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
| 육군제2훈련소장 | |||||
|  제1대 김종갑  |  제2대 이성가  |  제3대 심언봉  |  제4대 함병선  |  제5대 백인엽  | |
|  제6대 양국진  |  제7대 백남권  |  제8대 박병권  |  제9대 한신  |  제10대 임충식  | |
|  제11대 최홍희  |  제12대 김동빈  |  제13대 장춘권  |  제14대 김상복  |  제15대 김병휘  | |
|  제16대 김진위  |  제17대 전부일  |  제18대 박남표  |  제19대 김재명  |  제20대 정봉욱  | |
|  제21대 한무협  |  제22대 김영선  |  제23대 곽응철  |  제24대 이필조  |  제25대 배정도  | |
|  제26대 이광노  |  제27대 김기석  |  제28대 김원태  |  제29대 김을권  |  제30대 임병화  | |
|   제31대 김충식  |  제32대 김광석  |  제33대 이기룡  |  제34대 오영우  |  제35대 이태우  | |
|   제36대 이종완  |  제37대 정화언  |  제38대 정남기  | |||
| 육군훈련소장 | |||||
|  제39대 문판생  |  제40대 이광희  |  제41대 김문범  |  제42대 허평환  |  제43대 정두근  | |
|  제44대 장종대  |  제45대 이태우  |  제46대 박성우  |  제47대 김정호  |  제48대 고성균  | |
|  제49대 고현수  |  제50대 김규하  |  제51대 서상국  |  제52대 구재서  |  제53대 김인건  | |
|  제54대 박원호  |  제55대 이용환  |  제56대 최장식  |  제57대 류승민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
| 역임한 직위 | ||||||||||||||||||||||||||||||||||||||||||||||||||||||||||||||||||||||||||||||||||||||||||||||||||||||||||||||||||||||||||||||||||||||||||||||||||||||||||||||||||||||||||||||||||||||||||
 
  | ||||||||||||||||||||||||||||||||||||||||||||||||||||||||||||||||||||||||||||||||||||||||||||||||||||||||||||||||||||||||||||||||||||||||||||||||||||||||||||||||||||||||||||||||||||||||||
| <colbgcolor=#334782><colcolor=#ffffff> 대한민국 제7대 육군제2훈련소장 백남권 白南權 | Baek Namgwon  | |
|   | |
| 출생 | 1922년 4월 5일 | 
| 경상남도 함양군 | |
| 사망 | 2011년 2월 4일 (향년 88세) | 
| 군사 경력 | |
| 임관 | 군사영어학교 (1기)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46년 ~ 1960년 | |
| 최종 계급 | 소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제6군관구사령관 | 
| 주요 보직 | 제6보병사단 제2보병연대 제2보병대대장 제7보병사단 제5보병연대장 수도사단 제1기갑연대장 제3보병사단장 육군보병학교장 제21보병사단장 육군사관학교장 육군제2훈련소장  |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2. 생애
1922년 4월5일 경상남도 함양에서 출생했다.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임관하였다.한국 전쟁 개전 초기 수도군단 기갑연대장으로 참전하였다. 전쟁 중 제3보병사단장과 육군보병학교장을 지냈다. 1954년 제21보병사단장 재임 중 소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사관학교장, 제2훈련소장, 제6군관구사령부 사령관을 역임한 뒤 1960년 예편하였다.
3. 여담
- 1957년 육군사관학교장으로 재임시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을 화랑대로 명명하였다.
 - 6.25전쟁당시 국군 3사단장을 역임했는데 양쪽 가슴에 늘 수류탄을 차고 전장을 누볐다. 벤플리트 미8군사령관은 그에게 한국의 리지웨이라는 별명을 남겨주었다. 왜 수류탄을 차고 다녔는지 이유에 대해서는 훗날 백두산을 점령해 태극기를 꽂은뒤 자신의 수류탄을 뽑아 자결해 남의 귀한 자식들을 사지로 몰아넣은 것에 대해 속죄하고 싶은 마음에 늘 수류탄을 차고 다녔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tpaC9Cz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