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역대 총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원두우 | 왕길지 | 배유지 | 김필수 | |
<rowcolor=#fff>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
양전백 | 한석진 | 김선두 | 마포삼열 | |
<rowcolor=#fff> 제9회 | 제10회 | 제11회 | 제12회 | |
김익두 | 이기풍 | 김성택 | 함태영 | |
<rowcolor=#fff> 제13회 | 제14회 | 제15회 | 제16회 | |
이자익 | 임택권 | 김석창 | 김영훈 | |
<rowcolor=#fff> 제17회 | 제18회 | 제19회 | 제20회 | |
염봉남 | 차재명 | 홍종필 | 장규명 | |
<rowcolor=#fff> 제21회 | 제22회 | 제23회 | 제24회 | |
남궁혁 | 장홍범 | 이인식 | 정인과 | |
<rowcolor=#fff> 제25회 | 제26회 | 제27회 | 제28회 | |
이승길 | 이문주 | 홍택기 | 윤하영 | |
<rowcolor=#fff> 제29회 | 제30회 | 제31회 | 제32회 | |
곽진근 | 최지화 | 김응순 | 배은희 | |
<rowcolor=#fff> 제33회 | 제34회 | 제35회 | 제36회 | |
이자익 | 이자익 | 최재화 | 권연호 | |
<rowcolor=#fff> 제37회 | 제38회 | 제39회 | 제40회 | |
김재석 | 명신흥 | 이원형 | 한경직 | |
<rowcolor=#fff> 제41회 | 제42회 | 제43회 | 제44회 | |
이대영 | 전필순 | 노진현 | 이창규 | |
<rowcolor=#fff> 제45회 | 제46회 | 제47회 | 제48회 | |
유재한 | 나덕환 | 이기혁 | 강신명 | |
<rowcolor=#fff> 제49회 | 제50회 | 제51회 | 제52회 | |
김형모 | 김세진 | 김광현 | 김윤식 | |
<rowcolor=#fff> 제53회 | 제54회 | 제55회 | 제56회 | |
최거덕 | 안광국 | 신후식 | 방지일 | |
<rowcolor=#fff> 제57회 | 제58회 | 제59회 | 제60회 | |
김종대 | 유호준 | 이상근 | 한완석 | |
<rowcolor=#fff> 제61회 | 제62회 | 제63회 | 제64회 | |
김만제 | 임택진 | 김두봉 | 조원곤 | |
<rowcolor=#fff> 제65회 | 제66회 | 제67회 | 제68회 | |
박치순 | 고현봉 | 안경운 | 림인식 | |
<rowcolor=#fff> 제69회 | 제70회 | 제71회 | 제72회 | |
박종렬 | 이종성 | 장동진 | 김형태 | |
<rowcolor=#fff> 제73회 | 제74회 | 제75회 | 제76회 | |
임옥 | 박맹술 | 남정규 | 김윤식 | |
<rowcolor=#fff> 제77회 | 제78회 | 제79회 | 제80회 | |
한영제 | 김창인 | 김기수 | 정복량 | |
<rowcolor=#fff> 제81회 | 제82회 | 제83회 | 제84회 | |
박종순 | 민병억 | 유의웅 | 이규호 | |
<rowcolor=#fff> 제85회 | 제86회 | 제87회 | 제88회 | |
박정식 | 최병두 | 최병곤 | 김순곤 | |
<rowcolor=#fff> 제89회 | 제90회 | 제91회 | 제92회 | |
김태범 | 안영로 | 이광선 | 김영태 | |
<rowcolor=#fff> 제93회 | 제94회 | 제95회 | 제96회 | |
김삼환 | 지용수 | 김정서 | 박위근 | |
<rowcolor=#fff> 제97회 | 제98회 | 제99회 | 제100회 | |
손달익 | 김동엽 | 정영택 | 채영남 | |
<rowcolor=#fff> 제101회 | 제102회 | 제103회 | 제104회 | |
이성희 | 최기학 | 림형석 | 김태영 | |
<rowcolor=#fff> 제105회 | 제106회 | 제107회 | 제108회 | |
신정호 | 류영모 | 이순창 | 김의식 | |
<rowcolor=#fff> 제109회 | ||||
김영걸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역대 총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호러스 언더우드 | 겔슨 엥겔 | 유진 벨 | 김필수 | |
<rowcolor=#fff>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
양전백 | 한석진 | 김선두 | 마포삼열 | |
<rowcolor=#fff> 제9회 | 제10회 | 제11회 | 제12회 | |
김익두 | 이기풍 | 김성택 | 함태영 | |
<rowcolor=#fff> 제13회 | 제14회 | 제15회 | 제16회 | |
이자익 | 임택권 | 김석창 | 김영훈 | |
<rowcolor=#fff> 제17회 | 제18회 | 제19회 | 제20회 | |
염봉남 | 차재명 | 홍종필 | 장규명 | |
<rowcolor=#fff> 제21회 | 제22회 | 제23회 | 제24회 | |
남궁혁 | 장홍범 | 이인식 | 정인과 | |
<rowcolor=#fff> 제25회 | 제26회 | 제27회 | 제28회 | |
이승길 | 이문주 | 홍택기 | 윤하영 | |
<rowcolor=#fff> 제29회 | 제30회 | 제31회 | 제32회 | |
곽진근 | 최지화 | 김응순 | 배은회 | |
<rowcolor=#fff> 제33회 | 제34회 | 제35회 | 제36회 | |
이자익 | 이자익 | 최재화 | 권연호 | |
<rowcolor=#fff> 제37회 | 제38회 | 제39회 | 제40회 | |
김재석 | 명신흥 | 이원형 | 한경직 | |
<rowcolor=#fff> 제41회 | 제42회 | 제43회 | 제44회 | |
이대영 | 전필순 | 노진현 | 양화석 | |
<rowcolor=#fff> 제45회 | 제46회 | 제47회 | 제48회 | |
고성모 | 한상동 | 이환수 | 이수현 | |
<rowcolor=#fff> 제49회 | 제50회 | 제51회 | 제52회 | |
김윤찬 | 정규오 | 박찬목 | 김윤찬 | |
<rowcolor=#fff> 제53회 | 제54회 | 제55회 | 제56회 | |
손계웅 | 문재구 | 김창인 | 정규선 | |
<rowcolor=#fff> 제57회 | 제58회 | 제59회 | 제60회 | |
박성겸 | 박요한 | 최동진 | 장성칠 | |
<rowcolor=#fff> 제61회 | 제62회 | 제63회 | 제64회 | |
황금천 | 이기하 | 한병기 | 한석지 | |
<rowcolor=#fff> 제65회 | 제66회 | 제67회 | 제68회 | |
이영수 | 최성원 | 김현중 | 배재운 | |
<rowcolor=#fff> 제69회 | 제70회 | 제71회 | 제72회 | |
최훈 | 박명수 | 안중섭 | 김길현 | |
<rowcolor=#fff> 제73회 | 제74회 | 제75회 | 제76회 | |
이성헌 | 이성택 | 유인식 | 이봉학 | |
<rowcolor=#fff> 제77회 | 제78회 | 제79회 | 제80회 | |
이삼성 | 최기채 | 김덕신 | 정석홍 | |
<rowcolor=#fff> 제81회 | 제82회 | 제83회 | 제84회 | |
김준규 | 신세원 | 길자연 | 김도빈 | |
<rowcolor=#fff> 제85회 | 제86회 | 제87회 | 제88회 | |
김동권 | 예종탁 | 한명수 | 임태득 | |
<rowcolor=#fff> 제89회 | 제90회 | 제91회 | 제92회 | |
서기행 | 황승기 | 장차남 | 김용실 | |
<rowcolor=#fff> 제93회 | 제94회 | 제95회 | 제96회 | |
최병남 | 서정배 | 김삼봉 | 이기창 | |
<rowcolor=#fff> 제97회 | 제98회 | 제99회 | 제100회 | |
정준모 | 안명환 | 백남선 | 박무용 | |
<rowcolor=#fff> 제101회 | 제102회 | 제103회 | 제104회 | |
김선규 | 전계헌 | 이승희 | 김종준 | |
<rowcolor=#fff> 제105회 | 제106회 | 제107회 | 제108회 | |
소강석 | 배광식 | 권순웅 | 오정호 | |
<rowcolor=#fff> 제109회 | ||||
김종혁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한국기독교장로회 역대 총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원두우 | 왕길지 | 배유지 | 김필수 | |
<rowcolor=#fff>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
양전백 | 한석진 | 김선두 | 마포삼열 | |
<rowcolor=#fff> 제9회 | 제10회 | 제11회 | 제12회 | |
김익두 | 이기풍 | 김성택 | 함태영 | |
<rowcolor=#fff> 제13회 | 제14회 | 제15회 | 제16회 | |
이자익 | 임택권 | 김석창 | 김영훈 | |
<rowcolor=#fff> 제17회 | 제18회 | 제19회 | 제20회 | |
염봉남 | 차재명 | 홍종필 | 장규명 | |
<rowcolor=#fff> 제21회 | 제22회 | 제23회 | 제24회 | |
남궁혁 | 장홍범 | 이인식 | 정인과 | |
<rowcolor=#fff> 제25회 | 제26회 | 제27회 | 제28회 | |
이승길 | 이문주 | 홍택기 | 윤하영 | |
<rowcolor=#fff> 제29회 | 제30회 | 제31회 | 제32회 | |
곽진근 | 최지화 | 김응순 | 배은희 | |
<rowcolor=#fff> 제33회 | 제34회 | 제35회 | 제36회 | |
이자익 | 이자익 | 최재화 | 권연호 | |
<rowcolor=#fff> 제37회 | 제38회 | 제39회 | 제40회 | |
김재석 | 김세열 | 박용희 | 박용희 | |
<rowcolor=#fff> 제41회 | 제42회 | 제43회 | 제44회 | |
함태영 | 구연직 | 이남규 | 강홍수 | |
<rowcolor=#fff> 제45회 | 제46회 | 제47회 | 제48회 | |
길진경 | 조승제 | 정규태 | 장하원 | |
<rowcolor=#fff> 제49회 | 제50회 | 제51회 | 제52회 | |
이해영 | 김재준 | 강원용 | 최문환 | |
<rowcolor=#fff> 제53회 | 제54회 | 제55회 | 제56회 | |
서정태 | 배성근 | 황희섭 | 조향록 | |
<rowcolor=#fff> 제57회 | 제58회 | 제59회 | 제60회 | |
박재석 | 이준묵 | 인광식 | 은명기 | |
<rowcolor=#fff> 제61회 | 제62회 | 제63회 | 제64회 | |
권영진 | 조덕현 | 윤재현 | 이국선 | |
<rowcolor=#fff> 제65회 | 제66회 | 제67회 | 제68회 | |
강신정 | 박형규 | 강명찬 | 송상규 | |
<rowcolor=#fff> 제69회 | 제70회 | 제71회 | 제72회 | |
이영찬 | 한상면 | 유병찬 | 기원형 | |
<rowcolor=#fff> 제73회 | 제74회 | 제75회 | 제76회 | |
박봉향 | 윤기석 | 최희섭 | 김수배 | |
<rowcolor=#fff> 제77회 | 제78회 | 제79회 | 제80회 | |
이쾌재 | 김정현 | 배야섭 | 유재천 | |
<rowcolor=#fff> 제81회 | 제82회 | 제83회 | 제84회 | |
백형기 | 서정래 | 강만원 | 이중표 | |
<rowcolor=#fff> 제85회 | 제86회 | 제87회 | 제88회 | |
김경식 | 윤기석 | 전병금 | 김옥남 | |
<rowcolor=#fff> 제89회 | 제90회 | 제91회 | 제92회 | |
김동원 | 박원근 | 양태윤 | 임명규 | |
<rowcolor=#fff> 제93회 | 제94회 | 제95회 | 제96회 | |
서재일 | 김현배 | 김종성 | 유정성 | |
<rowcolor=#fff> 제97회 | 제98회 | 제99회 | 제100회 | |
나홍규 | 박동일 | 황용대 | 최부옥 | |
<rowcolor=#fff> 제101회 | 제102회 | 제103회 | 제104회 | |
권오륜 | 윤세관 | 김충섭 | 육순종 | |
<rowcolor=#fff> 제105회 | 제106회 | 제107회 | 제108회 | |
이건희 | 김은경 | 강연홍 | 전상건 | |
<rowcolor=#fff> 제109회 | ||||
박상규 | }}}}}}}}}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강기동 | 구춘선 | 권동진 |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여운형 | |||
여천민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 |
<colcolor=#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권동진 | 권병덕 | 길선주 | 김병조 | 김완규 | 김창준(北) | 나용환 | 나인협 | 박동완 | 박준승 | 박희도(日) |
백용성 | 손병희 | 신석구 | 신홍식 | 양전백 | 양한묵 | 오세창 | 오화영 | 유여대 | 이갑성 | 이명룡 | |
이승훈 | 이종일 | 이종훈 | 이필주 | 임예환 | 정춘수(日) | 최린(日) | 최성모 | 한용운 | 홍기조 | 홍병기 | |
※ (北): 월북, (日): 친일반민족행위자 | }}}}}}}}}}}} |
<colbgcolor=#0047a0> 본명 | 양 섭 (梁 燮) |
자 / 호 | 전백(甸伯) / 격헌(格軒) |
본관 | 남원 양씨 (南原 梁氏) [1] |
출생 | 1869년(고종6) 3월 10일 |
평안도 의주부 고군면 상고동 # (現 평안북도 피현군 상고리) | |
사망 | 1933년 1월 17일 (향년 62세) |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면 천북동 (現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읍) | |
부모 | 아버지 양형식(梁亨湜)[2] 어머니 수원 백씨 (水原 白氏) |
배우자 | 아내 밀양 박씨(密陽 朴氏) [3] |
자녀 | 아들 양윤석(梁允錫)[4], 양윤직(梁允直) 딸 양윤성(梁允聖), 양윤화(梁允華), 양윤정(梁允貞), 양윤숙(梁允淑), 양윤도(梁允道) |
묘소 |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읍 월천동(越川洞)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직업 | 독립운동가, 목사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장로회 목사.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2.1. 초년기
양전백이 사망한 직후에 평양 장로회신학교 기관지 <신학지남>이 1933년 3월 게재한 '약력'에 따르면, 양전백은 1870년 3월 10일 평안도 의주부 고군면 상고동(現 평안북도 피현군 상고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또한 일제 경찰이 4월 25일 양전백을 신문한 내용을 기록한 <양전백 신문조서>에 따르면, 양전백 본인은 자신이 50세라고 밝혔다고 한다. 이로 볼때 그가 태어난 년도는 1870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어느 때에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면 천북동(現 선천군 선천읍)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양전백은 눌재(訥齋) 문양공(文襄公) 양성지의 21세손으로 양반 가문의 후예였다. 그는 어렸을 때 증조부 슬하에서 한학을 수학했지만 9살 때 가세가 기울자 의주부 관리방 관리동(現 평안북도 피현군 하단리)으로 이사갔고 쇠락한 가문을 일으키기 위해 과거 준비에 정진해 15세에 이르러서는 시와 문장에 능하다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가세가 더욱 몰락하자, 그는 가족과 함께 구성도호부 천마면 조악동(現 평안북도 천마군 신흥리)으로 다시 이사가야 했다. 그곳에서 그는 과거를 보는 걸 포기하고 동네 아이들에게 한문을 가르치는 서당 훈장 노릇을 해 생계를 유지했다.
2.2. 기독교 입교
1888년, 양전백은 19세의 나이에 홀연히 서당 훈장을 그만두고 집을 떠나 각지를 유랑했다. 그는 의주군 송장면에 거주하던 유학자 이정로(李梃魯)의 문하에 들어갔고, 이듬해 집으로 돌아와 박영신(朴永信)과 결혼했다. 그는 다시 서당 훈장을 하며 생계를 꾸리면서도 한편으로는 유교 경전을 연구했다. 그로부터 3년 후인 1892년, 존 로스 목사의 한글 성경 번역에 참여한 의주 상인 백흥준(白鴻俊)의 사위인 김관근(金灌根)이 양전백을 선생으로 초빙해 마을 사람들에게 글을 가르치게 했다. 김관근은 양전백의 언행을 유심히 지켜보다가 그를 마음에 들어하며 양전백에게 기독교의 복음을 전했다.그러나 확고한 유학자였던 양전백은 쉽사리 기독교 교리에 감화되지 않았다. 이에 김관근은 1892년 9월에 다시 찾아와 노잣돈을 댈 테니 함께 서울 여행을 하자고 제안했다. 양전백이 동의하자, 김관근은 그를 서울 정동교회에서 열리고 있던 장로교회의 도사경회(都査經會)로 데리고 갔다. 성경과 기독교 교리를 공부하는 도사경회는 서울과 평안도, 황해도 일대의 교인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얼떨결에 도사경회에 참석한 양전백은 모임에 나가며 기독교와 서구사상을 접했다.
도사경회를 마치고 구성으로 돌아온 양전백은 김관근의 아버지 김이련이 주선해 사기면 신시에 세운 학당의 교사로 초빙되어 한문과 함께 한글과 성경을 가르쳤다. 그리고 일요일에는 교인과 학생 수십명과 더불어 학당에서 주일예배를 드렸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유학을 신봉했고 기독교는 부차적인 학문으로 여겼다. 그러던 1894년 12월 청일전쟁으로 인해 평안도 일대가 전쟁터로 변하면서 학당 운영이 불가능해지자, 그는 집을 떠나 서울로 향했다.
서울로 상경한 양전백은 사무엘 A. 마펫 선교사를 만나 대화를 나누고 비로소 기독교 교리에 감화되었다. 1895년, 그는 마펫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고 기독교에 귀의했다. 마펫 선교사는 북장로교 선교본부에 보고서를 보내면서 양전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학식이 있어서 아는 것이 많고 누구도 추종하기 어려울 정도로 으뜸이 될 것이다. 그는 이미 성경을 많이 읽고 신앙심이 깊으므로 곧 세례를 주었다.
이후 양전백은 집을 처분해 4백냥을 마련하고 그레엄 리 선교사가 보낸 보조금 2백여 냥을 더해 초가 6칸을 사들인 후 수리해서 예배당으로 만들고 김관근을 조사로 세워 신시교회를 설립했다. 그리고 평양에 있던 마펫 선교사를 찾아가 권서(勸書) 직책을 받고, 평안도 일대를 돌아다니며 복음서와 전도문서를 팔면서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2.3. 목회 활동 및 계몽 운동
1896년 12월, 양전백은 평양에 새로 부임한 노먼 C. 휘트모아 선교사의 조사가 되었다. 이후 그는 휘트모어 선교사와 함께 선천에 거점을 마련하고 평안북도 일대를 순회하며 교회를 설립했다. 그는 선천에서 집에서 예배를 드리던 교인들을 규합해 1897년 가을 선천읍교회를 설립했다. 그가 이렇듯 각지를 돌며 전도에 힘쓴 결과, 1899년 무렵 평안 북도 일대에 26개 장로교회에 세례교인 202명으로 늘어났다.양전백은 교육사업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는 1900년 선천 유지와 교인들의 기부금을 받아내 이를 바탕 삼아 초등교육기관으로 명신학교(明信學校)를 설립했다. 창립 당시 12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명신학교는 1901년 부속 여자소학교를 설립하며 점차 교세를 확장했다.
1902년 2월, 양전백은 선천읍 장로로서 안수를 받았고 이듬해 장로회공의회의 결의로 평양에서 개교한 장로회신학교의 신학생으로 추천을 받아 목회자가 되기 위한 신학 수업을 받았다. 이 무렵 러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평안북도 일대의 교회들이 러시아군과 일본군의 막사 또는 병원으로 징발되거나 파괴되는 상황이 벌어지자, 양전백은 약소민족의 설움을 느끼며 민중계몽운동을 본격적으로 벌이기로 결심했다.
1906년, 양전백은 선천읍교회 교인들과 함께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를 설립했다. 초기에 선천읍교회의 공간을 빌려 26명의 학생에 6인의 교사진으로 출발한 신성중학교는 1909년 북장로회 선교부에서 미국 독지가의 기부금을 받아 교사와 기숙사를 신축하고 학교의 경영권을 넘겨 받음으로써 미션 스쿨로 개편되었다. 이곳에서 배출된 독립운동가들은 백낙준[5], 이대위, 계병호, 박형룡, 김선량, 김양선, 장준하, 계훈제 등이 있다. 또한 양전백은 1907년 보성여학교(保聖女學校)를 설립하여 여성지도자를 길러내는 교육에도 힘을 쏟았고, 미국 교포들이 보내온 성금으로 1908년 대동고아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1907년 6월, 양전백은 길선주, 방기창, 서경조, 송린서, 이기풍, 한석진과 함께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했다. 이들 7명은 석달 뒤 대한예수장로회 독립노회가 조직되었을 때 모사 안수를 받고 한국 장로교회의 초대 목사가 되었다. 그는 목사 안수를 받은 뒤 평안북도와 남만주 일대를 순행하는 목사로서 2년간 시무했고 1909년 선천읍교회의 담임목사로 부임했다.
2.4. 105인 사건
한일병합 후, 일제는 1910년 가을 양전백, 이상재, 최병현 등 한국 내 기독교 각 교파의 명망있는 교역자 17인을 초청해 일본으로 보내 시찰하게 했다. 이는 일제의 발전된 문물을 보여줌으로서 그들을 회유 및 포섭하려는 의도였지만, 양전백은 시찰에서 돌아온 뒤 신도들에게 “영국이 100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을 일본이 30년만에 이루었다면 한국인이 이를 10년에 이루지 말라는 법이 있느냐”며 종교 도덕의 각성과 각종 사업에 힘쓸 것을 격려했다.회유가 먹히지 않자, 일제는 1911년 10월 데라우치 총독 모살 미수 사건을 조작해 신민회에 가담한 인사 및 기독교계 인사들을 모조리 체포했다. 이때 양전백 또한 선천 신성중학교의 학생 및 교사들과 함께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었다. 이 사건에 연루된 이들은 모두 389명이었는데, 이 중 양전백을 포함한 123명이 경무총감부에 의해 정식 기소되었다. 그는 일제 관헌에게 심한 고문을 받았지만 끝까지 저항 의지를 꺽지 않았다.
양전백은 1912년 9월 2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 이에 그는 자신처럼 유죄를 받은 104명의 인사들과 함께 복심법원에 항소했고, 경성복심법원은 1913년 3월 20일 윤치호, 양기탁, 임치정, 이승훈, 안태국, 옥관빈 등 6인을 제외한 99인이 무죄 방면되었다. 이렇게 무죄로 풀려나 다시 신성중학교 교단에 선 양전백은 사표를 제출하며 자신의 죄를 고백했다.
나는 이제 교직을 그만두어야 되겠습니다. 연약한 육신을 가진 나는 재감 중 고문을 이기지 못하여 하지 않은 일을 하였다고 이 입으로 거짓말을 하였으니, 주의 교단에 설 수 없는 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사면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후 1914년 평북노회장에 피선되었으며 1916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의 제 5대 총회장에 선출되면서 전국의 장로교회를 대표하는 지도자로 떠올랐다.
2.5. 3.1 운동
1919년 2월 6일,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된 신한청년당의 간부 선우혁이 양전백을 찾아왔다. 그는 양전백에게 신한청년당이 파리강화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알리면서 독립운동 자금의 모금을 부탁했다. 양전백은 취지엔 공감했지만 당장은 경찰의 단속이 심해 모금이 어려우니 일단 압록강 건너 만주 안동현에 가 있으라고 답했다.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을 단행했다. 이 소식이 국내에 전해지자, 천도교의 최남선은 선천 사경회에 참석하고 있던 이승훈에게 편지를 보내 기독교계와 교섭할 것이 있으니 급히 서울로 상경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승훈은 그 말에 따라 2월 11일 서울로 올라와서 2월 11일 서울 계동 김성수의 거처에서 송진우와 만나 천도교와 기독교가 힘을 합쳐 독립선언을 해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는 이를 흔쾌히 수락했다. 이후 이승훈은 선천으로 돌아온 뒤 양전백의 집에서 양전백, 유여대, 김병조, 이명룡 등을 불러 거사에 동참할 것을 권고해 모두의 동의를 받아냈다.
양전백은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로 마음을 굳히고 평양에서 열린 교회 집회에서 함태영을 만나 그에게 일본 정부와 제국의회, 조선총독부에 보낼 문서에 날인할 도장을 맡겼다. 그가 나중에 일제 경찰의 심문을 받을 때 밝힌 바에 따르면, 당초 그는 독립운동의 방식으로 독립선언이 아닌 독립청원을 생각했고 거사 직전까지 제1진으로 50명이 독립청원서를 내고, 그 사람들이 체포되면 다음으로 제2진, 제3진이 나서 다시 독립청원을 하는 것인 줄 알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2월 23일 밤 남대문밖교회 함태영 조사의 사택에서 열린 제2차 장·감 지도자 연석회의에서 독립운동의 일원화를 위해 독립선언서의 발표를 주장하는 천도교측의 의견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함으로써 방침이 독립청원이 아닌 독립선언으로 굳어졌다.
양전백은 거사일이 3월 1일로 정해졌으니 상경해달라는 이승훈의 연락을 받고 그 전날인 2월 28일 밤 서울 남대문역에 도착하여 근처 여관에서 하룻밤을 유숙한 뒤 3월 1일 오전 10시에 함태영의 사택을 방문해 비로소 독립 청원이 아닌 독립선언으로 방침이 변경된 사실을 파악하고 독립선언식이 열리는 종로 인사동의 명월관지점 태화관으로 향했다. 그리고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거행된 독립선언식에 참석했다가 출동한 순사들에게 체포되어 경무총관으로 연행되었다.
이후 양전백은 1920년 10월 1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구형받았고 1920년 10월 30일 결심공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상소를 포기했다. 이후 그는 마포 공덕리 경성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1921년 11월 4일 만기 출옥했다.
2.6. 선대 직계도(直系圖)
조부 양혜원(梁惠源) [6] (생년 미상~1847.04.10) / 배위 강릉 김씨(江陵 金氏) (생년 미상~몰년 미상)2.7. 이후의 경력
양전백은 출옥 후 선천북교회의 담임목사로서 목회활동을 재개했다. 그는 1917년 인가 취소를 당해 서당으로서 명맥을 유지하던 명신학교의 재건에 착수해 1923년 반양식 교사를 신축하고 이듬해 9월 6년제 보통학교로서 인가를 받았다. 그리고 유지들의 기부를 통해 자금을 모아 1926년 재단법인 허가를 얻어냈다.이후 양전백은 1927년부터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를 편찬하는 책임을 맡아 서울의 피어선성경학원에 머물며 교회사 자료를 수집해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의 집필 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그는 도중에 병을 얻어 작업을 중단하고 선천으로 돌아와 요양 생활을 하다가 1933년 1월 17일 선천 천북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향년 64세.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양전백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