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4:27:22

허평환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파일:KIMUSA_LOGO.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군 중장.svg
특무부대장 (1950~1960)
초대
김형일
제2대
백인엽
제3대
이한림
제4대
김종면
제5대
김창룡
제6대
정인택
제7대
김재현
제8대
하갑청
제9대
이소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방첩부대장 (1960~1968)
제10대
박창록
제11대
이철희
제12대
김재춘
제13대
정승화
제14대
박영석
제15대
윤필용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보안사령관 (1968~1977)
제16대
김재규
제17대
강창성
제18대
김종환
제19대
진종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군보안사령관 (1977~1991)
제19대
진종채
제20대
전두환
제21대
노태우
제22대
박준병
제23대
안필준
제24대
이종구
제25대
고명승
제26대
최평욱
제27대
조남풍
국군기무사령관 (1991~2018)
제28대
구창회
제29대
서완수
제30대
김도윤
제31대
임재문
제32대
이남신
제33대
김필수
제34대
문두식
제35대
송영근
제36대
김영환
제37대
허평환
제38대
김종태
제39대
배득식
제40대
장경욱
제41대
이재수
제42대
조현천
제43대
이석구
제44대
남영신
2018년 군사안보지원사령관으로 축소 개편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흰색 로고.svg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초대
허평환
평화민주당 대표 새누리당 대표

파일:대한애국당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허평환
조원진
제2대
조원진
제3대
조원진
홍문종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1870>
파일:제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1870>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김백일
제2대
유재흥
제3대
신상철
제4대
김종오
제5대
장도영
제6대
백인엽
제7대
김점곤
제8대
미상
제9대
미상
제10대
이원장
제11대
미상
제12대
미상
제13대
미상
제14대
윤택중
제15대
김재규
제16대
박현식
제17대
김종수
제18대
이건영
제19대
김종호
제20대
전성각
제21대
이규학
제22대
김익권
제23대
조문환
제24대
오자복
제25대
한철수
제26대
민경배
제27대
권영해
제28대
이해룡
제29대
윤용남
제30대
미상
제31대
한승의
제32대
박봉식
제33대
남재준
제34대
김장수
제35대
김학연
제36대
최광섭
제37대
허평환
제38대
임관빈
제39대
윤영범
제40대
조병오
제41대
양충식
제42대
임호영
제43대
이재형
제44대
이국재
제45대
이진형
제46대
심진선
제47대
박정택
제48대
김화종
제49대
김진성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육군제2훈련소장
제1대
김종갑
제2대
이성가
제3대
심언봉
제4대
함병선
제5대
백인엽
제6대
양국진
제7대
백남권
제8대
박병권
제9대
한신
제10대
임충식
제11대
최홍희
제12대
김동빈
제13대
장춘권
제14대
김상복
제15대
김병휘
제16대
김진위
제17대
전부일
제18대
박남표
제19대
김재명
제20대
정봉욱
제21대
한무협
제22대
김영선
제23대
곽응철
제24대
이필조
제25대
배정도
제26대
이광노
제27대
김기석
제28대
김원태
제29대
김을권
제30대
임병화
제31대
김충식
제32대
김광석
제33대
이기룡
제34대
오영우
제35대
이태우
제36대
이종완
제37대
정화언
제38대
정남기
육군훈련소장
제39대
문판생
제40대
이광희
제41대
김문범
제42대
허평환
제43대
정두근
제44대
장종대
제45대
이태우
제46대
박성우
제47대
김정호
제48대
고성균
제49대
고현수
제50대
김규하
제51대
서상국
제52대
구재서
제53대
김인건
제54대
박원호
제55대
이용환
제56대
최장식
제57대
류승민
관련 직위 둘러보기 }}}}}}}}}}}}}}}
<colbgcolor=#8b623e><colcolor=#fff> {{{#fff 대한민국 제37대 국군기무사령관}}}
허평환
許坪桓 | Heo Pyeonghwan
파일:attachment/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허평환.jpg
출생 1949년 8월 2일 ([age(1949-08-02)]세)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임포리
학력 진주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 / 석사)
가족 부인 김서명, 슬하 1남 2녀
경력 국민행복당 대표
대한애국당 공동대표
천만인무죄석방본부 공동대표
우리공화당 서울특별시당위원장
우리공화당 상임고문
우리공화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우리공화당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현직 양천허씨대종회 회장
소속 정당

[[우리공화당(2020년)|
우리공화당
]]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30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4년 ~ 2008년
최종 계급 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국군기무사령관
주요 보직 제6보병사단장
육군훈련소장
육군교육사령부 전투발전부장

1. 개요2. 생애3. 비판4. 저서5. 선거 이력6. 소속 정당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37대 국군기무사령관을 역임했다.

2. 생애

1949년 8월 2일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임포리에서 태어났다.

진주고등학교(40회), 육군사관학교(30기)를 졸업하고 1974년 임관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1년간 파병생활을 했다. 전체 군생활 중 8년간 군사안보지원부대[1]에서 복무하면서 경험을 쌓았다.

2001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6보병사단장 , 육군훈련소장을 거쳤으며 육군교육사령부에서 전투발전부장을 지낸 다음 2006년 11월에 중장으로 진급해[2] 37대 국군기무사령관에 임명되었다. 2008년 상반기 군 인사에서 김종태 교육사령부 부사령관이 신임 기무사령관에 임명되자 중장으로 전역하였다. 2011년 국민행복당을 창당하여 총선에 출마하였지만 원내정당이 되는 것에 실패하고 당이 해산했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는 국민행복당 당원들과 함께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박근혜 후보를 지지했다. 기사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새누리당을 창당해 대선 후보 경선에도 참여하려고 했지만 자유한국당에서 탈당한 조원진의 입당으로 무산되었다. 대선 후 새누리당에 내분이 일어나자 조원진, 변희재, 정미홍 등과 함께 대한애국당[3] 창당에 참여하였고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 친 조원진 세력과 비 조원진 세력의 당내 갈등으로 인해 공동대표 직에서 사퇴하였으나 아직도 우리공화당에 머무르고 있다.

3. 비판

그 유명한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 발생 당시 육군훈련소장이었고 당시 기자에게 “보도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게 애국이다. 군이 많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청탁하는 막장 짓을 했다고 한다. 군 장병들 전체의 인권이 짓밟혀 입대를 앞둔 사람에게는 두려움과 혐오감을, 군복무 중이거나 전역자들에게는 증오심을 유발하는 심각한 사건인 데다 특히 휘하 병력들한테 이런 극심한 인권침해가 벌어지고 있으면 눈이 뒤집혀서 바로잡으려고 해도 시원찮을 마당에 지휘관이란 인간이 자기 개인의 보신에 눈이 멀어 덮어놓고 쉬쉬하는 만행을 애국이라 포장하는 대단한 사람이었다. 대한민국 사회가 급변하고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 대한민국 군 장병의 복지와 인권의 개선은 지나칠 정도로 더디고 이로 인해 대한민국 대다수의 남성들에게 군복무에 대한 거부감과 혐오감을 남기게 된 것에는 여태껏 이런 생각을 가진 장성급 인사들과 그 출신 정치권 인사들이 한 몫 해왔다는걸 드러내는 대목이다. 결국 화장실에서 윤광웅 국방부 장관에게 "국민에게 죄송해야 한다"며 질타를 받는 장면이 중계되었다.

이 사건으로 경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중장으로 진급하여 국군기무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국군기무사령관은 중장 서열 2위의 최고 요직이며 중장 서열 1위인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은 육군이 임명될 수 없기 때문에 육군 출신 중장으로서는 가장 서열이 높은 직위이다.[4]

4. 저서

  • <<빠른 통일이 행복하게 사는 길>>
  • <<허평환 장군의 성공리더십>>
  • <<승리하는 강군>>

5.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국민행복당(2011년)|
국민행복당
]]
0.16% 낙선(비례대표 6번) 정당 해산

6.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국민행복당(2011년)|
국민행복당
]]
2011 - 2012 창당
정계 입문


2012 정당 해산


2012 - 2017 입당


2017 당명 변경


201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새누리당(2017년)|
새누리당
]]
2017 창당


2017 탈당


2017 - 2019 창당

2019 - 2020 당명 변경


2020 합당[5]


[[우리공화당(2020년)|
우리공화당
]]
2020 - 당명 변경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최고의결기관·심의기구 (전국대의원대회·전국위원회)
<colbgcolor=#009944>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허평환 <colbgcolor=#009944>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공석)
의결·집행기관 (최고위원회의)
당대표
조원진
최고위원 최민선 (수석) · 변성근 · 송영진 · 조시철 · 김진영 (지명)
청년최고위원 (공석)
정책위의장 김문연 애국정책전략연구원 이주천
당무집행기구 (사무처)
사무총장 변해룡 교육연수원 조시철
제1사무부총장
(공석)
제2사무부총장
김경익
수석대변인 (공석) 대변인 (공석)
상설위원회
영웅박정희대통령알리기위원장 박종문 새마을운동
복원위원장
(공석)
인권위원장 허광일 안전위원장 (공석)
국방안보위원장 (공석)
자유민주통일위원장
이정현
장애인위원장 유연수 여성위원장 김점분
김은경
우리봉사단 김진영 우리합창단 이성희
국제위원장
김수복 청년위원장 우무성
소상공인자영업대책위원장 류근진 보훈위원장 황중래
실버위원장 박정임
이순자
가족복지위원장 (공석)
지방자치위원장 (공석) 기독교위원장 조용진
종교위원장 선문스님 윤리위원장 변성진
다문화가정위원장 남효용 노동위원장 김동우
교육위원장 심재우
자문위원장
김영기
복지위원장 박명순 특보단 지창식
인재영입위원장 정영진 언론대책위원장 (공석)
보건복지위원장 (공석) 외교통상위원장 (공석)
환경위원장 (공석)
애국여성투쟁단
김전무
특별위원회
대통령구출특위
(공석) 포털개혁위 (공석)
흥진호조사특위
(공석)
국민눈높이특위
(공석)
북한인권특위 김성민
가짜뉴스대책위
(공석)
철모주인찾기위
(공석)
중소기업육성위
(공석)
파일:우리공화당(2020년) 로고.svg
역대 당대표
}}}}}}}}}}}}



[1] 당시 기무부대[2] 중장 3차 진급, 선두주자였던 김근태/이성출에 비해 1년 6개월이나 늦은 것으로 소장 시절에 한직을 돈 데다 육군훈련소장 시절의 사건이 진급이 늦어진 원인으로 보인다. 다만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의 파장을 고려하면 진급에 실패하고 부군단장에서 군 생활을 끝낼 법도 했는데 진급해서 의외라는 분석도 많았다.[3] 이후 우리공화당으로 개명했다.[4] 육군 출신 중장의 의전서열 1-3위는 각각 국군기무사령관, 합동참모차장, 육군참모차장 순이다.[5] 자유통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