제치고 3사관학교 출신 이순진 대장이 의장에 내정되었다. 이로써 35기는 육군총장과 합참의장을 모두 배출하지 못한 기수가 되었다.

원래라면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었다. 매 계급 1차 진급을 거듭한 선두주자로서 여러 요직을 거쳐 합참 작전본부장과 연합사 부사령관을 역임한 연합합동작전의 대가였기에, 중장 5차 진급을 할 정도로 진급이 늦고 그간 육군 후방의 한직을 전전했던 이순진 장군보다 합동참모의장으로서의 직무 수행 역량이 뛰어난 것은 너무나 당연했다. 그렇기에 국방 기자들도 박 대장의 합참의장 영전을 당연시했다. 관련기사

인사가 단행될 2015년 하반기 기준으로 당시 육군 대장 중 1, 2, 3군사령관은 각각 취임 기간이 1년 남짓 된 상태였기에[10] 연합사 부사령관을 2년 지낸 박 대장이 합참의장에 취임하고 나머지는 유임되는 게 인사 운용의 정석이었다.

그러나 2015년 9월 14일, 많은 이들의 예상에서 후보에도 없던 제2작전사령관 이순진 대장이 합참의장에 지명되며 결국 박 대장은 전역하게 되었다. 이순진 대장은 3사 출신이기도 했거니와 당시 합참의장 최윤희 제독과 같은 77군번인지라 대부분 사람들이 뒤늦게 단 2군사령관을 끝으로 전역하리라 예상했다.

광주일고 출신이라 대구 출신인 이순진 대장에게 밀린 것이 정부 성향에 의해 출신지역에 따른 불이익을 본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었다. 그 정도로 박선우 대장은 그간 군 내에서의 평판이나 직무역량, 거기에 인사 시기까지 합참의장에 적합했다. 다만 최윤희 의장이 역대 최초 해군 출신이었고, 이순진 의장은 역대 최초 3사 출신이라는 상징성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그간 육사 출신이 독점하던 직위를 강제로라도 타 출신에 배정해야 국방의 균형이 이루어진다는 시선도 있어서 큰 시각으로 보면 국방개혁을 위한 작은 발걸음에 불과하다. 이후로도 합참의장은 정경두(공군), 박한기(학군), 원인철(공군) 등 육군, 육사 일색의 군 수뇌부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직위로서 기능하고 있다.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PG_20160706_01000077900002521.jpg

전역 후 2016년 7월 4일, 27사단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동양대학교 영주캠퍼스에서 '국방 안보론'이라는 교양강좌를 하였다.

전역 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에는 광주일고 선배인 이낙연 후보를 지지했고#, 경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김병주, 김도균처럼 민주당 내 안보 전문가로 활동예정으로 알려졌다.

4. 여담

  • 특이한 이력으로, 26기계화보병사단장(불무리부대), 이라크평화재건사단장(자이툰부대), 제37보병사단장(충용부대) 등 사단장을 무려 3번이나 역임했다. 이는 직위 이동이 빈번했던 6.25 전쟁 이후 처음이다.
  • 파일:external/www.millgall.com/20140113142422_1.jpg


[1] 아직 직할시가 되기 전이었다.[2] 이영만 공군 중장이 고교 동기다.[3] 광주일고-육사 선배로 김동진 전 합참의장과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후배로 김용우 전 육군참모총장이 있다.[4] 파일:external/c7.staticflickr.com/7438353702_bb4941213e_k.jpg 2008년. 당시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박선우 소장. 이상희 당시 국방부장관.[5] 사단장만 3번을 지낸 이례적인 사례로 각기 재임 기간은 짧다.[6] 전임자 신현돈, 후임자 신원식[7] 육사 35기 동기 신현돈 장군과 동시 진급. 둘 다 합동작전통으로, 천안함 피격 사건연평도 포격전 이후 군 내에서 합동성이 중시되며 합동작전통이 중용되었다.[8] 당시 카운터파트인 한미연합군사령관커티스 스캐퍼로티 대장.[9] 권오성 총장이 윤일병 사건으로 물러나고 김요환 총장이 취임.[10] 1군 장준규(2014년 9월 취임), 2군 이순진(2014년 8월 취임), 3군 김현집(2014년 8월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