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17:12:10

곽재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유시태 이원대 이원기 윤병구
유석현 정율성불확실 문시환 이춘암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
파일:곽재기 선생.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김광삼(金光三)·김재만(金在萬)·곽경(郭儆)·정재기[1]
경(敬)
본관 현풍 곽씨[2]
출생 1893년 2월 7일
충청도 청주목 서강외일하면 상봉리
(현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상봉리)
사망 1952년 1월 10일 (향년 58세)
충청북도 괴산군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48호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
2.1. 초년기2.2. 의열단원으로서2.3. 흑역사2.4. 그 뒤
3. 후손4.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의열단을 조직한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2.1. 초년기

곽재기는 1893년 2월 7일 충청도 청주목 서강외일하면 상봉리(현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상봉리)에서 아버지 곽신엽(郭信燁, 1858 ~ ?)과 어머니 이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3] 이후 큰아버지 곽지엽(郭芝燁, 1855 ~ ?)에 입양되었으며, 파평 윤씨 윤태근(尹泰根, 1892 ~ 1932. 9. 22)[4]과 혼인하여 슬하에 곽호현(郭顥鉉), 곽수현(郭壽鉉) 등 두 아들을 두었다.

그는 1909년 항일비밀결사 대동청년당에 당원으로 가입하면서부터 독립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1910년에는 상경하여 한성부 경신학교를 다녔다. 그리고 경신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귀향하여 청남학교(현 청남초등학교)의 교사로 근무했다.

2.2. 의열단원으로서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동지들과 태극기를 제작하여 만세운동에 참가하였고, 이에 체포되었으나 3월 31일 청주지방법원 검사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처분받고 풀려났다.

그러나 평화적인 독립운동 방식에 한계를 느낀 그는 그해 7월 동지 김기득·윤세주·황상규 등과 함께 길림성 연길도(延吉道) 동녕현(東寧縣) 수분하(綏芬河)[5]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김원봉·이성우(李誠宇) 등을 만나게 되었고, 11월 9일에 의열단이 조직되자 단원으로 가입하였다.

의열단 조직 후 제1차 거사계획은 폭탄으로써 일제의 고관을 처단하고, 조선총독부·동양척식주식회사·경성일보사(京城日報社) 등의 일제 주요기관을 파괴하여 전국의 인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결정하였기에 황상규가 길림성 길림현(吉林縣)에서 폭탄의 제조방법을 배우는 동안 곽재기는 김기득과 함께 상하이로 가서 폭탄구입에 힘썼으나 자금 관계로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길림현으로 돌아왔다.

길림으로 돌아온 후 자금 조달에 노력하다가 이성우와 함께 다시 상하이로 가서 1920년 3월 폭탄 3개와 이에 필요한 약품을 구입한 다음 동지 조현상(趙賢尙)과 운반 방법을 의논하고 임시정부 외무차장 장건상에게 의뢰하였다. 장건상은 이것을 우편으로 봉천성 흥봉도(興鳳道) 안동현(安東縣) 세관에 있는 영국인 's.포인'에게 발송하였다. 그는 즉시 안동현으로 와서 소포를 찾은 뒤 그곳에서 황상규·윤세주와 상의하고 동지인 이낙준(李洛俊)의 손을 거쳐 경상남도 밀양청년단장 김병환(金鉼煥)에게 보냈다.

그리고 경성부에 잠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보내온 폭탄 13개를 만들 수 있는 탄피·약품·부속품 등과 미국제 권총 2정 및 탄환 100발을 받은 다음 짐짝을 만들어 경성부 천보상회(天寶商會)의 손을 거쳐 운동점에서 경상남도 밀양군으로 부쳐 김병환의 집에 감추었다. 그해 6월 경성부에서 동지들과 날마다 처소를 바꾸면서 조선총독부·동양척식주식회사·경성일보사 등을 폭파하고자 그 정황을 밀탐하던 중 경기도경찰부(京畿道警察部) 경부 김태석의 밀정 김진규(金珍奎)에 의해 이 사실이 탐지되었고, 6월 16일 이성우·윤세주 등이 경성에서 체포되었으며 그 또한 부산의 복성여관에 은신해있다가 체포되는 등 동지 6명과 함께 끝내 체포되어 경상남도 경찰부로 이송, 그곳에서 극심한 취조를 받고 31일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으로 송치되었다.

1921년 6월 7일 경성지방법원 나가시마 무사시(永島武藏) 예심판사에 의해 예심이 종결되어 재판이 열렸는데 붙잡힌 곽재기는 흰 두루마기와 금테안경을 쓰고 재판 내내 웃으면서 당당하게 임했다고 전해진다. 예심에서 검사는 징역 10년을 구형하였으며 6월 2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토 준키치(伊藤淳吉) 재판장에 의해 소위 폭발물취체벌칙 위반 혐의로 징역 8년형(미결 구류일 수 중 200일 본형에 산입)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그 뒤 6년을 복역하고 1927년 1월 22일 출옥하였다.
파일:곽재기 출소.png
왼쪽부터 차례로 양아버지 곽지엽, 아들, 곽재기, 양어머니 연안 차씨

출옥 후 러시아 모스크바로 망명하여 3년간 에스페란토를 연구하고 귀국하여 한동안 청주 시내 김현태(金顯泰)의 집에서 강습소를 운영하기도 했다. 하지만 옥중에서 고문 후유증 등으로 얻은 정신이상 증세로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웠고 이내 문을 닫았다. 이후에는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으로 이주하였다. 1932년 3월 2일 충청남도 공주부 영명여학교에 기숙사에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격문이 뿌려진 이른바 '공주 반제격문살포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에 연루되어 충청남도 경찰부에 송치되기도 하였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2

2.3. 흑역사

한편, 이 시기를 전후하여 그의 정신이상 증세는 점점 심해져 같이 사는 아내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곽재기[6]는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신동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안리 섭골)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자신의 정신이상 증세 등을 이유로 아내 윤태근(尹泰根)에게 이혼을 지속적으로 강요하였고 아내가 말을 듣지 않자 구타를 일삼았던 것이다. 이러한 일상은 나날이 더 심해졌고, 윤태근은 당초 친가인 연기군 전의면에 가서 별거하였으나 그럼에도 남편인 곽재기의 이혼 강요는 끊이질 않았다.

결국 윤태근은 자기 남편이 본심이 아닌 정신이상 증세로 그런 것을 감안하여 이혼수속을 밟기는 했지만, 슬하에 아들이 2명이 있기에 남편과의 재결합만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던 터였다.

그러던 중 그해 9월 21일 곽재기 부친의 대상제(大祥祭:죽은 지 3년째 되는 날하는 제사)가 있었던 날, 윤태근은 아무리 이혼을 했다하더라도 시아버지의 대상제이고 본인이 가서 준비를 하지 않으면 제사를 치르기도 어려운 실정임을 알기 때문에 15원의 돈을 챙겨서 곽재기의 집에 갔다. 곽재기는 '당장 입을 옷도 없는데 제사지낼 돈이 어딨겠냐'며 돈을 내놓으라고 말하였고, 윤태근은 마침 동행한 남동생에게 돈을 받아 곽재기에게 내어줬다.

그런데 뜻밖에 곽재기는 두 사람이 이야기하는 광경을 보고는 외간 남자와 뭘하고 있느냐며 아내를 다그쳐 한바탕 소동이 있었다. 그럼에도 저녁 제사는 그런대로 잘 마쳤는데, 곽재기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새벽에 식구들이 잠든 틈을 타서 아내를 부엌으로 불러내 낮에 있었던 일을 추궁하였고 끝내는 면도칼로 목을 찔러 죽였다. 그 길로 그는 22일 오전 4시경 조치원경찰서에 들러 범행 사실을 자백하면서 이 사건은 세상에 알려졌다.1932년 9월 26일 동아일보 기사

그는 충청북도 청주군 사주면 금천리(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잠시 옮겨 살았다가 위 사건으로 인해 1933년 1월 30일 경성복심법원의 1심에서 징역 12년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1933년 1월 31일 중앙일보 기사

2.4. 그 뒤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만주·상해·연해주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했다고 하나 시기상 맞지 않아 이에 대해선 사실 여부가 다소 의심된다. 어쨌든 1945년 8.15 광복을 맞아 그해 11월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한국 에스페란토 학회를 운영하는 한편 본업인 교육사업에 종사하다가 1950년 6.25 전쟁 일어나자 충청북도 괴산군으로 피난갔고, 1952년 1월 10일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그리고 1968년 9월 18일 당초 충청북도 괴산군에 안장되어 있던 그의 유해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이장했다.

3. 후손

후손으로 손자 곽기수(郭琦洙)가 있는데, 조부 곽재기 뿐만아니라 아버지까지 독립운동에 관여했기 때문에 6살 때부터 감옥에 끌려가 고초를 겪었다고 한다. 1999년 당시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거주하고 있었으나, 장례식장에서 염습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2001년 은행에서 3천만원을 대출받아 동대문구 휘경동에 있던 17평 임대아파트에 입주했으나, 생활비 마련을 위해 쓴 카드빚이 2천만원으로 불었고 2004년 은행측에서 아파트를 가압류하겠다고 통지했다고 한다.

2007년 결국 집을 압류당했는지 친구 집, 고시원, 기도원, 찜질방 등지를 전전하며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4. 참고 자료

  • 정상규 저.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 휴먼큐브. 2017년. 185~186p
  • 조혁연 기자, 「충북 독립운동가 열전 - 곽재기」, 충북일보, 2015.4.26.기사
  • 황경수 교수, 「의열단원으로 항일운동을 한 곽재기」, 충청미디어, 2019.2.7.기사

[1] 강외면지에는 이 이름으로 오기되어 있었다고 한다.[2] 판관공파(判官公派) 29세 재(在) 항렬.[3] 현풍(포산)곽씨세보 상권 996쪽에는 곽신엽의 부인이 연안 차씨(1855 ~ ?) 차진하(車鎭夏)의 딸 등 하나만 등재되어 있으며, 연안 차씨와의 사이에 장남 곽재호(郭在鎬, 1882 ~ 1920. 2. 20)와 누이 두 명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4] 윤인섭(尹麟燮)의 딸이다.[5] 지금의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쑤이펀허시(綏芬河市).[6] 기사에는 郭在騎로 한자 이름이 오기되어 있고 밀양폭탄사건에 연루되어 수감된 시기가 20여 년전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긴 하지만, '밀양폭탄사건'에 연루되어 5년간 복역했다가 만기출소한 사실은 흡사한 점으로 미뤄 보아 동일인물로 생각된다. 2019년 2월 7일 충청미디어 기사에서도 곽재기의 행적으로 파악하였다.