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2:59:58

모리스 윌리엄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준성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후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호주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모리스 윌리엄 패리시
Maurice William Parish
파일:모리스 윌리엄.jpg
한국 이름 고운기(高雲驥)
출생 1890년 12월 29일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사망 1980년 1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약력 중국의료원조 미국 사무국 부회장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인. 195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 생애

윌리엄은 1890년 12월 29일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애들레이드의 부농이었고, 윌리엄이 4살일 때 머레이 브리지로 이사했다. 윌리엄은 건축 도급업자로 근무하다가 1914년 모빌롱 지역구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15년 주 선거에서 통합노동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면서 머레이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당시 24살로 최연소 의원이었다.

그러나 1917년 노동당이 분열하자 노동당을 탈당하고 국민당에 입당했고, 1918년 선거에서 국민당이 보수자유연합당과 연합해 후보를 선출할 때 제외된 것에 반발해 국민당을 탈당하고 선거에 도전했지만 낙선했다. 이후 10년간 정계를 떠났던 그는 1929년에 노동당에 재입당했고, 1934년 머레이 밸리 스탠더드 신문사를 설립했으며, 1947년부터 신문에 자신의 정기 칼럼을 기재했다.

1942년 미국을 방문한 윌리엄은 그해 3월 1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국독립선언기념 축하회'에 참석해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지, 격려하는 연설을 발표했다.
나는 지금 일본·이태리·독일이 무너지고 침략당한 국민이 자유를 되찾을 날이 오늘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내가 말하는 자유는 모든 나라에 대한 자유입니다 (중략) 세계는 한국에 대해서 불의를 저질렀습니다. 우리가 20세기의 국제문제를 연구하면 한국을 지적할 수 있으며, 세계는 대한민국에 큰 죄를 저질렀고 용서를 빌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한미협회 전국위원회 위원이 된 그는 뉴욕에서 '한국의 날' 행사를 기획하여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이승만의 중재로 재미한족연합위원회로부터 300달러의 선전비를 지원받고 5월 27일 행사를 개최했다. 또한 7월 19일 로스엔젤레스 재미한족연합회 집행부가 주최한 한영회에 참석해 대미 선전의 필요를 역설했으며, 8월 9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쑨원 동상 헌화식 이후에 열린 환영회에도 참여해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내용의 연설을 발표했다.
나는 이번 도처에 한인 친구를 만난 것을 기뻐합니다. 한국은 28개 동맹국의 하나인 즉 한인이 원하는 독립 목적은 우리의 목적과 동일하고 위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입장에서 동일 전선에 나서는 것이올시다. 만일 누구나 이 동일한 목적에 합동하지 않고 반대하는 자는 반역자로 볼 수 있습니다.

8.15 광복 후인 1948년 2월 21일 한국을 한국을 방문한 윌리엄은 한국의 독립을 지지하고 지원해준 귀한 손님으로서 국빈의 예우를 받았다. 이때 그는 고운기(高雲驥)라는 한국식 이름을 사용했다. 또한 1950년 3월 1일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캔버라로 이주한 그는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1980년 1월 17일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