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9:48:27

괴산군

괴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724598>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제천시 CI.svg
[[충청북도청/북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제천시
파일:청주시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청주시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파일:괴산군 CI.svg
괴산군
파일:단양군 CI.svg
단양군
파일:보은군 CI.svg
보은군
파일:영동군 CI.svg
영동군
파일:옥천군 CI.svg
[[충청북도청/남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옥천군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파일:증평군 CI.svg
증평군
파일:진천군 CI.svg
진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650><tablewidth=310><tablebgcolor=#00A650>
파일:괴산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괴산읍
감물면 문광면 불정면 사리면 소수면
연풍면 장연면 청안면 청천면 칠성면
}}}}}}}}} ||
충청북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괴산군 CI.svg
괴산군
槐山郡
Goesan County
}}}
<colbgcolor=#00A650><colcolor=#fff> 군청 소재지 괴산읍 임꺽정로 90 (서부리)
광역자치단체 충청북도
하위 행정구역 1 10
면적 842.01㎢
인구 36,006명[1]
인구밀도 42.76명/㎢[2]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송인헌 (초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3]

파일:zsdkl3gasdg.svg
3석[4]

1석[5]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덕흠
상징 <colbgcolor=#00A650><colcolor=#fff> 군화 봉숭아 · 미선나무
군목 느티나무
군조 까치
지역번호 043
홈페이지 www.goesan.go.kr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external/image.newsis.com/NISI20120228_0005955647_web.jpg
<rowcolor=#fff> 괴산군청

1. 개요2. 역사3. 인구4. 교통5. 경제
5.1. 금융
6. 관광 및 특산물
6.1. 국내 최대 가마솥
7. 교육8. 언어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p_Goesan-gun.png

충청북도 중부에 위치한 군.

북쪽의 충주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같은 도의 음성군, 증평군, 청주시, 보은군[7]과 접하며, 남쪽과 남동 방향으로 각각 경상북도 상주시문경시와 접한다.

2. 역사

원삼국시대에는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마한 거수국 중 하나가 소재했고, 이 거수국은 충청도 일대 마한 거수국들이 그랬듯 천안 목지국과 보다 긴밀한 관계였기에 3세기 중후반 경부터 4세기 초반까지 이어진 백제 VS 목지국 대결에서 목지국 편에 서서 백제에게 대항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4세기 초중반 경에는 결국 버티지 못하고 백제의 직접 지배령이 되었다. 그러나 4세기 말 광개토대왕이 거세게 아신왕의 백제를 몰아쳐대며 충청도를 종횡무진하던 시기에 고구려령이 된다. 이후 5세기 중반 나물 마립간의 신라가 경상도 서북부에서 고구려를 몰아낼 때 고구려군을 계속 추격하며 대파하던 시절에 신라령이 되지만, 475년 한성 공함 이래로 장수왕이 전력을 기울여 한반도에 전력투구하던 시절에는 다시 고구려령이 되면서 잉근내군(仍斤內郡)이 된다. 6세기 중반 신라 진흥왕 때 신라 땅이 되었다가, 7세기 초중반 경 의자왕 때 백제령이 되지만 660년 백제 멸망과 함께 신라로 귀속된다.

8세기 중반 신라 경덕왕 때 지명을 한화하는 정책에 따라 괴양군(槐壤郡)으로 바꾸었고[8][9] 9주 5소경한주에 소속시켰다. 이후로는 890년대 후반에 태봉을 건국하기도 전인 궁예의 세력권에 들어갔고, 이후로는 태봉-고려의 흐름이 된다. 고려시대(940년)에는 괴주(槐州)로 불렸고, 조선 태종(1413년) 때 괴산으로 바뀌어 지금까지 이어진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청안군연풍군괴산군에 통합되고, 청주군에서 청천면이 편입되었으며, 충주군에서 감물면과 불정면이 편입되어 괴산군이 많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생활권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통합한 탓에 구 청안군 지역과 괴산군청 사이에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그 후 증평읍도안면을 관할하는 도 직할 증평출장소를 개설하여 사정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 갈등을 봉합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2003년 결국 증평출장소가 증평군으로 승격되며 괴산군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 외에도 증평군 전부와 청주시 북이면 북부지역 및 오창읍 여천리 그리고 음성군 원남면과 진천군 초평면의 일부가 구 청안군에 속했다. 이름만 봐도 알겠지만 구 청안현 지역으로 말이 괴산이지 실제 생활권은 증평이다. 이 외에도 사리면 서부지역이 증평 생활권에 속하지만, 이쪽은 원래 괴산군 땅이었다. 어찌됐던 현재는 사리면 일원까지 증평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일례로 청안면과 사리면에는 괴산농협이 아닌 증평농협의 지점이 있다.# 그래서 증평군과 재통합을 하려는 괴산군 측에서 이를 근거로 삼고 있지만, 증평군 측에서는 진정 주민 편의를 위한다면 오히려 청안면과 사리면을 증평군으로 편입해야 한다며 반박했다.## 괴산과 증평 모두, 1960-90년대 경부ㆍ경인라인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개발로 인해 소외된 지역이였지만, 괴산이 중원대학교육군학생군사학교 이전 이후 별다른 인구증가 요인 없이 1읍 10면 4만 명 이하에 머무르는 동안 1읍 1면에 불과한 증평군이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괴산군과 증평군의 인구 차이는 과거 5천 명 수준에서 이제는 역전당하기까지 한 상황이라 괴산 중심 통합논리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음이 사실이다.[10]

괴산군에서는 이 지역을 증평군에 뺏기는 것을 막고 괴산군에 동화시키기 위해 여러 정책을 편다. 예# 예를 들어 사리면에 사는 학생이 증평군이 아닌 괴산군의 중학교에 진학하면 학습보조비를 지원하고, 상기 서술한 증평농협 청안지소와 사리지소를 괴산농협으로 가져오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증평농협 조합원의 60%를 차지하는 증평 주민들이 이에 동의할지는 미지수이다. #오히려 청안면과 사리면을 증평군으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로 삼을 수도 있다.

충청북도청이 2013년에 실시한 경계변경 대상지역 실태조사에서 구 청안현 지역 중 금강 수계에 해당하는 괴산군 청안면 읍내·금신·문방·효근·조천·청용리, 역시 금강 수계에 해당하는 괴산군 사리면 노송·중흥·사담·방축·소매리가 편입 대상지역에 들어갔다.# 더군다나 2014년에는 괴산군 사리면에서 증평군으로 편입을 원한다는 플래카드가 내걸리기도 했는데, 괴산군에서는 현수막을 곧바로 철거하는 등 청안면과 사리면의 증평 편입 떡밥이 불거지지 않도록 경계한다. # 청안면과 사리면의 증평군 편입에 대한 내용은 행정구역 개편/충청 참조.

이와 관련된 내용은 증평군/역사 항목 참조.

3. 인구

파일:괴산군 CI.svg 충청북도 괴산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괴산군 상모면중원군 편입
경상북도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편입
1966년 160,506명
1970년 142,931명
1973년 7월 1일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 → 음성군 소이면 편입
중원군 이류면 하문리 → 괴산군 불정면 편입
청원군 북이면 초중리 → 괴산군 증평읍 편입
1975년 140,699명
1980년 117,642명
1985년 108,731명
1990년 93,071명
1990년 12월 31일 괴산군 증평읍·도안면충청북도 증평출장소 분리
1995년 42,924명
2000년 38,396명
2005년 35,904명
2010년 36,827명
2015년 38,787명
2020년 39,393명
2024년 10월 36,0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11]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괴산읍 9,136명
청천면 5,064명
청안면 3,270명
칠성면 3,102명
불정면 2,621명
사리면 2,542명
연풍면 2,185명
문광면 2,143명
소수면 2,142명
감물면 1,991명
장연면 1,899명
2024년 7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

증평군 분리와 함께 군 인구의 절반이 사라졌다. 연간 인구 통계로만 본다면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연간 인구 통계가 당해 12월 인구만 반영한다는 허점을 이용하여 위장전입으로 인구 통계를 왜곡한 것으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자체들이 자주 벌이는 행위로 악명높다.# 그러나 이런 꼼수는 인구 감소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했고, 결국 2022년 8월에 증평군에게 추월당했다.

===# 읍면별 인구 #===
파일:괴산군 CI.svg 괴산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95명
1970년 14,878명
1973년 7월 1일 감물면 검승리 → 괴산면 편입
1975년 16,708명
1979년 5월 1일 괴산군 괴산면 → 괴산읍 승격[12]
1980년 14,380명
1985년 12,821명
1990년 11,520명
1995년 10,125명
2000년 9,370명
2005년 8,852명
2010년 9,105명
2015년 10,127명
2020년 10,506명
2024년 7월 9,1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감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225명
1970년 7,745명
1973년 7월 1일 감물면 검승리 → 괴산면 편입
1975년 6,879명
1980년 5,216명
1985년 4,258명
1990년 3,233명
1995년 2,439명
2000년 2,105명
2005년 1,889명
2010년 1,934명
2015년 2,081명
2020년 2,190명
2024년 7월 1,9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괴산군 CI.svg 장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710명
1970년 9,088명
1975년 8,310명
1980년 5,964명
1985년 4,957명
1989년 1월 1일 장연면 태성리 → 칠성면 편입
1990년 3,051명
1995년 2,341명
2000년 2,194명
2005년 1,863명
2010년 1,988명
2015년 2,041명
2020년 2,000명
2024년 7월 1,8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연풍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394명
1970년 8,900명
1975년 8,525명
1980년 6,437명
1985년 5,294명
1990년 3,719명
1995년 3,127명
2000년 2,794명
2005년 2,651명
2010년 2,578명
2015년 2,489명
2020년 2,419명
2024년 7월 2,1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칠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623명
1970년 8,283명
1975년 8,298명
1980년 6,377명
1985년 5,313명
1989년 1월 1일 장연면 태성리 → 칠성면 편입
1990년 4,093명
1995년 3,264명
2000년 2,871명
2005년 2,761명
2010년 2,825명
2015년 3,103명
2020년 3,231명
2024년 7월 3,1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문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787명
1970년 7,555명
1975년 7,198명
1980년 5,473명
1985년 4,179명
1990년 2,876명
1995년 2,200명
2000년 2,041명
2005년 1,923명
2010년 2,018명
2015년 2,160명
2020년 2,231명
2024년 7월 2,1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괴산군 CI.svg 청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문경군 농암면 삼송리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편입
1966년 20,702명
1970년 18,403명
1975년 17,240명
1980년 13,491명
1985년 10,621명
1990년 7,529명
1995년 5,603명
2000년 4,945명
2005년 4,855명
2010년 5,036명
2015년 5,201명
2020년 5,226명
2024년 7월 5,0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청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653명
1970년 13,169명
1975년 11,570명
1980년 9,069명
1985년 7,461명
1990년 5,398명
1995년 4,485명
2000년 3,608명
2005년 3,216명
2010년 3,373명
2015년 3,504명
2020년 3,631명
2024년 7월 3,2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괴산군 CI.svg 사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357명
1970년 8,280명
1975년 8,078명
1980년 6,303명
1985년 5,015명
1990년 3,967명
1995년 3,519명
2000년 3,326명
2005년 2,901명
2010년 2,994명
2015년 3,015명
2020년 2,917명
2024년 7월 2,5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괴산군 CI.svg 소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707명
1970년 6,596명
1975년 6,410명
1980년 4,890명
1985년 3,876명
1990년 2,787명
1995년 2,266명
2000년 1,978명
2005년 1,900명
2010년 1,957명
2015년 2,055명
2020년 2,103명
2024년 7월 2,1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괴산군 CI.svg 불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06명
1970년 9,982명
1973년 7월 1일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 → 음성군 소이면 편입
중원군 이류면 하문리 → 괴산군 불정면 편입
1975년 9,804명
1980년 7,869명
1985년 6,552명
1990년 4,540명
1995년 3,555명
2000년 3,164명
2005년 3,093명
2010년 3,019명
2015년 3,011명
2020년 2,939명
2024년 7월 2,6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산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괴산농공단지와 발효식품농공단지, 사리농공단지, 감물가구일반산업단지, 대제산업단지, 괴산첨단일반산업단지 등이 들어서 있다.

수산업은 2018년부터 시작하여 2019년에 해수부 주관하는 내수면 어촌뉴딜 300사업인 강마을재생사업을 유치했고 전국 최초 내수면 스마트양식장 시범단지 조성등을 통해 내수면어업발전에 힘을 쏟고 있다.

5.1. 금융

괴산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괴산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괴산농협 (3) 괴산증평축산농협 (2)) 군자농협 (3) 충북인삼농협 (1)
증평농협 (3) 불정농협 (2)) 청천농협 (3)
새마을금고
괴산새마을금고 (2) 불정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칠성신용협동조합 (1) 감물신용협동조합 (1) 장연신용협동조합 (1) 괴산신용협동조합 (1)
청천신용협동조합 (1) 수안보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괴산증평산림조합 (1)

6. 관광 및 특산물

속리산국립공원 화양동계곡과 쌍곡계곡, 100대 명산으로 지정된 칠보산, 산막이옛길, 문광저수지, 연풍향교, 괴산자연드림파크 등이 있고, 오천 자전거길이 동에서 남으로 가로지르고 있으며, 새재자전거길도 연풍일대로 지나간다.

특산물로는 청결고추, 절임배추, 대학찰옥수수[16] 등이 있다. 이외에도 미선나무 등의 천연기념물로도 유명. 여담으로 2010년 10월경에는 배추의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이 지역의 절임배추는 값이 상당히 싼 편이라 큰 인기를 끌었고 지역 홍보에도 한몫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괴산 고추, 고춧가루, 찰옥수수가 등록되어 있다.

6.1. 국내 최대 가마솥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4010900690006400_P2.jpg

2005년 7월 괴산군에서 괴산군민이 다같이 한솥밥을 먹자는 목적으로 둘레 17.85m, 높이 2.2m, 지름 5.88m, 무게는 43.5t에 달하는 초대형 가마솥을 군 예산 및 주민성금 5억 원[17]을 들여 설치하였다. 이는 국내 최대 크기의 가마솥으로, 괴산읍 동부리에 있다.

하지만 정작 이 가마솥으로 밥을 하면 아래는 타고 위는 설익고 가운데만 밥이 되는 이른바 3층밥이 돼버리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했고, 이론상 군민 4만명의 밥을 한번에 지을 수 있다고 해서 찰옥수수 1만개 찌기, 동지 팥죽 끓이기를 몇 번 시도했으나 원래 목적이었던 밥 짓는 용도로는 쓸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18]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릇으로 기네스북에 도전했으나 호주에 더 큰 질그릇이 있어 기재되지 못했다.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목록으로 등재하려고 했으나 이마저도 세르비아의 쇠그릇이 더 커서 실패했다. 예산 낭비의 대표적인 예로 결국 관광상품화도 포기되었으며 아직도 괴산의 애물단지로 남아 녹만 슬어가고 있다. 운반비는 2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런 이유로 2007년 이후로는 사용한 적도 없다고 하며 이에 대해 군민들은 솥을 만든 거 자체를 예산낭비라며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데 반해 군청 관계자는 "(5억원 그게) 어마무시한 거냐? 대구나 부산에서 CI 만든다고 몇십억씩 날린것도 있는데 괴산에서 가마솥 만들어서 예산을 완전히 흥청망청 쓴 것처럼 이야기한다."라는 궤변을 늘어놓았다.[19] 게다가 가마솥을 다른 곳으로 옮기려 해도 이송 비용만 2억 원이 소요된다는 결과가 나와 20년 가까이 방치되고 있다.

이는 이를 무리하게 추진한 한나라당 김문배 전 군수의 최대 비판점으로 꼽히기도 하며, 이 때문에 재선을 못하기도 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잊을 만하면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나오지만 뾰족한 대책도 없다. 노숙자 무료 급식 만드는 용도로 쓰자는 말도 있는데 괴산은 시골이다보니 노숙자가 거의 없고 상술했듯이 밥을 지을 수 있는 솥이 아니다.

결국 2023년 8월 14일 전국민을 상대로 이 가마솥의 활용방안을 찾는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했는데, 차라리 그냥 방치해 놓고 세금낭비 + 탁상행정의 본보기로 남겨두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팝콘을 튀기거나 노천탕으로 쓰는 등의 약 40가지 아이디어가 접수되었고, 이중 18가지가 1차 관문을 통과했다고 한다.

7. 교육

파일:괴산군 CI_White.svg 충청북도 괴산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감물초등학교 괴산명덕초등학교 동인초등학교 목도초등학교 문광초등학교
백봉초등학교 보광초등학교 소수초등학교 송면초등학교 연풍초등학교
장연초등학교 청안초등학교 청천초등학교 칠성초등학교 }}}}}}}}}
통합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괴산군 CI_White.svg 충청북도 괴산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괴산북중학교 괴산오성중학교 괴산중학교 송면중학교
연풍중학교 청안중학교 청천중학교 칠성중학교 }}}}}}}}}
통합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괴산군 CI_White.svg 충청북도 괴산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괴산고등학교 }}}}}}}}}
통합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고등학교가 괴산고등학교 단 1곳밖에 없다.[20] 원래는 더 있었지만 증평군 분리[21] 및 인구 감소로 다 문을 닫았고[22], 그나마 버티고 있었던 목도고등학교마저 2022년 폐교했다. #

대학교는 중원대학교가 있으며 바로 근처에 육군학생군사학교가 있다.

연풍면 고사리(古沙里)에는 이화여자대학교 '고사리 수련관'이 있다. 1985년 11월 설립된 수련관은 휴양교육, 세미나, 워크숍 등의 장소로 쓰이고 있으며 2024년 연풍역이 개통되면 접근성이 향상될 예정이다. 괴산군은 이화여자대학교충북대학교, 충북도립대학교, 충북연구원과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시설, 자료,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기로 하였다.

8. 언어

이 지역은 언어적으로 보면 충청 방언, 경기 방언, 동남 방언, 영동 방언 등 여러 방언의 영향을 받은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뭐여, 그려 등 ~ㅕ로 끝나는 어미를 쓰는 경우가 많고 높임말을 쓸 때 해유체를 쓰기도 하는 등 충청 방언의 말투가 많이 쓰이는데, 이는 괴산의 서남부인 사리면, 청안면 쪽에서 두드러지고 해당 두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23]

한편, 동북부(연풍면, 장연면) 쪽으로 가면 강원 영동지역, 경기도 지역, 충북 북부지역(단양, 제천 등), 경북 북부 산간지역에서 쓰이는 억양을 들을 수 있다. 일단 청안면, 소수면에서 산을 넘어간 괴산읍이나 청천면 지역은 거의 경기 방언, 영서 방언에 준하는 편이다.[24]

괴산에서 자주 쓰이는 방언 어휘는 다음과 같다.
  • 따시다(따뜻하다)
  • 댕기다(다니다)
  • 대번(금방)
  • 무수(무)
  • 배차(배추)
  • 벌거지(벌레)
  • 삭(막)
  • 션찮다(시원찮다)
  • Ja(예, 네)[25]
  • 옥시기(옥수수)
  • 올갱이(다슬기)
  • 정구지(부추)
  • 하마(벌써)[26]
  • 그랴(그래)
  • 야~(알았어)
다만, 세대가 지날수록 해당 어휘와 해당 어휘를 구사하는 충청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줄고 색도 옅어지고 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산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제37보병사단, 제13특수임무여단이 위치한 증평출장소(현 증평군) 지역이 분리된 이후에는 특별한 군사시설이 없는 지역이었으나, 육군학생군사학교가 괴산읍으로 오면서 군인아파트인 문무아파트가 들어서는 등 읍내 경제에 도움이 되고 있다. 청안면에는 동원훈련장 및 괴산군 예비군훈련장이 있으며, 여기로 청주시 등 5개 시군 예비군훈련이 몽땅 통합되면서 해당 지역 예비군들의 불만이 크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산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 물놀이 사고를 막겠다고 계곡을 매립하여 논란이 일었다. # 하지만 일각에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
  • 국내에서 바다와의 거리가 가장 먼 내륙지역이다.#
  • 괴산군을 본관으로 두고 있는 성씨 중, 희귀 본관인 괴산 김씨가 있다. 그나마 유명한 성씨는 괴산 피씨.
  • 충북 내에서 제1의 도시제2의 도시와 모두 접해 있는 유일한 기초자치단체이다. 때문에 도내에선 유일하게 청주권과 충주권이 중첩된다.[27]
  • FM 라디오 방송의 경우, 괴산읍을 기준으로 서쪽은 청주 우암산 전파가 잘 잡히고, 동쪽은 충주 가섭산 전파가 잘 잡힌다. 경상북도와 맞닿은 지역에서는 대구 팔공산 전파도 잡힌다. 부모산에서 3kW로 송출하는 기독교충북방송청주불교방송은 괴산군 전역에서 청취가 가능하며, 대전극동방송도 청취할 수 있다.
  • 군민들의 평균 수명이 상당히 긴 편이다. 지난 2016년 취재에 따르면 괴산군에 100세 넘은 장수 노인들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모여 사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일부 건강한 노인들은 황금알 등 다큐멘터리에 출연을 하기도 했다.###

13. 출신 인물


[1]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0월 기준.[3] 괴산군 가선거구 (괴산읍, 칠성면, 문광면, 소수면): 김영희
괴산군 나선거구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불정면): 김주성
괴산군 다선거구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신송규
괴산군 비례대표: 송영순
[4] 괴산군 가선거구 (괴산읍, 칠성면, 문광면, 소수면): 최경섭
괴산군 나선거구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 불정면): 이양재
괴산군 다선거구 (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김낙영
[5] 괴산군 가선거구 (괴산읍, 칠성면, 문광면, 소수면): 안미선[6] 괴산군 선거구: 이태훈 (초선)[7] 산지로 막혀 직접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장기적으로는 터널을 개통하여 직접 연결을 고려하고 있다.[8] '잉걸불'의 '잉걸'이 '덩어리'라는 뜻이라서 덩어리 괴(塊) 자로 한역 되었는데 나중에 회나무 괴(槐)로 바뀌었다는 추측이 있다. 삼국사기에 나타난 괴양군(槐壤郡)·잉근내군(仍斤內郡)·괴주(槐州)에 대하여(기관 로그인 필요)[9] 괴(槐) 자는 기본적으로 회화나무를 뜻하지만 관용적으로 재상, 정승, 대신을 뜻할 때도 있다.[10] 증평군의 언어는 청주 사투리이고 이에 준하는 문화도 완전히 다른데 두 지역이 통합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11] 1966년~1990까지 증평군 영역 인구 포함(그래프상 제외, 인구수에는 합산)[12] 군청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6] 장연면의 특산물로, 이 종자를 만든 이가 충남대학교 교수였던 최봉호 교수라서 이름 붙은 것.[17] 이렇게 예산이 많이 들어간 이유는 별 시원찮은 업체에 맡기는 바람에 실패를 반복했기 때문이다.[18] 한솥밥 문화를 알리기 위해 처음에는 실제로 4만분 밥을 지을 작정이었고, 어느 전문가는 가능할 것이라 발표했으나 결국 불가능한 걸로 결론났다. 너무 커서 겉은 타고 속은 설익는다. 게다가 무쇠솥이어서 꾸준히 관리하지 않으면 녹물이 나와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19] 물론 5억이 그렇게 큰 돈은 아니지만, 그 돈이 엄연한 군민들의 혈세라는 점에서 군청 관계자의 발언은 군민 전체를 기만하는 발언이 된다. 그리고 부산과 대구는 광역자치단체고, 괴산군은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도 이기에 비교 대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20] 같은 예로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경상북도 울릉군이 있다. 양양군의 경우는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읍내에만 남고와 여고 2곳이 있었으나 하나로 통합되어서 이렇게 된 것이다.[21] 증평읍에만 무려 3곳의 고등학교가 있었다.[22] 1980년대 중반까지는 읍내 고등학교가 남고와 여고로 따로 있었다고 한다.[23] 해당 두 지역은 청주 방언권 사용 지역이다.[24] 이쪽은 구한말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충청북도 연풍군이었다. 문화원에 따르면 충주 방언권에 속한다고 하며, 강원도 영서 지방 말투와 상당히 비슷하다고 밝힌 바 있다.[25] 평택을 포함한 충청도 전 지역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어르신들이 주로 많이 쓰신다.[26] 이 어휘는 충북과 경북, 영동 지방(영월, 평창, 정선 포함)에서 사용된다.[27] 읍내가 중심부에 있기 때문에 읍내는 중첩 지역에 해당하며, 서남부 지역(청천면, 청안면, 사리면, 문광면, 칠성면)은 청주, 동북부 지역(불정면, 소수면, 감물면, 장연면, 연풍면)은 충주의 영향력이 강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