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16:10:09

이사벨라 멘지스

대한민국의 외국인 독립유공자
본적이 외국으로 되어있는 인물 (공훈전자사료관 기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훼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러시아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사벨라 멘지스
Isabella Menzies
파일:이사벨라 멘지스.jpg
출생 1856년 7월 30일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발라렛
사망 1935년 9월 10일 (향년 79세)
종교 개신교 (장로회 / 빅토리아 장로회)[1]
서훈 건국포장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호주장로회 선교사이자 대한민국독립유공자. 2022년 건국포장을 수여받았다.

2. 생애

1856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서 태어난 그녀는 지역 교회를 꾸준히 다녔다고 하며 이후 사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고 한다. 이후 교회에서 활동하던중 여전도회연합회[2]에서 한국으로 파송될 선교사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보고 1891년 9월 부산지역으로 파견되었고, 1891년 10월 12일 부산에 도착하여 선교 활동을 펼치고 1893년 부산에 미오라고아원을 설립하는등 활발한 활동을 하였지만 개인 사정으로 1908년 선교사직을 사임하고 고국으로 돌아가였다.

1912년 다시 귀국하여 선교와 교육사업, 자선사업에 힘썼다. 1919년 3월 3.1 운동이 일어나자 학생들을 독려하며 응원하였고 학생들을 보호하려 노력하였다. 이후 일제에 취조를 받았지만 직접적으로 위해는 가해지지 않았고 1924년 은퇴하여 고국으로 돌아가 1935년 향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 출처[2] Presbyterian Women's Missionary Union (PW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