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555" | 수도권 | |||||
서울 | 경기, 인천 | |||||
강원권 | ||||||
영서 북부 | 영서 남부 | 영동 | ||||
충청권 | ||||||
대전, 세종, 충남 | 충북 | |||||
대경권 | ||||||
대구, 경북 | ||||||
동남권 | ||||||
부산, 양산 | 울산 | 경남(양산 제외) | ||||
| | |||||
호남권 | ||||||
전북 | 광주, 전남 | |||||
제주권 | ||||||
제주 | ||||||
☆: 본사, △: 방송센터, ◇: 방송총국 |
충청권의 지상파 방송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V 방송국 | 대전·세종·충남 | TJB 5 KBS 1 대전 9 대전MBC 11 | |||
충북 | CJB 5 KBS 1TV(청주/충주) 9 MBC충북 11 | |||||
라디오방송국 | 대전·세종·충남 | KBS대전(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대전MBC(라디오/FM4U) TJB 파워FM 대전CBS 대전가톨릭평화방송 대전극동방송 대전교통방송 대전국악방송 국방FM | ||||
충북 중·남부 | KBS청주(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MBC충북-청주(라디오/FM4U) CJB 조이FM 충북CBS 청주불교방송 영동국악방송 충북교통방송 | |||||
충북 북부 | KBS충주(제1라디오/음악FM) MBC충북-충주(라디오/FM4U) CJB 조이FM 충북CBS 청주불교방송 충주국악방송 충북교통방송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373a3c><colbgcolor=#ff87be> 신문 | 충북일보 | 중부매일 | 충청일보 | 충청매일 | 동양일보 | |||||||||||||||
지상파 방송 | KBS청주 | KBS충주 | MBC충북 | CJB | |||||||||||||||||
종교방송 | 충북CBS | BBS 청주불교방송 | |||||||||||||||||||
기타 방송사 | TBN 충북교통방송 | 충주국악방송/영동국악방송 | CCS충북방송 | 옥천FM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KBS충주방송국 韓國放送公社 忠州放送局 KBS Chungju Broadcasting Station | }}} | ||
국가 | <colbgcolor=#fff,#1f2023>[[대한민국|]] | ||||
창립 | 1962년 5월 15일 | ||||
개국 | 1962년 5월 15일 | ||||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원대로 3448 (문화동) | ||||
방송국장 | 유석근 | ||||
채널 | TV | ||||
라디오 | |||||
홈페이지 | chungju.kbs.co.kr | ||||
상위방송국 |
홈페이지
1. 개요 및 역사
충청북도 북부를 관할하는 을지역국, KBS청주방송총국에 소속되어 있다.1962년 5월 15일 청주방송국 충주중계소 개소를 시작으로 1984년 12월 23일 개국했다.
1987년 11월 16일 1TV·음악FM 로컬프로그램 송출을 개시했다.
2003년 청주 KBS 제2라디오 표준FM이 개국했을 때 충주 1라디오 표준FM의 주파수가 변경되었다. 현재 청주 2라디오가 사용하는 90.9MHz는 본래 충주 KBS 제1라디오 표준FM의 채널이었다.
KBS 지역국 중 순천과 함께 AM 방송 키 스테이션이 없다. 본래 연수동 787-3번지에 송신소가 있었지만 폐지하였다. 이윽고 제천 중계소도 폐지하여 KBS의 지역(총)국 중에 유일하게 중파 주파수가 없는 지국이 되었었지만 이후 순천국에서 방송설비 점검을 위한 휴지를 이유로 사실상 폐지 수순에 들어가면서 유일한 타이틀은 깨졌다. 이 때문에 KBS 충주 제1라디오 시보를 들어보면 창원방송총국과 마찬가지로 아나운서가 멘트를 길게 끌어서 한다. AM 주파수는 물론 중계소까지 없어 멘트가 타 지역국보다 짧기 때문.
여담으로 청주시의 EBS FM 송출은 한동안 청주총국이 아닌 충주국과 대전총국이 분담하였다.
한편 KBS는 2019년에 목포, 순천, 진주, 원주, 충주, 안동, 포항 등 7개 지역국을 기능조정 대상으로 정하고 일부 기능을 관할 총국으로 이관하기로 하였다. 이로 인해 충주방송국은 2020년 2월 3일부로 청주방송총국에 TV제작, 방송편성, 송출, 총무 등 기능을 일부 넘겨주게 되었다. 이후 지역 뉴스 방송 시 오른쪽 상단 방송국 이름 표시가 'KBS 충북'으로 나오고 있다.
관할지역은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음성군, 괴산군이다.
2. 역대 국장
- 임은진 (1984~1988)
- 김성배 (1988~1989)
- 윤한중 (1989~1990)
- 전준모 (1990~1993)
- 박창학 (1993)
- 김희무 (1993~1995)
- 박양원 (1995~1998)
- 이내수 (1998)
- 강현국 (1998~1999)
- 정경래 (1999~2001)
- 장동선 (2001~2002)
- 김경식 (2002~2004)
- 구능회 (2004~2006)
- 김관동 (2006~2008)
- 김시연 (2009~2010)
- 이준용 (2010~2012)
- 김영철 (2012~2014)
- 류삼우 (2014~2015)
- 조하룡 (2015)
- 김회종 (2015~2017)
- 신동춘 (2017~2019)
- 박범서 (2019)
- 유석근 (2019~ )
3. 사건사고
2012년 12월 31일 로컬 뉴스에서 제천시, 충주호반에 국내 최장 케이블카 추진이라는 보도가 나갔는데, 제천시가 추진하는 '청풍호그린케이블카'사업에 대한 보도에서 '청풍호'라는 명칭이 누락된 것이다.
이에 1월 15일 제천청풍호사랑실천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의도적으로 청풍호라는 명칭을 왜곡하거나 누락시키는 보도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시정은 물론 제천시민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한편, 해당 보도를 한 기자는 “법정 공식명칭인 충주호를 사용한 것에 대해 문제를 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고의적이거나 불리함을 주기 위한 의도는 전혀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제천청풍호사랑실천위윈회와 제천시민단체가 연대한 제천지킴이는 ‘KBS충주방송국 폐지’를 위한 서명운동과 함께 범시민적 차원으로 규탄 대회 등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2013년 1월 23일 제천시민회관에서 시민 단체, 봉사 단체,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KBS충주방송국 폐지’를 위한 서명 운동과 규탄 대회가 열렸다.#
4. 송출 현황
한국방송공사/전국 방송망 참조- TV : 1TV, 2TV, EBS
- 라디오 - 충주 1라디오 (충주 FM 92.1MHz / 제천 FM 103.3MHz / 단양 FM 90.7MHz)
- 충주FM(FM 100.3MHz)
- EBS FM(충주 FM 104.1MHz / 단양 FM 105.5MHz)
5. 제작 프로그램
5.1. 보도
지역국 기능조정으로 인해 2020년 1월 31일을 끝으로 TV 자체뉴스를 마감하고, 같은 해 2월 3일부터 청주방송총국에서 제작하는 뉴스를 릴레이하게 된다. 뉴스 9는 존치되었지만 이마저도 마감되고 청주 릴레이로 변경되었다. 다만 뉴스 7 충북 네트워크 현장 연결 여기는 충주 코너가 존재한다.- TV 보도프로그램
KBS 뉴스 7 충주(~ 2020.01.31)KBS 뉴스 9 충주
5.2. 라디오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rowcolor=#fff>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4:53 | 여기는 충주 라디오 | ||||||
05:00 | 1R 5시 뉴스 | 건강 365 | |||||
05:05 | 건강 365 | ||||||
05:55 | KBS 기상통보 | ||||||
06:00 | KBS 뉴스광장 | 1R 6시 뉴스 | |||||
06:05 | 경제세미나 (재) | ||||||
06:15 | 오늘 아침 1라디오 | ||||||
06:56 | 바른말 고운말 | ||||||
07:00 | 뉴스와 화제 | 1R 7시 뉴스 | |||||
07:05 | 라디오 매거진 위크 앤드 1, 2부 | ||||||
07:20 | 최경영의 최강시사 1, 2부 | ||||||
08:30 | 계명산의 아침 | ||||||
09:00 | 충주R 9시 뉴스 | 1R 9시 뉴스 | |||||
09:05 |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 1부 | 통일사용설명서 | |||||
10:00 | 1R 10시 뉴스 | ||||||
10:05 |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 2부 | KBS 뉴스월드 | |||||
10:53 | 영화관, 도서관 | ||||||
11:00 | 1R 11시 뉴스 | ||||||
11:05 | 정용실의 뉴스브런치 1부 | 경제세미나 | 뉴스브런치 심리연구소 | ||||
11:30 | 92.1 여기는 라디오 충주 | ||||||
12:00 |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 | ||||||
12:15 | 충주R 정오 종합뉴스 | 시사본부 (12:10) | |||||
12:20 | 시사본부 (공휴일 12:15) | ||||||
14:00 | 뉴스 중계탑 | 1R 14시 뉴스 | |||||
14:05 | 김태훈의 시대음감 | ||||||
14:20 | 라디오 전국일주 1부 | ||||||
15:00 | 라디오 전국일주 2부 | 1R 15시 뉴스 | |||||
15:05 | 주말 생방송 정보쇼 1, 2부 | ||||||
15:30 | 강원국의 지금 이 사람 | ||||||
16:00 | 1R 16시 뉴스 | ||||||
16:05 | 홍사훈의 경제쇼 | ||||||
17:00 | 충주R 17시 뉴스 | 1R 17시 뉴스 | |||||
17:00 | 생방송 충청은 지금 | 주진우 라이브 | 홍사훈의 경제쇼+ | ||||
18:00 | 주진우 라이브 2부 | 충북R 18시 뉴스 | |||||
18:05 |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1부 | ||||||
19:00 |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 1R 19시 뉴스 | |||||
19:05 |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2부 | ||||||
19:20 | KBS 열린토론 | ||||||
19:58 | 주말 58분 날씨 | ||||||
20:00 |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3부 | ||||||
20:30 | 스포츠 스포츠 | 함께하는 세상 |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 ||||
21:00 | KBS 뉴스 9(1TV 수중계) | ||||||
21:30 | 강원국의 지금 이 사람(재방송) | 주말 스포츠 스포츠 | |||||
22:00 | 1R 22시 뉴스 | ||||||
22:00 | 김성완의 시사夜 1, 2부 | 시대음감(재) | |||||
23:00 | 1R 23시 뉴스 | ||||||
23:05 | KBS 무대 | 라디오 문학관 | |||||
23:55 | KBS 기상통보 | ||||||
24:00 | 1R 자정 뉴스 | ||||||
24:05 | 문화 공감 | ||||||
25:00 | KBS 열린토론(재방송) | 명사들의 책읽기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 ||||
25:40 | 정다운 가곡 | ||||||
26:00 | 주진우 라이브(재) | 홍사훈의 경제쇼+(재) | |||||
26:10 | 경제로 통일로 | 바른말 고운말(26:53) | |||||
27:00 | 세월따라 노래따라 | ||||||
28:00 |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 | ||||||
28:20 | 소설극장 | ||||||
28:42 | 어업기상통보 | ||||||
xx:58 | KBS 58분 날씨 | ||||||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rowcolor=#fff>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4:53 | 여기는 충주 FM | ||||||
05:00 | 국악의 향기 | ||||||
06:00 | 새아침의 클래식 | ||||||
07:00 | 출발 FM과 함께 | ||||||
09:00 | 김미숙의 가정음악 | 송영훈의 가정음악 | |||||
11:00 | KBS 음악실 | ||||||
12:00 | 생생 클래식 | ||||||
14:00 | 명연주 명음반 | ||||||
16:00 | Kiss The Music | 노래의 날개 위에 | |||||
17:00 | FM 풍류마을 | ||||||
18:00 | 세상의 모든 음악 전기현입니다 | ||||||
20:00 | FM 실황음악 | FM 실황음악 | |||||
21:40 | 정다운 가곡 | ||||||
22:00 | 당신의 밤과 음악 | ||||||
24:00 | 노래의 날개 위에 | JAZZ 수첩 | |||||
25:00 | 세상의 모든 음악 전기현입니다(재방송) | ||||||
27:00 | 명연주 명음반(재방송) | ||||||
- 계명산의 아침
- 92.1 여기는 라디오 충주
- Kiss The Music
- 생방송 충청은 지금
6. 직원
6.1. 아나운서
6.1.1. 현직
- 진두연 : 1FM KISS THE MUSIC 진행
- 박찬송[1]: 1R 계명산의 아침 진행, 1R 09시 뉴스, 1TV 뉴스7 여기는 충주
- 노송원 : 1R 92.1 여기는 라디오 충주 진행, 1R 정오 종합뉴스, 1R 17시 뉴스 및 충청은 지금 진행[2]
6.1.2. 전직
- 허주
- 김흥수(공채 12기)
- 한증성 (공채 15기 기자전직)
- 엄태진 (공채 15기)
- 김호성
- 김경희
- 황순자(단양중계소)
- 원석현(현 KBS 아나운서)
- 조승학(전 연합뉴스TV 아나운서)
- 강승희(현 KBS경인 아나운서)
- 김지원(현 롯데홈쇼핑 쇼호스트)
- 조민경(현 대전MBC 아나운서)
- 정지성(전 광주MBC 스포츠캐스터)
- 임하늘(현 광주방송 아나운서)
6.2. 기자
- 이재석
7. 관련항목
[1] 아침 8시 반나절부터 저녁 늦게까지 굴려지면서 유지은 아나운서급 금강불괴 스케쥴을 보여주고 있다.[2] 17시 뉴스를 원고로 진행 10초 후 바로 충청은 지금을 진행한다. 흠좀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