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14:13

분류:하나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분류에 대한 설명은 하나회 문서
#!if 문서명2 != null
나 [[]]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
12.12 군사반란 반란군 가담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
파일:53758.jpg
1979년 12월 14일 12·12 군사반란 성공 기념사진
국군보안사령부 청사 앞
준장 남웅종※✞P · 중령 김호영? · 중령 신윤희 · 중령 최석립 · 대령 심재국? · 대령 허삼수 · 대령 김진영 · 대령 허화평 · 대령 이상연✞ · 대령 이차군※✞ · 준장 백운택✞P
소장 박준병✞P · 대령 이필섭 · 대령 권정달 · 대령 고명승 · 대령 정도영✞ · 준장 장기오 · 준장 우국일✞ · 준장 최예섭✞ · 대령 조홍✞ · 대령 송응섭✞ · 대령 장세동 · 중령 김택수※✞
준장 이상규 · 준장 최세창 · 준장 박희도 · 소장 노태우✞ · 소장 전두환✞ · 중장 차규헌✞ · 중장 유학성✞ · 중장 황영시✞ · 소장 김윤호✞ · 소장 정호용 · 준장 김기택
※ 사진 인물 배치 순서상 표기
✞: 사망 / ?: 신원 및 행방불명 / P: 합성사진
우국일[A] 준장, 남웅종[B] 준장, 최예섭[C] 준장, 권정달[D] 대령, 이차군[E] 대령, 김택수[F] 중령은 군사반란 가담자로서 사진을 찍은 것이 아니다.
{{{#!folding [ 각주 보기 ]
}}}}}}}}}}}}}}} ||

[A] 국군보안사령부 참모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우국일 준장이 12.12 군사반란 당시 한 일은 연희동 요정에서 접대업무를 맡았을 뿐 접대를 제외한 모든 상황에서 그는 결백한 인물이었다.[B] 국군보안사령부 대공처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그는 서빙고분실 관리를 맡으면서 12.12 군사반란에서 철저히 배제되었으며,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수사는 모두 남웅종의 부하인 대공수사과장 이학봉 중령이 주도하였다.[C] 국군보안사령부 기획조정실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10.26 사건 발생 직후,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에 의해 10월 27일 부터 1980년 4월 13일까지 중앙정보부에 파견 근무를 갔다.[D] 국군보안사령부 정보처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육사 출신인데도 불구하고 하나회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는 12.12 군사반란에서 철저히 배제되었고, 오히려 당시에 허삼수에게 자신의 직책을 사칭당했다. 다만 반란 이후 전두환의 정치 공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E] 국군보안사령부 군수처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육사 출신인데도 불구하고 하나회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12.12 군사반란에서 철저히 배제되었다.[F] 육군특수전사령부 제606특공부대장 자격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12.12 군사반란 당시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을 경호하였으나, 이는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하기 위해서가 아닌, 10.26 사태로 인하여 정승화 계엄사령관이 당시 국군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 소장을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임명(정식 보직명 :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하였기 때문에 경호가 시작된 것이었다.

하위 분류

"하나회" 분류에 속하는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