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5px -10px -5px -10px; padding: 2.5px 0px 0px 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조직 ] | 사장 | |||
기획조정본부 | 미디어전략본부 | 보도본부 | ||
경영본부 | 방송인프라본부 | |||
콘텐츠총괄부사장 | ||||
콘텐츠전략본부 | ||||
드라마본부 | 예능본부 | 시사교양본부 | 라디오본부 |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FF7F00,#e8340b><colcolor=white> 신문[1] | 광주일보 | 무등일보 | 전남일보 | 전남매일 | 광남일보 | 남도일보 | 광주매일신문 | |||
지상파 방송 | KBS광주 | 광주MBC | kbc 광주방송 | |||||||
종교방송 | 광주CBS | BBS 광주불교방송 | 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 | febc 광주극동방송[2] | WBS 광주원음방송[2] | |||||
기타 방송사 | 광주FM[2] | 광주국악방송[2] | CMB 광주전남방송 | KCTV광주방송 | TBN 광주교통방송 | |||||
[1]: 광주전남기자협회 가입 신문사. 통신사인 연합뉴스, 뉴스1, 뉴시스 제외. [2]: 보도기능을 갖추지 않은 곳. |
전라권의 지상파 방송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V 방송국 | 전북 | JTV 5 KBS1 전주 9 전주MBC 11 | ||
광주·전남 중북부 | kbc 5 KBS1 광주 9 광주MBC 11 | ||||
전남 서남부 | kbc 5 KBS1 목포 9 목포MBC 11 | ||||
전남 동남부 | kbc 5 KBS1 순천 9 여수MBC 11 | ||||
라디오방송국 | 전북 | KBS1 전주(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전주MBC(표준FM/FM4U) JTV 매직FM EBS FM 전북CBS 전북극동방송 전북교통방송 전북원음방송 전주국악방송/남원국악방송 | |||
광주·전남 중북부 | KBS1 광주(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광주MBC(표준FM/FM4U) kbc MyFM EBS FM 광주CBS(표준FM/음악FM) 광주극동방송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광주교통방송 광주불교방송 광주원음방송 광주국악방송 광주영어방송 국방FM AFKN | ||||
전남 서남부 | KBS목포(제1라디오/음악FM)·KBS광주(제2라디오) 목포MBC(라디오/FM4U) kbc MyFM EBS FM 목포극동방송 목포·진도국악방송 | ||||
전남 동남부 | KBS순천(제1라디오/음악FM)·KBS광주(제2라디오) 여수MBC(라디오/FM4U) kbc MyFM EBS FM 전남CBS 전남동부극동방송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광주교통방송 광주불교방송 광주영어방송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광주문화방송 주식회사 光州文化放送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마음의 벗, 세상의 빛 | ||||
국가 | ||||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17 (월산동) | |||
설립 | 1964년 5월 28일 | |||
개국 | 라디오 | 1964년 6월 13일 | ||
TV | 1970년 8월 29일 | |||
방송망 | ||||
방송 품질 | 화질 | 1080i, 2160p | ||
음향 | 2채널 돌비 디지털, MPEG-H 3D Audio 등 | |||
모기업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5183c><colcolor=#fff> 대표자 | <colbgcolor=#fff,#191919>김낙곤 | ||
업종명 | 방송사업 및 문화서비스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최대주주 | 문화방송 (지분 100%) | |||
직원 수 | 81명 (2018년 기준) | |||
채널 | 광주MBC (TV) 광주MBC 표준FM (라디오) 광주MBC FM4U (라디오) MY MBC TV (DMB) CJ ONSTYLE (DMB) MY MBC DATA (데이터) |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중북부지역과 전라북도 지역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TV·라디오 방송사로, 본사는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에 위치해있다.현재 TV 채널 1개, 라디오 채널 2개, DMB 채널 3개를 운영중이며, 호출부호는 HLCN이다.
- TV
- DTV: HLCN-DTV
- UHDTV: HLCN-UHDTV
- 라디오
- 표준FM : HLCN, HLCN-SFM
- FM4U : HLCN-FM
- DMB : HLCN-TDMB
'문화수도 광주'라는 슬로건을 밀 당시인 2010년대 초반까지는 전국-지역프로그램 가리지 않고 'MBC' 로고 밑에 저 슬로건을 붙였다. 이후에는 지역 내 큰 행사 (박람회, 엑스포, 축제 등)가 있을 때 D-day를 표시한답시고 역시 전국-지역프로그램 모두 아예 흰바탕에 '광주MBC' 로고와 D-데이를 붙인다.[1] 2015년 이후부터는 수시로 왔다갔다한다.
광천사거리 대산빌딩에 영상 전광판을 설치하여 뉴스 소식, 제보 안내, 이 시각 주요 뉴스 자막, 광고, 캠페인 등이 송출되고 있다. 참고로 MBC 뉴스투데이와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간에는 전광판에도 생중계로 송출하고 있으며, 이외 시간대 뉴스는 페이스북에 올라가는 자막 달린 형식의 클립 뉴스를 중간중간 송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1989년부터 전개된 무등산을 사랑하자 캠페인으로 지역민들에게 무등산에 대한 애정과 인식을 제고시키는데 한 몫을 하였으며, 2013년 5월 23일 무등산국립공원 지정 및 무등산 환경보호 기여 공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다른 지역 계열사 라디오들은 57분 캠페인이나 교통정보 후 광고 후 시보가 나가는데 광주MBC는 57분 정각에 광고 후 캠페인 후 시보가 나가는 게 특징이다. 1990년대부터 이어진 전통.
2. 역사
1964년 6월 13일 한국문화방송(주) 광주국이 라디오로 개국했으며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 채널을 개국했다. 그 뒤 1971년 10월 1일 호남텔레비전방송이 한국문화방송(주) 광주국을 인수하면서 현 사명으로 개칭했다.1970년대 후반 궁동 사옥의 모습.
사진출처 : 5.18기록관
이 궁동 사옥은 5.18 민주화운동이 한창 진행중이던 1980년 5월 20일 밤 8시 40분경, 왜곡방송을 내보낸 데 분노한 시위대에 의해 불타버렸다. 이날 사람들은 사옥 앞에서 "계엄군 물러가라", "관제언론 MBC를 불태워라"라고 외쳤다. 황석영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에서 해당 상황을 아래와 같이 서술했다.
시민들은 혹시나 자신들의 운명에 관한 새로운 소식이 TV를 통해 방영되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모두 열심히 시청했지만, TV에서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연속극이나 오락 프로만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방영되고 있었다. 그들은 텔레비전을 보면서 이글이글 타오르는 분노를 느꼈다. 한쪽에서는 죄 없이 같은 동포가 절규하며 죽어가고 있는데, 저 텔레비전의 다리를 흔들어대는 춤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하는 배신감이었다. 시민들은 이제 어느 누구도 이 싸움이 더 이상 젊은 학생들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것을 똑똑히 절감하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감정들이 다음날 문화방송국을 불질러 버릴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1985년판 77쪽의 내용 중에서.
개정판에서는 서술이 조금 다른데, 다음과 같다.-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1985년판 77쪽의 내용 중에서.
텔레비전에서는 평소처럼 연속극이나 오락 프로그램만 방영되고 있었다. 나라의 한편에서는 '집단적인 인간사냥'이 벌어지는데, 텔레비전에서는 다리를 흔들어대며 춤을 추는 출연자의 모습만을 내보내고 있었다. 광주시민들은 배신감과 타오르는 분노를 주체할 수 없었다. 이러한 감정들이 다음날 시위대가 문화방송국을 불태워버릴 수밖에 없도록 만든 것이다.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2017년판 119~120쪽의 내용 중에서.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2017년판 119~120쪽의 내용 중에서.
그러나 위와 같은 언급과는 달리 광주MBC의 최초 방화 원인에 대해선 시위대에 의한 집단방화인지, 아니면 제3의 의도적인 방화자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현재도 진상규명이 안 되고 있는 상태이다. 왜 여지껏 방화로 알려진 사건이 의문이냐 하면, 당시 가두방송자인 전옥주 씨와 목격자인 서채원 씨의 증언 때문이다. 전씨와 서씨의 증언을 종합해 보자면, 이날 약 4백여 명의 시민들이 방송국으로 들어가 광주의 진상을 있는 그대로 공정히 보도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오히려 방송국 측은 이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1층 입구 셔터를 내려 시민들의 접근을 막았다. 이러던 와중에도 시민과 방송국 측과의 입씨름이 벌어지고 있는 사이 방송국 전원장치에서 갑자기 '펑'하는 폭발음이 들려와 불이 났고, 이때 시민들이 목공소에서 큰 나무기둥을 가져와 문을 부수려고 하는 사이 화재가 이미 난 상태였다.[2]
위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1980년 6월 9일 금남로 5가 흥국생명빌딩에 임시연주소가 설치되기도 했다. 1981년 4월 6일 궁동 사옥으로 복귀했지만 이후 1988년 10월 29일 월산동 현 사옥으로 이전한 이후[3] 1989년 7월 24일 궁동 구 사옥을 매각처분하였고, 현재는
여담으로 궁동 구 사옥 1층에는 경찰 공무원 입시학원이 있으며, 2층에는 나선희[5] 前 광주MBC 아나운서가 직접 운영하고 강의하는 스피치 학원이 있다.
|
옛터임을 알리는 표지석 |
아이러니하게도 MBC에서 방영한 공화국 시리즈 중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 광주문화방송이 불타버리는 사건이 나왔다. 제4공화국에서는 어디 방송국인지 모호하게 표현했지만 제5공화국에는 정확하게 '불타는 광주MBC'라는 자막과 함께 실제 자료화면을 첨부했으며 나레이션이였던 안지환 성우의 단호한 목소리로 당시 MBC를 디스했다. 실제 방송장면
이날 밤, 언론에 대한 광주시민들의 충격과 분노가 광주MBC를 불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통제로 재갈이 물린 언론은 광주의 진실을 은폐하고 있었고, 광주시민은 언론의 거짓말을 용서하지 않았던 것이다.
여기서는 시위대에 의해 불타오른 걸로 표현했다.마찬가지로 5.18 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에서도 이 화재 사건이 나온다. MBC 방송국이라고 명확하게 묘사하지만, 화재가 일어난 이유에 대해선 묘사하지 않았다. 자료화면만 나왔던 공화국 시리즈와 달리 작중 주인공과 등장인물들이 직접 불타는 MBC 인근에서 생생하게 사건을 경험한다. 또 소설 봄날에도 등장한다.
3. 지배구조
주주명 | 지분율 |
100.00% |
4. 역대 임원
4.1. 통합 전
- 한국문화방송 광주국장
- 장익제 (1964 ~ 1969)
- 허연 (1969 ~ 1971)
-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사장
- 최승효[6] (1968 ~ 1971)
4.2. 통합 후
- 최승효 (1971 ~ 1982)
- 마삼열 (1982 ~ 1984)[7]
- 윤명현 (1984 ~ 1987)
- 이달형 (1987 ~ 1988)
- 김용균 (1988 ~ 1989)
- 김포천 (1989 ~ 1995)
- 노성대 (1995 ~ 1999)[8]
- 박진홍 (1999 ~ 2003)
- 김택곤 (2003 ~ 2005)[9]
- 김상균 (2005 ~ 2008)[10]
- 윤영관 (2008 ~ 2010)
- 정태성 (2010 ~ 2011)
- 서경주 (2011 ~ 2014)
- 최영준 (2014 ~ 2017)
- 이강세 (2017)[11]
- 송일준 (2018 ~ 2021)[12]
- 김낙곤 (2021 ~ 현재)[13]
5. 직원
5.1. 아나운서
5.2. 기상캐스터
- 이다솔
5.3. 리포터ㆍMC
- 박혜림 : 2013년 입사
- 박지선 : 2015년 입사
- 한아름
- 정혜정[15]
- 김태일 : 2009년 입사
- 신혜빈 : 2018년 입사
5.4. 기자 & 피디
5.4.1. 시사보도본부
- 윤근수 기자(본부장)
5.4.1.1. 뉴스팀
- 이계상 기자(팀장)
- 조현성 기자
- 한신구 기자
- 송정근 기자
- 우종훈 기자
- 김영창 기자
- 임지은 기자
5.4.1.2. 시사팀
- 김철원 기자(팀장)
- 이경찬 피디
- 이다현 기자
5.4.2. 콘텐츠본부
- 윤행석 피디(본부장)
5.4.2.1. 편성제작팀
- 박병규 PD(팀장)
- 곽판주 PD
- 김민호 PD
- 황동현 PD
- 백재훈 PD
- 김귀빈 PD (아나운서)
- 박진아 PD[16]
- 류권형 PD (아나운서)
- 이주형 PD
- 최선영 PD
- 한가름 PD
- 이해원 PD
- 이승철 아나운서
5.4.3. 영상제작센터
- 강성우 영상기자(센터장)
- 김영범 영상기자
- 박노현 영상감독
- 전윤철 영상기자
- 정호진 영상감독
- 박재욱 영상기자
- 이경섭 영상감독
- 김 환 영상감독
- 이정현 영상기자
- 이대영 영상감독
- 김상배 영상기자
미술실
- 김주호 미술감독
- 오청미 보도CG
- 김경화 보도편성자막
- 노태호 보도편성자막
- 정원주 보도CG
- 김아영 편성CG
- 서영수 편성CG
6. 전직 직원
6.1. 전직 아나운서
- 김형주 : 1975년 입사 (퇴사)
- 문병국 : 1982년 입사 (퇴사)
- 남주원 : 1985년 입사 (퇴사)
- 나선희 : 1986년 입사 (퇴사)
- 이금빈 : 1999년 입사 (퇴사)
- 홍진선 : 1998년 입사 (타부서 이동)[17]
- 박진아 : 2000년 입사 (타부서 이동)
- 류권형 : 2001년 입사 (타부서 이동)[18]
- 임희정 : 2012년 입사 (퇴사) [19]
- 정보슬 : 2013년 입사 (퇴사)
- 김영은 : 2014년 입사 (퇴사)
- 백수진 : 2014년 입사 (퇴사)[20]
- 김민호 : 2015년 입사 (퇴사)[21]
- 이유진 : 2019년 입사.(퇴사 예정)[22]
홍진선 / 류권형 / 박진아 아나운서는 타부서 이동으로 텔레비전에서 보기 매우 어려워졌지만, 매우 드물게 볼 수는 있다. 홍진선 아나운서는 시사팀으로 이동해 PD로서 뉴스 리포트하면서 나온적이 있고, 류권형 아나운서는 김귀빈 아나운서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서, 오매 전라도 프로그램에 대신 출연했다. 2021년 12월 2일부터 3일까지는 김두식 아나운서의 코로나 19 백신으로 이승철 아나운서가 뉴스투데이 진행을 한다.
6.2. 전직 기자
- 이강세 : 1995년 입사. 2013년 취재부장, 2015년 경영기획국장, 2017년 사장 등지 역임. 퇴사 이후 스타모빌리티 대표도 역임.
6.3. 전직 리포터
6.4. 전직 기상캐스터
- 김난희
- 강예슬
- 김은수
- 백단비
7. 사옥
광주MBC 사옥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17 (월산동) |
8. 방송망
A. 아날로그 TV 채널은 2012년 10월 30일까지 모두 종료되어 기재하지 않았다.
B. 디지털 TV의 모든 물리채널에 부여된 가상채널은 11-1번이다.
C. 채널과 주파수 앞뒤에 붙는 ch.와 Mhz 등의 단위는 생략한다.
D. 송출이 예정되어 있는 채널과 주파수는 ※로 표기한다.
광주문화방송에서 송출하는 방송 전파는 광주광역시 일원, 전라남도 중부, 북부 지역, 전라북도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전국의 문화방송 네트워크 계열사들의 송출 현황은 이 항목과 각 방송사별 문서를 참조한다.
송신소 | 채널ㆍ주파수 | 송신소 위치 | ||||
TV | AM | 표준FM | FM4U | DMB | ||
비 아 | - | 819 | - | - | - | 광주 광산구 월계동 286 |
무등산 | 14(HD) 55(UHD) | - | 93.9 | 91.5 | 8A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
이 서 | 47 | - | - | - | -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산 77-1 |
영 천 | 42 | - | - | - | - |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산196-1 |
북 일 | 45 | - | - | - | - | 전남 장성군 북일면 신흥리 산87-1 |
북 이 | 23 | - | - | - | - | 전남 장성군 북이면 신월리 산5-4 |
영 광 | 28 | - | 101.9 | - | 8A | 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1-1 (물퇴봉) |
법 성 | 46 | - | - | - | - | 전남 영광군 법성면 대덕리 산111 |
군 남 | 26 | - | - | - | - | 전남 영광군 군남면 양덕리 산90 |
영 암 | 30 | - | - | - | ※ | 전남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산11 (활성산) |
노고단 | 22 | - | -[23] | 95.1 | 12A |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
방장산 | 37 | - | - | - | - | 전남 보성군 조성면 동촌리 850-6 |
고 흥 | 22 | - | - | - | - |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산58-1 |
녹 동 | 36 | - | - | - | - |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산237 (비봉산) |
도 화 | 26 | - | - | - | - | 전남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 산113 (시루봉) |
포 두 | 20 | - | - | - | - | 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산311 |
9. 제작 프로그램
9.1. 역대캠페인
- 국립공원 무등산을 사랑하자 (1989 ~ 현재)
- 문화수도 캠페인 (2006 ~ 종료)
- 사람이 희망입니다 캠페인 (2014 ~ 종료)
- 더불어 삽니다 캠페인 (2015 ~ 현재)
- 청년희망 프로젝트 청출어람 (2016 ~ 종료)
9.1.1. 연중캠페인
- 국립공원 무등산을 사랑하자 (1989 ~ 현재)
- 더불어 삽니다 (2015 ~ 현재)
- '공정', 건강한 공동체의 출발점입니다 (2020년 ~ 종료)
9.2. 보도
|
| ||
| ||
연빛나 (아나운서) |
- 코너 : 날씨, 빅데이터 톡(목)
|
평일 |
|
이유진 (아나운서) |
주말 |
|
이승철 (아나운서) |
9.3. 시사 / 교양
- 광주MBC 보다[24]
- 본방을 보자[25]
- 테마여행 길[26]
- 시청자가 만드는 TV[27]
- 어영차 바다野(목포MBC)
- 살맛나는 세상(OBS경인TV)
- 다큐 나는... 산다(원주MBC)
- 세계 최고를 찾아라
- 찬란한 밥상
- 시사 ON
- 다큐 M
9.4. 예능
9.5. 종영 프로그램
- 얼씨구 학당
- 마을이야기 올망졸망
- 한민족의 소리
- 달빛아래 징검다리(대구문화방송과 공동제작)[29]
- 달빛소화제[30]
- 희망릴레이 토크콘서트 청춘진담
- 별청춘
- 아트 아시아
- 생방송 빛날
- 오매 전라도
- 윤근수의 시사본색
- 시청자가 만드는 TV
10. 라디오
광주 전지역과 전남, 전북 일부 지역을 가청권으로 하는 광주MBC 라디오는 1964년 6월 13일 한국문화방송(주)광주국으로 라디오를 개국한 이래, AM라디오 채널 1개, FM라디오 채널 2개를 운영하고 있다. 호출부호는 HLCN.주파수 | 송신소 | 송신지점 | 출력 | |
광주MBC 표준FM | ||||
AM 819kHz | 비아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286 | 20kW | |
FM 93.9Mhz |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 5kW | |
FM 101.9Mhz | 영광 |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1-1 | 10W | |
광주MBC FM4U | ||||
FM 91.5Mhz |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 5kW | |
FM 95.1Mhz | 노고단 |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 1kW |
10.1. 제작 프로그램
10.1.1. 표준FM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10.1.2. FM4U
<rowcolor=#fff>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3:00 | K팝2000 | ||||||
04:55 | 여기는 광주MBC FM4U | ||||||
05:00 | 세상을 여는 아침 안주희입니다 | ||||||
07:00 | 굿모닝FM | ||||||
09:00 | 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 | ||||||
10:56 | 잠깐만 | ||||||
11:00 | 이석훈의 브런치카페 | ||||||
12:00 | 정오의 희망곡 박혜림입니다 |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 |||||
14:00 | 두시의 데이트 뮤지 안영미입니다 | ||||||
16:00 | 4시엔 윤도현입니다 | ||||||
18:00 | 배철수의 음악캠프 | ||||||
19:56 | 잠깐만 | ||||||
20:00 | GOT7 영재의 친한친구 | ||||||
21:56 | 잠깐만 | ||||||
22:00 | 푸른밤 옥상달빛입니다 | ||||||
24:00 | 배순탁의 B side | IDOL RADIO | |||||
01:00 | 신혜림의 JUST POP | 스포왕 고영배 | JUST POP | ||||
02:00 | FM영화음악 김세윤입니다 | ||||||
11. SNS
페이스북2021년 5월 기준으로 페이스북 팔로우는 37,713여명, 유튜브 본계정 구독자는 133,000명이다. 유튜브 뉴스채널 구독자는 36,000여명 정도이다. 전국노래자랑 버프를 받은 KBS 광주 채널에는 밀리지만, 전체적으로 광주전남 내 지상파 방송사 중에서 매우 우세적이다.
11.1. 전설의 타이거즈
12. 논란 및 사건사고
12.1.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민주당 호남권 경선을 앞두고 광주MBC에서 예정됐던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자 방송 토론회가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취소됐다. 확진된 직원은 전날 방송국에서 광주시의회 모 광역의원과 인터뷰를 진행해 해당 의원과 의원실 직원들은 긴급하게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2.2. 자체 프로그램 폐지 후 기본급 인상 논란
광주MBC 사례를 봤는데, 이것은 박성제 사장이 내년에 추구하겠다는 것과 정반대로 가고 있습니다. 광주MBC의 TV 프로그램 자체제작하는 슬롯이 3개가 있는데 2개를 1월 1일부터 없애겠다고 합니다. 보도국에서 제작하는 보도 토론프로그램 말고 저녁 정보프로그램 <오매 전라도>, <문화콘서트 난장> 2개를 없애는데 제작비 때문에 그렇다. 제가 봤을 때 지난번 지역사 중에서 퇴직금누진제를 광주MBC는 아직 폐지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영방송이라면 가장 마지막에 줄여야 하는 것이 자체제작비여야 합니다. 그런데 자기 받을 것은 다 받고 작년에도 기본급 2.8% 인상해줬지 않습니까? 2.8% 인상하고 퇴직금누진제는 폐지하지 않고, 그래서 적자 나니까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고 외주를 받겠다. 그러면 광주MBC의 지역성은 어디에서 구현됩니까? 그다음에 라디오 <황동현의 시선집중>은 제가 봤을 때 지역사 치고는 가끔씩 보도에 인용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도 제작비 때문에 없애겠다, 그러면 광주MBC는 중계소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됩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점검을 한번 해 보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방송문화진흥회 2021년 제22차 정기이사회 김도인 이사 |
13. 주변 교통편
13.1. 지하철역
돌고개역 | |||||
녹동·소태 방면 남광주, 금남로4가, 양동시장 | 1호선 (108) |
광주에 있는 3사 방송국 중 유일하게 지하철 접근이 가능하다. 단, 돌고개역에서 걸어가는 오르막이 매우 높다.
13.2. 버스
농협공판장(3101/3102) | |
지선 |
월산초교(3202/3203) | |
지선 |
돌고개역동편(2163/2164광주, 1375/1376나주) | |
간선 | |
지선 | |
마을 | |
나주시내 |
14. 여담
- 광주 내 지상파 3사 방송국 중 아직까지 사옥 이전 계획이 없다. 과거 사직공원에 있었던 KBS광주방송총국이 2000년에 가장 먼저 구도심을 빠져 나가 신도심인 상무지구로 자리를 옮겼으며[33], 2019년엔 kbc 광주방송도 광천동 신사옥이 완공됨에 따라 이전되었다.[34] 이 외에도 종교방송인 광주CBS, cpbc광주가톨릭평화방송, 광주BBS, WBS광주원음방송, febc광주극동방송 모두 서구에 위치해있다.[35] TBN 광주교통방송은 광산구 첨단지구에 있다. 사실상 서구에 방송국이 집중되어 있다. 결국 광주방송까지 서구로 이전되면서 구도심에는 광주MBC와 GFN광주영어방송만 남게되었다.
- 캠페인과 행사를 제외한 광주 전남지역 모든 광고는 목포MBC에서도 동시 송출하고 있다.
- MBC 무브먼트 2세대 디자인에 크기는 1세대의 것을 적용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ID EMOTIONAL 버전을 사용한다.
15. 둘러보기
5.18 사적지 목록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호 전남대학교 정문2호 광주역 광장3호 구)시외버스 터미널4호 금남로5-1호 구)전남도청5-2호 5.18 민주광장5-3호 상무관5-4호 광주 YMCA6호 구)광주 YWCA7호 구)광주문화방송8호 녹두서점 옛터9호 전남대병원10호 광주기독병원11호 구)적십자병원12호 조선대학교13호 홍림교14호 주남마을 입구15호 광목간 민간인 학살지16호 농성광장 격전지17호 상무대 옛터19호 양동시장20호 광주공원21호 광주고등학교 정문22호 옛 광주교도소23호 구)국군광주병원24호 망월동 5.18묘역25호 남동성당26호 505보안부대 터27호 들불야학 옛터28호 전일빌딩24529호 홍남순 변호사 가옥 | }}}}}}}}} |
16. 관련 문서
[1] 이런 짓은 목포MBC도 가끔가다 한다.[2] <정사(正史) 5.18(상)> 광주매일 특별취재반 엮음. 사회평론. 1995. P. 269~270.[3] 사옥 이전을 기념하여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가 광주에서 생방송으로 제작된 적이 있었다.[4] 방송국 사옥으로 쓰이던 시절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이크로웨이브 송수신용 안테나가 아직도 이 건물 옥상에 남아 있다.[5] 1986년 입사. 1997년 퇴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現 나선희스피치커뮤니케이션 대표[6] 역사 문단 상단에 있는 홍보 사진 속 인물. 1999년 사후 그가 남긴 유물 2,700여 점이 그의 아들에 의해 순천대학교로 기증되었다.[7] 전 광주일보 편집국장.[8] 전 보도국 부국장, 워싱턴 지사장. 이후 본사 사장으로 영전했고, 방송위원회 위원장과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 공익광고협의회(코바코) 위원장 역임.[9] 이후 전주방송 사장 역임(2005 ~ 2011/2016 ~ )[10] 전 마산 MBC 사장, 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11] 이후 스타모빌리티 대표이사 역임.[12] 전 PD수첩 MC, MBC 시사교양국 부국장, 도쿄 PD 특파원, MBC PD협회 회장 겸 제31대 한국 PD연합회 회장[13] 전 광주MBC 보도국 취재부국장.[14] 광주서석고등학교,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광주MBC의 정우성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5] 전 목포MBC 리포터[16] 아나운서 출신[17] 현 콘텐츠본부 미디어사업팀장. 팀장 승진 전 시사팀 PD 직분으로 뉴스 기사를 내거나, '시사본색'에 출연을 한 적이 있다.[18] 어느순간부터 뉴스에서 보기 힘들어졌고, 간간히 라디오 정시 시보멘트에서 목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현재는 놀라운오후3시 연출을 담당하고 있는것으로 보아 연출/PD 쪽만 담당하게 된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김귀빈 아나운서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서, 오매 전라도 프로그램에 대신 출연했다.[19] 현 SK브로드밴드 경기권 아나운서[20] 전 목포MBC 아나운서[21] 현 MBC 아나운서[22] 현 연합뉴스TV 아나운서[23] 표준FM은 전주MBC에서 담당한다.[24] 매주 월요일 저녁 6시 5분 방송[25] 매주 화~목 저녁 6시 5분 방송[26] 광주를 비롯해 부산, 대전, 울산 등 전국 9개 계열사가 공동으로 제작하는 로드기행 프로그램.[27]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으로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영상이 방송된다[28] 지역MBC 13개사 공동 제작[29] 2016년 1월 29일자 경북 포항시 구룡포 편에서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BGM 중 에오스탑 / 핼리오스탑 BGM인 Funny Time Maker가 나왔다.[30] 영호남 지역공감 토크쇼. 대구MBC와 공동제작[31] 2부(08:30~09:00)는 유튜브 방송이다.[32] 뉴스[33] KBS 옛 사옥도 MBC 궁동사옥처럼 헐리지 않고 현재 GFN광주영어방송이 옛 모습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34] 이쪽은 현대건설이 짓는 아파트로 재건축된다.[35] CBS만 금호동에 있고, 나머지는 상무지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