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강기동 | 구춘선 | 권동진 |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자 | 인옥(仁玉) |
출생 | 1881년 |
경상도 의령현 (현 경상남도 의령군) | |
사망 | 1907년 8월 1일 |
숭례문 | |
직업 | 독립운동가, 군인 |
상훈 | 건국훈장 대통령장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남대문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항전한 인물.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남상덕은 경상도 의령현(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남철희(南哲熙)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1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이후의 성장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일찍이 육군 보병 견습 참위가 되어 대한제국군 시위대 제2연대 제1대대에서 근무했다. 그러던 1907년 8월 1일, 정미 7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었다. 이때 시위대 제1연대 1대장 참령 박승환이 "군대가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가 충성을 다하지 못한다면 만번 죽어도 아깝지 않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권총으로 자결했다. 남상덕은 상관의 자결에 격분해 부하들을 모아놓고 자신의 뜻을 밝혔다.윗 장교가 나라를 위해 죽음으로 의로움을 보였는데 내가 어찌 홀로 살기를 바라겠는가? 마땅히 저 적들과 결사 항전하여 나라의 원수를 갚자!
이후 그는 "함께 싸울 자 누구인가?"라고 부르짖었고, 부하 천여 명이 각기 총칼을 지니고 영문 밖으로 나아가 적을 치고자 했다. 남상덕은 천여 병사들을 이끌고 병영을 나가 일본군을 공격했다. 이에 일본군은 남대문 담장 위에서 기관총을 앞세워 일제히 사격을 가했다. 그러나 남상덕과 시위대 병사들은 굴하지 않고 격전을 벌였고, 일본군 9중대장 가지와라 요시히사(梶原義久) 대위를 비롯한 다수의 일본군 병사들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
그러나 때마침 쏟아지는 폭우 속에서 빈약한 무기와 부족한 탄약을 가지고 백병전을 벌이던 그는 결국 적의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또한 병졸 98명과 장교 7명 역시 전사했다. 나머지 병사들은 일본군에게 붙잡히거나 흩어졌지만, 후에 정미의병에 가담해 전국에서 항일 투쟁을 벌였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