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초대 손원일 | 제2대 박옥규 | 제3대 정긍모 | 제4대 이용운 | 제5대 이성호 | |
| 제6대 이맹기 | 제7대 함명수 | 제8대 김영관 | 제9대 장지수 | 제10대 김규섭 | |
| 제11대 황정연 | 제12대 김종곤 | 제13대 이은수 | 제14대 오경환 | 제15대 최상화 | |
| 제16대 김종호 | 제17대 김종호 | 제18대 김철우 | 제19대 김홍열 | 제20대 안병태 | |
| 제21대 유삼남 | 제22대 이수용 | 제23대 장정길 | 제24대 문정일 | 제25대 남해일 | |
| 제26대 송영무 | 제27대 | 제28대 김성찬 | 제29대 최윤희 | 제30대 황기철 | |
| 제31대 정호섭 | 제32대 엄현성 | 제33대 심승섭 | 제34대 부석종 | 제35대 김정수 | |
| 제36대 이종호 | 제37대 양용모 | 제38대 강동길 | |||
| ※ 초대: 해방병단장/조선해안경비대총사령관 · 1대~2대: 해군총참모장 · 2대~현재: 해군참모총장 ※ 27대: 예비역 신분 박탈 | |||||
| }}}}}}}}}}}}}}} | |||||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 2015 헥터 카페라타 미 해병대일병 | 2018 콘라도 디 얍 필리핀 육군대위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2024 찰스 J. 로링 주니어 미 공군소령 |
| | |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출생 | 1914년 8월 9일 |
| 충청남도 예산군 | |
| 사망 | 1980년 12월 23일 (향년 66세) |
| 사망지 미상 | |
| 학력 | 오사카 고등해원학교 (졸업) |
| 경력 | 제5대 국회의원 (참의원 / 충청남도 제2부 / 무소속) 한국 - 인도네시아협회 회장 |
| 군사 경력 | |
| 임관 | 해군병학교 (1기) |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
| 1945년 ~ 1957년 | |
| 최종 계급 | 중장 (대한민국 해군) |
| 최종 보직 | 해군총참모장 |
| 주요 보직 | 진해통제부 사령관 |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의 제독. 박옥규에 이어 3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냈다. 후임자는 이용운이다.2. 생애
1914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다. 1934년에 일본 오사카의 고등해원학교를 나와 상선사관으로 근무했다. 1945년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하여 1946년에 부위(중위)로 임관하였다. 1947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하였고 1950년에는 준장을 달았다. 함장 보직보다는 통제부(기지)사령관으로 경력을 쌓고 제독이 되었다. 해군에서 함장 보직은 지내지 않았지만 어차피 항해사관 출신이라서 항해장교로 봐도 무방하긴 하다. 6.25 전쟁 때는 진해통제부(진해기지사령부) 사령관이었다.1954년 11월에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에 올랐고 1957년에 퇴역했다. 최종계급은 해군 중장. 그뒤 대한민국 참의원(제5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무소속)과 해운회사 등에서 근무했고 한국-인도네시아협회장을 지냈다.
1980년에 세상을 떠났다.
대한민국 해군의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PKG) 8번함이 정긍모함(PKG-719)으로 명명되었다.
예산군 대흥면 노동리에 묘소가 있으며 인근 도로명을 예당긍모로로 명명하였다. 예당긍모로는 예당관광로의 딴산교 초입에서 분기하며 탄방리까지 이어진다.
3.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충청남도 선거구 | |||||
| 제1부 | 제2부 | |||||
| 이범석 | 심종석 | 이범승 | 이훈구 | 정긍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