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0:49:46

김윤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민방위군 사건 관련자인 씨름 선수에 대한 내용은 김윤근(씨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윤근(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522D, #D2691E 20%, #D2691E 80%, #A0522D);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d4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81818; margin:-6px -1px -11px"
군사혁명위원회 위원장
장도영
✯✯✯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박정희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김종오
✯✯✯
박임항
✯✯✯
김신
✯✯✯
이성호
✯✯✯
김성은
✯✯✯
정내혁
✯✯
이주일
✯✯
한신
✯✯
유양수
✯✯
한웅진
최주종
김용순
채명신
김진위
김윤근
장경순
송찬호
문재준
❁❁❁
박치옥
❁❁❁
박기석
❁❁❁
손창규
❁❁❁
유원식
❁❁❁
정세웅
❁❁❁
오치성
❁❁❁
박창암
❁❁❁
길재호
❁❁
옥창호
❁❁
박원빈
❁❁
이석제
❁❁
군사혁명위원회 고문
김홍일
✯✯✯
김동하
}}}}}}}}}}}}}}} ||
<colbgcolor=#a1522d><colcolor=#fff> 김윤근
金潤根
파일:김윤근.jpg
출생 1926년
황해도 은율군
사망 2022년 5월 10일 (향년 96세)
학력 만주국 신경군관학교 (제6기)
해군사관학교 (제1기)
미국 해병대학
경력 해병제1여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
호남비료 사장
재향군인회 부회장

1. 개요2. 생애3. 미디어에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군인.

2. 생애

1926년 황해도 은율군에서 태어났으며 만주국 신경군관학교 제6기 출신이다.

1945년 7월에 일본육군사관학교 본과로 편입[1], 도쿄로 보내졌지만 곧 일제가 패망하는 바람에 만주군일본군 경력이 없어 친일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해방 후 해군사관학교와 미국 해병대학을 졸업하고 해병대사령부 군수국장, 해병1상륙사단 참모장, 해병제1여단장 등을 지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시 해병제1여단장이었던 그는 해병대 병력을 동원 박정희와 함께 선두에서 한강을 도강한 쿠데타 주역이었다. 당시 대대장이 국세청장 등을 지낸 오정근 중령이다. 쿠데타 당일 기사에서 장도영, 박정희와 함께 주역 3인으로 헤드라인에 올랐다. 다만, 본인은 전면에 내세워 지는 걸 부담스러워 했다고 한다.[2]

국가재건최고회의 교통체신위원장, 부정축재자 처리위원,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을 지내고 중장으로 예편하여 호남비료 사장, 5.16민족상 이사, 재향군인회 부회장, 동화수산 회장, 서울컴퓨터센서 감사, 한국수산개발공사 사장, 대서양개발 사장, 이인표 사회과학도서관 재단 이사장 등을 지냈다.

회고록인 《해병대와 5·16》와 《5.16 군사혁명과 오늘의 한국》을 집필하였다.

2022년 5월 10일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 충혼당에 안장되었다.#

3. 미디어에서

파일:임현식(드라마_제2공화국_김윤근).png
MBC 드라마 제2공화국에서는 임현식이 연기했다.

제3공화국에서는 허현호[3]가 맡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신경군관학교 제5기부터는 조선인이 만계(滿系)에서 일본계로 간주되어 전원이 일본 육사로 편입되었다. 이전의 봉천군관학교 시절과 신경군관학교 제1~4기까지는 성적 우수자만 가능했다.[2] 해병대가 너무 부각되면 군 내부에서 견제가 심해질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 같은 이유로 당초 거사 계획에서 해병대가 서울에 먼저 입성하는 역할을 맡는 것을 거부하려 했다. 결국 그의 걱정은 12년 후인 1973년 전도봉이 저지른 내란이라 불려도 부족한 일이 계기가 되어 해병대가 해체, 해군에 흡수되면서 현실화되었다. 해병대는 14년이 지난 1987년에 비로소 재창설되었다.[3] 시트콤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의 이 영감 역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