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5:50:09

신팔균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군의 위관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29176e> 정위
正尉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육군
陸軍
권중협 | 김형섭 | 민중식 | 사재흡 | 신팔균 | 오의선 | 이세영 | 현덕호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해군
海軍
-
부위
副尉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육군
陸軍
김창환 | 나중소 | 백남규 | 신규식 | 이은 | 이장녕 | 홍충희 | 황학수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해군
海軍
-
참위
參尉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육군
陸軍
남상덕 | 노덕세 | 이복원 | 이준영 | 이충순 | 조성환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해군
海軍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사후 추서
}}}}}}}}}
<colbgcolor=#29176e><colcolor=#fff> 강계진위대 정위
신팔균
申八均 | Sin Palgyun
파일:대한제국군 시절 신팔균.jpg
출생 1882년 5월 19일
한성부 서부 황화방 소정동계
(現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사망 1924년 7월 2일 (향년 42세)
봉천성 흥경현 왕청문 이도구
(現 랴오닝성 푸순시 왕칭문진[1])
사당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826
묘소 서울국립현충원 독립유공자묘역
본관 평산 신씨[2]
직업 군인, 독립운동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f> 배우자 임수명
자녀 3남 1녀
동천(東天, 東川)
상훈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1962년 추서)
군사 경력
임관 육군무관학교 (2기)
복무 대한제국 육군
1902년 ~ 1907년
최종 계급 정위
주요 보직 강계진위대 }}}}}}}}}
1. 개요2. 생애3. 기타4. 비극적인 가족사5. 대중매체6. 참고 자료7. 둘러보기

1. 개요

일제강점기 당시 독립군을 이끈 독립운동가.

2. 생애

1882년 5월 19일 한성부 서부 황화방 소정동계(현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서 한성부판윤을 지낸 신석희(申奭熙)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무관을 지낸 명문가로서 방어사(防禦使)를 지낸 5대조 신대준(申大儁)를 시작으로 고조부 신홍주(申鴻周) 훈련대장, 증조부 신의직(申義直) 부사, 부친 신석희를 비롯하여 특히 조부인 신헌병조판서를 지내고 강화도 조약조선 측 협상대표로 나오기도 하였다.
파일:대한제국군 시절의 신팔균, 신규식.jpg
대한제국군 시절 부위 신규식과 함께 촬영한 사진.

1902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2기로 졸업하고 1903년에 대한제국 육군 참위(오늘날의 소위)로 임관한다. 1907년 일제에 의해 군대가 강제 해산되고 복무가 더 이상 의미없어진 신팔균은 그해 8월 부친의 고향인 충청북도 진천군 이곡면(현 이월면) 노원리[3]로 내려가 이월청년학교(梨月靑年學校)를 설립하여 청소년들에게 민족혼을 일깨워 주고 항일애국사상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또 이때부터 각지에 있는 동지들과 긴밀한 연락을 하며 적극적인 항일운동으로 전환하였으며, 1909년에 대동청년당에 가입해 본격적으로 항일운동에 가담하였다.

1910년에 국권을 침탈당한 이후에는 만주로 이동한다. 서간도에서 신흥무관학교 교관 및 서로군정서에서 활동하면서 독립군을 양성하였고, 1922년 서로군정서, 대한독립단, 광한단 등 무장독립운동 단체들을 통합하여 대한통의부가 설립되고 신팔균은 직할부대 '대한통의부 의용군'의 사령관과 군사위원장을 맡는다.

대한통의부는 국내 진공작전을 계획하여 면사무소와 경찰대를 습격하는 작전을 수차례 수행했다. 당시 일제는 중화민국을 압박하여 독립군들을 대신 처리하고자 하였으나, 중화민국은 독립군을 잡는 데에 별 열의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잡는 시늉을 일부러 내서 독립군들이 피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자 일제는 만주의 마적단을 매수하여 독립군들을 무차별 공격하기 시작했는데, 신팔균도 1924년 7월 2일 독립군의 훈련지인 흥경현 왕청문 이도구(興京縣 旺淸門 二道溝) 밀림 속에서 무관학교 생도와 독립군의 합동군사훈련 중, 중국인 마적단의 기습 공격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도 일본과 끝까지 싸우지 못한 것을 분통해했다고 한다.

3. 기타

김광서, 지석규, 신팔균 세 사람은 조국을 위해 투쟁할 것을 맹세하고 그 맹세의 뜻으로 다같이 천자(天字)가 붙은 별호를 가지게 되었는데, 동천(東天) 신팔균, 경천(擎天) 김광서(金光瑞). 청천(靑天) 지석규(池錫奎)라 했는데, 사람들은 이들을 남만 삼천(南滿 三天)이라고 불렀다.

부인 임수명은 남편을 도와 군자금 조달 등의 역할을 했다. 각자 독립 운동에 기여한 공으로 사후 신팔균에게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고, 임수명에게도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4. 비극적인 가족사

부부 사이엔 장남 신현충, 차남 신현택, 삼남 신현길을 슬하에 두었다. 신팔균이 전사할 당시 부인 임수명은 만삭의 몸으로 베이징에서 남편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전사 소식을 알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염려한 주변 동료들에 의해 경성 친정으로 귀국해 셋방살이를 하게 된다. 이때 유복녀 신계영 출생한다.

결국 남편 신팔균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자 삶의 희망을 잃은 그녀는 갓난아기인 딸 계영과 함께 음독 자살로 남편의 뒤를 따른다. 향년 30세.

5. 대중매체


6. 참고 자료

  • 정상규 저.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 휴먼큐브. 2017년. 76~78p

7. 둘러보기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준성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1] 더 자세한 현 주소는 중국 랴오닝성 푸순시 신빈만주족자치현(新賓滿族自治縣) 얼따오구(二道溝). 왕청문(旺淸門)은 왕칭문진(旺淸門鎭)으로 현재도 남아 있다.[2] 문희공파 32세손 균(均) 규(圭) 노(老) 곤(坤) 항렬.[3] 평산 신씨 집성촌으로, 조부 신헌의 고택이 마을에 남아 있으며, 현재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진천 신헌 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