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2:58:45

프레더릭 매켄지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준성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후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호주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프레더릭 아서 매켄지
Frederick Arthur MacKenzie
파일:매켄지.jpg
출생 1869년
퀘벡주
사망 1931년 (향년 62세)
퀘벡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기자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소개2. 생애3. 일제의 만행을 알리다4. 저서5. 외부 링크

1. 소개

캐나다 출신의 영국인 기자. 일제의 만행을 널리 알린 공로로 2014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캐나다의 퀘벡 주에서 태어났으며 스스로를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이라 칭했다. 1896년에 갓 생긴 영국의 일간지인 데일리 메일에 입사하였다. 1904년에는 러일전쟁의 취재를 위해 대한제국을 방문하였고, 당시 그는 일본 제국 육군의 종군기자로 활동하였다. 그 뒤에는 러시아 제국의 영토를 거쳐서 영국으로 돌아갔고, 1905년에 그때까지의 기록을 《도쿄에서 티플리스까지 - 검열 받지 않은 편지》라는 저서로 간행하였다.

1906년에 대한제국을 다시 방문하였고, 1907년에는 당시에 있었던, 한국통감부에 의한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 명령에 항의하여 대한제국 각지에서 일어난 정미의병의 활약상을 취재해, 이를 사진으로 남겼다. 이때 외국인임에도 불구, 신변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함에도 산속 깊은 곳에 위치한 의병 아지트로 직접 취재를 갔을 정도로 기자정신이 대단했다고 한다. 그때 목격한 열악한 환경과 무기, 장비로 투쟁하는 의병들을 보고 한국인의 애국심에 감명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쓴 책이 <korea's fight for freedom>이다. 종군기자의 조상 같은 존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mpany_of_Korean_rebels_1907_by_F.A._McKenzie_from_Tragedy_of_Korea_losslessrotate0_35cropped.png
의병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인 사진이다. 이 사진을 촬영한 인물이 바로 매켄지이다.[1]
파일:ecf4fbac636b4b84de1cb19669177fe2.jpg
위의 사진의 실제 배경은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안골길 18번지 삼거리다.

의병 문서에도 있는 이 사진이 바로 매켄지가 당시 조선에서 취재를 하다 만난 의병들을 찍은 사진이다. 1907년 경기도 양근군(오늘날의 양평군) 인근에서 촬영했다.##[2]

3. 일제의 만행을 알리다

같은 해에 출판한 저서 《베일을 벗은 동양》의 부록에서 매켄지는 한국인은 일본의 통치에 반대하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1908년에는 《대한제국의 비극》이라는 책을 집필하여 간행하였다. 1910년부터는 영국의 일간지인 런던 타임스로 이직하여 1914년까지 그곳에서 근무했다. 이후, 일제 강점기를 맞은 한국을 다시 방문하였다.

그동안에 매켄지는 1919년에 당시 한반도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던 3·1 운동을 목격하였고, 특히 그해 4월에 있었던 제암리 학살사건에 주목해, 당시 그 현장을 목격한 캐나다인 선교사인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의 증언을 토대로 일본 제국이 일으킨 학살 사건의 진상을 세간에 폭로하였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1920년에는 《한국의 독립운동》이라는 책을 집필하였다. 1921년에는 미국의 일간지인 데일리 뉴스로 이직하고, 1926년까지 근무하면서 유럽 각국에서 강연을 하였다. 1931년에 캐나다에 있는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고, 이후 2014년에 대한민국 건국 훈장이 추서되었다.

4. 저서

<From Tokyo to Tiflis : uncensored letters from the war> ISBN 0-559-50475-6
<The Unveiled East> ISBN 0-548-03578-4
<Tragedy Of Korea> ISBN 1-901903-09-5
<대한제국의 비극> 옮긴이: 신복룡, 출판사: 집문당, ISBN 89-303-0666-7
<Korea's Fight for Freedom> 전자책 ISBN 1-84664-981-1. 애플계열 전자기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한국의 독립운동> 옮긴이: 신복룡, 출판사: 집문당, ISBN 89-303-0671-3

5. 외부 링크

http://populargusts.blogspot.kr/2008/09/foreign-correspondents-in-korea-during.html


[1] 매켄지가 촬영한 의병 사진은 2장이다. 다른 한장은 참고[2] 기존에는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로 추정되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