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5:11:25

안녕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의 안녕하세요}}}에 대한 내용은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안녕하세요(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사용하면 안 되는 경우3. 언어별 표기

1. 개요

다른 사람과 만났을 때 하는 인사말.

한자로는 安(편할 안)에 寧(편안할 녕), 곧 탈없이 무사하냐는 뜻이며 "오랜만에 봤는데 건강은 괜찮으세요?" "일 없으시죠?" 등 상대방의 건강을 챙기고 걱정해주는 인사말. 이는 보릿고개, 외적의 침입 등 살기 각박한 조상들의 삶의 모습이 비춰진 인사말이다.[1]

의문문이 아닌 기원문의 뜻으로 쓸 수도 있다. 본래 형용사로는 명령을 못 하나 예외로 몇 말은 기원의 뜻을 담아 명령으로 쓰인다. 다만 범주가 흐려 사용을 삼가기를 권한다. 그래서 '안녕하세요'를 하십시오체로 바꾸면 '안녕하십시오'보다 '안녕하십니까'로 자주 옮긴다.

재미있게도 히브리어·아랍어권에서 '네게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뜻을 지니는 인사말인 "샬롬 알레헴(שָׁלוֹם עֲלֵיכֶם‎‎)", "아살라무 알라이쿰(السَّلَامُ عَلَيْكُمْ‎)"과도 뜻이 비슷하다.

본래 언중은 안 쓰는 말이다가[2] 일제강점기가 끝난 후에는 교과서에 수록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일본어에도 같은 표현이 있으나, 인사말로는 별로 쓰이지 않고 문어식 표현으로만 남아있다.

모든 언어학습이 다 그렇듯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가장 처음으로 배우는 말이며, 한국어를 잘 모르는 외국인들도 세계 속에서 한국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이 말 정도는 알고 있는 경우가 꽤 있다. 대표적으로 오바마 대통령도 한국인 학생이 토론회에서 질문하자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한 적이 있다.

안 좋은 일로 사과문을 쓰는 일이 많아서 불길한 말로 여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입니다'라는 제목을 달고 사과영상을 올리는 것은 유튜버들 사이에서 '죄송합니다', '사과 말씀 드립니다.'와 같이 혹은 그보다 더 잦은 빈도로 쓰이며, 원래는 그냥 불문율이었기에 영상을 보는 시청자들에 하여금 사과영상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그쳤지만 유튜브 뒷광고 사태 이후 수많은 유튜버들의 사과영상들이 대량으로 올라오면서 조롱의 의미로 쓰이는 반 유행어가 되었다.

연예 기획사에서도 안 좋은 일(멤버의 탈퇴, 사건사고, 그룹 해체 및 회사의 중대한 법률 위반 등)로 입장문을 쓸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기도 하다. 그래서 팬덤에서는 '안녕하세요'로 시작하는 글이 공식 SNS로 뜨면 불안한 반응을 보인다.

2. 사용하면 안 되는 경우

한국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인삿말이나, 어원이 어원인 만큼 딱 봐도 안녕하지 못한 사람, 안녕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결코 써서는 안 되는 인삿말이다. 가령 장기구득코디네이터[3]들에게 가장 금기시되는 인삿말이 '안녕하세요'이다.[4] 뇌사추정자의 보호자에게 장기기증의사를 물어보는 일을 이들이 하는데, 뇌사추정자의 보호자(가족)들이 안녕한 상태일 리가 없으므로 절대 '안녕하세요?'라는 인삿말을 쓰지 않는다.

장례식장또한 마찬가지 경우이다. 호상이니 뭐니 해도 가족을 잃은 유가족이 안녕할 수는 없으므로 '안녕하세요.'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5] 그래서 장례식장에서 종사하는 다양한 직종의 근무자는 '실례하겠습니다.', '처음 뵙겠습니다.', '고생이 많으십니다.', '(상호)입니다.', '오셨습니까?' 등으로 돌려 말하고, 흔히 서비스업에서 필수로 여기는 인삿말인 '또 오세요.' 또한 절대로 하지 않는다.

그 외에 중병을 앓고 있는 환자, 특히 시한부 환자에게 역시 '몸은 좀 어떠세요?', '식사는 잘 하세요?' 식으로 돌려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퇴원 언제 하세요?'는 일반적인 병문안에서 흔히 쓰이는 인삿말이나, 이 또한 시한부 환자가 인생을 마무리하는 곳인 호스피스 병동에서는 쓰지 않는다. 당연하지만 이런 환자들은 퇴원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3. 언어별 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어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안녕
파일: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어 guten Tag(구텐 타크)[6]
servus(세어부스)
moin(모인)
griaß Gott(그리아스 고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어 bonjour(봉주르)[7]
salut(살뤼)[8]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국어 你好(니하오)
您好(닌하오)[9]
哈啰(하뤄)[10]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영어 hello·hi(헬로·하이)[11]
greetings(그리팅즈)[12]
파일:바티칸 국기.svg 라틴어 salve·salvete(살베·살베테)
ave·avete(아베·아베테)[1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어 こんにちは(곤니치와)[14]
おはよ(오하요)[15]
ハロー(하로)[1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어 здравствуйте(즈드라스트부이테)[17]
파일:스페인 멕시코 국기.svg 스페인어 buenos días(부에노스 디아스)[18]
hola(올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어 xin chào(씬 짜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어 buongiorno(부온조르노)[19]
salve(살베)[2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어 สวัสดีครับ(사왓디 캅)
สวัสดีค่ะ(사왓디 카)[21]
파일: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국기.svg 마인어 selamat siang(슬라맛 시앙)[22]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어 сайн байна уу(샘 배 노)[23]
파일:브라질 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어 olá(올라)[24]
viva(비바)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어 السَّلَامُ عَلَيْكُمْ‎(아살라무 알라이쿰)
سَلَام(살람)
مَرْحَبًا(마르하반)
أَهْلًا(아흘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어 merhaba(메르하바)·selam(셀람)
파일:미얀마 국기.svg 버마어 မင်္ဂလာပါ(밍글라바)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어 γεια σας(야 사스)[25]
χαίρετε(헤레테)[26]
파일:인도 국기.svg 힌디어 नमस्ते(나마스테)
नमस्कार(나마스카르)[27]
सलाम(살람)
सत श्री अकाल(사트 슈리 아칼)
파일:케냐 국기.svg 스와힐리어 jambo(잠보)·salaam(살람)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어 kamusta(카무스타)·kumusta(쿠무스타)[28]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어 hej(헤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어 hei(하이)

[1] 출처: 어원이야기(우등생을 위한 103가지).[2] 단 작별인사 형태로는 상대적으로 자주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신문 아카이브를 살펴보면 '안녕히 주무십시오'나 '안녕히 가십시오' 등의 표현이 왕왕 등장한다.[3]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서 활동하는 인력으로, 뇌사자의 장기, 조직 기증에 관여하는 직업이다.[4] 닥터앤닥터 병원일기 36화 Case4코디네이터2 참조.[5] 물론 문상객끼리 서로 인사를 할 때는 해당하지 않는다. 다만 문상객끼리라도 건배는 절대 안 하는 것이 철칙이다.[6] 격식체 낮 인사. 아침 인사는 guten Morgen(구텐 모르겐), 저녁 인사는 guten Abend(구텐 아벤트).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hallo(할로)나 hi(하이)가 주로 쓰인다.[7] 저녁 인사는 bonsoir(봉수아르).[8] 비격식 구어. 보통 전자가 더 유명하다.[9] 격식 표현. 자주 쓰이진 않는다.[10] 영어 hello의 음역으로 일상에서 가볍게 쓰는 말이다. 채팅에서도 많이 쓴다.[11] 격식과 비격식 모두 사용된다.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hey(헤이)가 쓰이기도 한다. howdy(하우디)라고도 한다.[12] 전자보다 좀 더 격식있는 인사.[13] 격식 인사.[14] 점심 인사말. 아침에는 おはようございます(오하요고자이마스), 저녁에는 こんばんは(곤방와)를 사용한다. 비격식 구어로는 잘 안 쓰인다. 일본의 인사말 참조.[15] 비격식. 원래 아침 인사가 맞지만 おはようございます(오하요고자이마스)에 비해 반말이다 보니 시간 관계없이 비격식 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16] 이 역시 영어 hello의 음역으로 일상에서 가볍게 쓴다.[17] 격식체 표현. 자음 연쇄를 피하고자 в(v) 발음을 생략한 [ˈzdrastvʊjtʲe\](здра́ствуйте)와 같이 발음한다. 일상적으로 아침에는 доброе утро(도브로예 우트로), 낮에는 добрый день(도브리 덴), 저녁에는 добрый вечер(도브리 베체르)를 사용한다.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здрасте·здрасьте(즈드라시테)나 здорово(즈도로보), 쁘리비엣으로 알려진 привет(프리베트)가 주로 쓰인다.[18] 격식 아침 인사. 아침 인사는 buenos días(부에노스 디아스), 낮 인사는 buenas tardes(부에나스 타르데스), 밤 인사는 buenas noches(부에나스 노체스)다.[19] /ˌbwɔnˈd͡ʒor.no/. 화자에 따라서 /bonˈd͡ʒor.no/(bongiorno)로 발음하기도 한다.[20]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ciao(차오)가 주로 쓰인다.[21] 캅은 남자가 말할 때, 카는 여자가 말할 때이다. 한국어의 안녕과 같이 비존칭 언어로 쓰일때는 หวัดดี(왓디)라고 한다.[22] 낮 인사. 아침인사는 selamat pagi(슬라맛 파기), 저녁 인사는 selamat sore(슬라맛 소레), 밤 인사는 selamat malam(슬라맛 말람)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저녁 인사를 selamt petang(슬라맛 프탕)이라고 한다.[23] [sʰæ̝ːm pæ̝ːn‿o̙ː\].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сайн уу(새 노)가 주로 쓰인다.[24] 브라질 포르투갈어권에서는 oi(오이)도 사용된다.[25]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야 수(γεια σου)·야(γεια)가 주로 쓰인다. 그 밖에 아침 인사는 칼리메라(καλημέρα), 낮·저녁 인사는 칼리스페라(καλησπέρα), 밤 인사는 칼리니흐타(καληνύχτα).[26] 격식, 고어체[27] [n̪ə.məs̪.käːɾ\]. 화자에 따라서 [n̪ə.məʃ.käːɾ\](나마슈카르)로 발음하기도 한다.[28] 그 밖에 아침 인사는 magandang umaga(마간당 우마가). 점심 인사는 magandang hapon(마간당 하폰). 저녁 인사는 magandang gabi(마간당 가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