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9f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세호 | 2대 김종환 | 3대 박희동 | 4대 이건영 | 5대 유학성 | |
6대 황영시 | 7대 정호용 | 8대 박희도 | 9대 최세창 | 10대 고명승 | |
11대 신말업 | 12대 구창회 | 13대 윤용남 | 14대 도일규 | 15대 유재열 | |
16대 길형보 | 17대 이남신 | 18대 서종표 | 19대 이상희 | 20대 김관진 | |
21대 백군기 | 22대 이상의 | 23대 김상기 | 24대 이홍기 | 25대 권혁순 | |
26대 김현집 | 27대 엄기학 | 28대 김운용 |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E81820><colcolor=#ffffff> | |
출생 | 1938년 ([age(1938-01-01)]세) |
경상남도 진주군 진주읍 | |
본관 | 능성 구씨 |
학력 | 경남고등학교 (졸업) |
군사 경력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18기)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62년 ~ 1993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제3야전군사령관 |
주요 보직 | 제9보병사단 참모장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 1938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능성이며 1957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1] 1962년 육군사관학교 18기로 임관하였다.2. 생애
12.12 군사반란 당시 대령으로 제9보병사단 참모장을 지냈다. 이때 9사단장 노태우 소장의 명령을 받고 9사단 29연대 일개대대를 중앙청 앞으로 출동시켰다. 그리고 제3야전군사령관 이건영 중장에게는 연대를 출동시키지 않았다며 거짓말을 했다[2]. 전두환 정권 출범 이후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을 지냈으며, 이후에는 수도방위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을 역임했다. 김영삼 정부 출범 후 차기 육군참모총장 내정도 예상 되었지만 하나회 숙청으로 예편되었다.[1] 11회 동기생으로 박희태, 이학봉, 이병태가 있다. 이학봉, 이병태는 육사 18기 동기생이기도 하다.[2] 구창회는 16년 후 검찰 조사에서 "연대가 아니라 대대가 출동해서 '연대가 출동하지 않았다.'고 한 것이다."라며 말도 안 되는 변명을 했다. 그 당시 9사단은 제3야전군사령부 예하 1군단 소속이였기 때문에 구창회는 직속상관에게 거짓보고를 한 셈이다.뭐, 구창회 대령의 직속상관 중 9사단장 노태우와 1군단장 황영시 자체가 핵심반란군이였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